KR200497980Y1 -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80Y1
KR200497980Y1 KR2020210003283U KR20210003283U KR200497980Y1 KR 200497980 Y1 KR200497980 Y1 KR 200497980Y1 KR 2020210003283 U KR2020210003283 U KR 2020210003283U KR 20210003283 U KR20210003283 U KR 20210003283U KR 200497980 Y1 KR200497980 Y1 KR 200497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aging box
packaging
storage spa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902U (ko
Inventor
최종태
곽정아
Original Assignee
최종태
곽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태, 곽정아 filed Critical 최종태
Priority to KR2020210003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8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of foam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of foam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이다.

Description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useful packaging box}
본 고안은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종이, 스티로폼, 골판지 등 다양한 재질과 형상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운반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제작된 포장용 박스는 스티로폼 자체의 완충효과와 보온/보냉효과로 인해 유리병이나 농산물과 같이 파손방지와 부식방지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스티로폼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발포제를 이용해 발포하여 제작됨으로써 환경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서, 환경적으로 사용량을 줄여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한편, 포장용 박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604673호에 제안되어 있는 물품 고정수단이 구비된 포장박스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박스 내에는 포장되는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인 고정구 본체(10)가 서로 마주보게 한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 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절취선(16)이 형성되어 부착부(12)와 묶음부(14)로 구획되되 일측 단은 절취선(16)이 끝까지 형성되지 않고, 타측단은 절취선(16)이 끝까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 (10)의 일측단을 포장용 박스 바닥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절취선(16) 외측에 있는 2개의 부착부(12)를 통해 고 정구 본체(10)가 포장박스(2)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묶음부(14)는 절취선(16)에 의해 부착부(12)로부터 쉽게 분리되되 묶음부(14)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속홈(14a)이 형성되며, 고정구 본체(10)로부터 분리된 마주보는 한쌍의 묶음부(14)에 형성된 결속홈(14a)을 서로를 끼움으로써 물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수단이 구비된 포장박스가 제안되어 있는데, 포장용 박스 내부에 별도의 물품 고정수단을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물품 고정을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고, 이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되며, 박스의 무게 또한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795516호에 제안되어 있는 과일포장박스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상자형 외부박스(1)의 내벽에 과일완충보호부(100)가 삽입되어 있는 구 형상의 과일을 포장하는 과일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완충보호부(100)는, 상자형 외부박스(1) 내에 둘레가 상기 상자형 외부박스(1)의 내벽에 접촉하는 시 트 형상의 천장패널(10) 및 상기 천장패널(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5)에 각각 삽입되는 절두원추 형상을 가진 일회용 컵이거나 둘레방향으로 주름진 복수개의 종이컵(3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30)은 상부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5)의 직경보다 크고 하부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5) 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5)에 쇄기방식으로 삽입장착되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30)은 바닥이 상기 외부박스(1)의 바닥에 접촉하고 그리고 상부 테두리의 말림부(31)의 밑이 상기 천장패널(10)의 윗면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거나, 또는 주름진 종이컵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천장패널(10)의 윗면에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30)은 과일의 꼭지부가 상부라고 가정할 때, 과일의 하부에서 과일의 상반부까지 상기 종 이컵(30)에 상기 과일이 쇄기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과일의 하부가 상기 종이컵(30)의 바닥에 닿지 않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박스(1), 과일완충보호부(100) 및 종이컵(30)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 내지 양면에는 제올라이트 분말, 규조토 분말 또는 이들 혼합물 85~95 중량%와 굴 껍질의 벌키층을 미분쇄하여 제조한 탄산칼슘 분말 5~15 중량%로 된 혼합분말 100 중량부, 물 140~180 중량부 및 광학순도가 90% 이하인 저융점의 폴리 유산 15~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코팅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박스가 제안되어 있는데, 과일포장을 위한 박스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정 또한 복잡해지고 이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됨과 동시에 재활용품의 생성이 많아져 환경적으로 유익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673호(2016. 3. 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516호(2017. 11. 10. 공고)
따라서, 본 고안은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기 위해,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뚜껑의 수납공간은 뚜껑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꿀 포장박스의 모양이 서로 다르더라도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사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는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물품의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물품의 상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몸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수용공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부가 형성되어 몸체와 뚜껑은 함몰부에 돌출부가 들어가면서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한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는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뚜껑의 수납공간은 뚜껑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꿀 포장박스의 모양이 서로 다르더라도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사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꿀 포장박스가 들어가 있는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몸체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의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타실시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타실시에 의한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꿀 포장박스가 들어가 있는 결합상태 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는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물품의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고 물품의 상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에는 몸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2)가 수용공간(11)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에는 상기 돌출부(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부(22)가 형성되어 몸체(10)와 뚜껑(20)은 함몰부(22)에 돌출부(11)가 들어가면서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물품 즉, 꿀을 담은 유리병이 들어가 있는 육면체 박스 형상의 꿀 포장용기(1)의 하부를 수납하는 구성이며, 상기 뚜껑(20)은 물품의 상부를 수납하는 구성으로써, 몸체(10)와 뚜껑(20)에는 물품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11, 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몸체(10)의 수납공간(11)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0)에는 돌출부(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10)에 뚜껑(20)을 끼우게 되면 몸체(10)의 돌출부(11)가 뚜껑(20)의 함몰부(22) 쪽으로 들어가면서 몸체(10)와 뚜껑(20)이 결합되게 된다.
즉, 몸체(10)에 물품을 수납시킨 다음 뚜껑(20)을 몸체(10)와 결합시키고, 이후 테이프를 이용해 몸체(10)와 뚜껑(20)을 결합시키게 되며, 이로써 포장용 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이 운반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1)은 몸체(10)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이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이다.
즉, 몸체(10)의 수납공간(11)은 특정한 하나의 물품을 위하여 맞춘 것이 아닌 두 개의 물품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이고, 이로써 각각의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물품을 수납공간에 넣게 되면 물품의 운반 중 물품의 자세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부연하면, 몸체(10)의 수납공간(11)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스티로폼 박스의 경우 물품을 수납하면 박스의 운반중에 물품이 수납공간 내에서 이동되게 되어 물품끼리 부딪혀 파손될 수 있으며, 특히 꿀이 들어가 있는 유리병의 경우 유리병이 넘어져 꿀이 유리병의 마개 쪽으로 흐르거나 유리병의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수납공간은 수납공간의 크기와 형상에 맞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를 넣을 경우 수납공간의 형상에 의해 박스의 수납위치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사각형 모양이 중첩된 형상으로 인해 크기가 서로 다른 육면체 꿀 포장박스(1)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로써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도 2와 도 4에 나타나 있는 꿀 포장박스의 경우 그 크기가 서로 다른데, 도 2에 나타난 꿀 포장박스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고, 도 4에 나타나 있는 꿀 포장박스의 경우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다.
즉, 도 4에 나타나 있는 꿀 포장박스를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박스 내부에 넣어서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면, 도 5와 같이 뚜껑의 수납공간에 높이 방향으로는 꽉 차지 않고 넓이 방향으로 꽉 찬 꿀 포장박스가 수납되게 되고, 도 2에 나타나 있는 꿀 포장박스를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박스 내부에 넣어서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면, 도 6과 같이 뚜껑의 수납공간에 높이 방향으로 꽉 차지만 넓이 방향으로는 꽉 차지 않도록 꿀 포장박스가 수납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의 저면도로써, 상기 뚜껑(20)의 수납공간(21)은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이며, 뚜껑(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서 ""형인 것이 특징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뚜껑(20)의 수납공간(21)은 뚜껑(20)의 저면에서 보게 되면 몸체(10)와 같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보게 되면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이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1)은 몸체(20)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 형상되는데, 이러한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한 상태로 겹쳐 있는 수납공간의 형상은 서로 크기가 다른 꿀 포장박스가 포장용 박스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후에는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꿀 포장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유리병이 운반 중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타실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타실시에 의한 사용상태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수납공간을 2구로 형성한 것이다.
즉, 이러한 2구가 형성된 포장용 박스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1구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포장용 박스의 장점은 그대로 가지면서, 도 10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꿀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품에 따라 꿀 포장박스의 크기가 다르다 하더라도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모두 포장할 수 있어서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는 물품의 상부와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뚜껑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물품의 포장상태를 기준으로 몸체의 평면 또는 뚜껑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포장박스를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수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이고 재고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뚜껑의 수납공간은 뚜껑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꿀 포장박스의 모양이 서로 다르더라도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사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꿀 포장박스 2. 유리병
10. 몸체 11. 수납공간
12. 돌출부
20. 뚜껑 21. 수납공간
22. 함몰부

Claims (4)

  1. 물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물품의 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고 물품의 상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에는 몸체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2)가 수용공간(11)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에는 상기 돌출부(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부(22)가 형성되어 몸체(10)와 뚜껑(20)은 함몰부(22)에 돌출부(11)가 들어가면서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1)은 몸체(10)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이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20)의 수납공간(21)은 뚜껑(20)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이며, 뚜껑(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사각형이 중심이 일치하도록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서 ""형상이고,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1)은 몸체(10)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 형상인 것이 특징인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3283U 2021-10-28 2021-10-28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KR200497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83U KR200497980Y1 (ko) 2021-10-28 2021-10-28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83U KR200497980Y1 (ko) 2021-10-28 2021-10-28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02U KR20230000902U (ko) 2023-05-08
KR200497980Y1 true KR200497980Y1 (ko) 2024-05-08

Family

ID=8631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83U KR200497980Y1 (ko) 2021-10-28 2021-10-28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8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86A (ja) * 2008-09-29 2010-04-15 Sekisui Plastics Co Ltd 断熱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83U (ja) * 1993-06-21 1995-01-24 有限会社静岡ディナーサービス 容 器
KR101604673B1 (ko) 2015-03-25 2016-03-21 소지홍 물품 고정수단이 구비된 포장박스
KR101795516B1 (ko) 2016-02-29 2017-11-10 임보라 과일포장박스
JP7037276B2 (ja) * 2017-02-08 2022-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86A (ja) * 2008-09-29 2010-04-15 Sekisui Plastics Co Ltd 断熱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02U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610B2 (en) Stackable receptacle for the shipment of goods
US7644858B2 (en) Corrugated container
EP3348493A1 (en) Thermal container for bottles
US20110024318A1 (en) Bottle shipping system
US20190031390A1 (en) Bottle packaging system
US3116866A (en) Cushioned container for fragile articles
US20120111763A1 (en) Insert for foiled food tubs and the like
US3343671A (en) Containers for fragile articles
US20240034539A1 (en) Shipping container and packaging cushion assembly
KR200497980Y1 (ko) 활용성을 높인 포장용 박스
US6851603B1 (en) Pizza box
EP3847110B1 (en) Insulated container
US20210031971A1 (en) Box bracket assembly for secure packing of glass bottles
JP5684002B2 (ja) 保冷容器
ES2558009T3 (es) Embalaje
US11866237B2 (en) Packaging container system with inserts
US3592350A (en) Molded-plastic cartons for the packaging of small fragile or flabby filled sealed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the like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US20040112788A1 (en) Shock absorbing container
US11912474B2 (en) Box insert and corresponding box assembly
KR20190015676A (ko) 농수산물 운반용 포장상자
JP7465117B2 (ja) 集合包装容器
US20230356909A1 (en) Retention packaging system
JP2012180110A (ja) 発泡樹脂製容器
KR20210093543A (ko) 측벽 완충부를 구비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