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62Y1 -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Google Patents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562Y1 KR200497562Y1 KR2020210002855U KR20210002855U KR200497562Y1 KR 200497562 Y1 KR200497562 Y1 KR 200497562Y1 KR 2020210002855 U KR2020210002855 U KR 2020210002855U KR 20210002855 U KR20210002855 U KR 20210002855U KR 200497562 Y1 KR200497562 Y1 KR 2004975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flower pot
- absorbent memb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는 바닥에 급수용 구멍이 형성된 화분, 물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흡수부재, 화분의 급수용 구멍에 연결되고 흡수부재 설치 구멍이 형성된 흡수부재 설치부,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식물에 물을 직접 주는 것이 아니라 천 등 흡수력이 강한 소재를 통해 수분이 공급되므로, 필요 이상의 물을 주어 식물에 해를 끼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외출 시에도 물이 부족하여 식물이 말라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를 통해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더욱 안정적인 물 관리가 가능하다. 단순히 흡수부재가 물통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공급하므로, 급수관과 수위 조절기 등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급수 시스템이 필요 없어, 경제적으로 화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 등 흡수력이 강한 소재를 통해 물통의 물을 흡수하여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편리성과 경제성을 개선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바닥이나 장식장 등에 올려놓고 식물을 재배하지만, 협소한 장소에서는 화분을 놓을 장소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벽에 걸어놓을 수 있는 벽걸이형 화분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20-0242316호는 화분 내의 식물에 자동적으로 급·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화분체 내측 밑부분에는 수분함유 받침체를 구성하여 식물뿌리가 직접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는 벽걸이형 자동적 급·배수 화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242316호와 같이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관과 수위 조절기 등 급수 시스템을 이용하면, 화분 구성이 복잡해져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벽걸이 형태로 화분을 구성할 때는 화분 구성이 더욱 복잡해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또한, 유지/관리도 더욱 어려워지며, 화분을 놓을 장소의 공간 활용도 어려워진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수관과 수위 조절기 등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급수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천 등 흡수력이 강한 소재를 이용하여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여, 더욱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급수용 구멍이 형성된 화분; 물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흡수부재; 및 상기 화분의 급수용 구멍에 연결되고, 흡수부재 설치 구멍이 형성된 흡수부재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흡수부재 설치 구멍과 상기 급수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부재 설치 구멍과 급수용 구멍으로부터 각각 일정 길이만큼 빠져나와 있다.
상기 급수용 구멍은 상기 화분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 설치부는 상기 급수용 구멍으로부터 아래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상기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조절부는 상기 흡수부재 설치부의 내부에서 상기 흡수부재가 통과하는 경로의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벽에 걸리는 지지 프레임; 상기 화분에 설치된 흡수부재에 공급할 물이 저장되는 물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물통 받침대; 및 상기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물통 받침대의 위에 설치되는 화분 받침대, 상기 물통 받침대와 화분 받침대의 전면을 덮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식물에 물을 직접 주는 것이 아니라 천 등 흡수력이 강한 소재를 통해 수분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필요 이상의 물을 주어 식물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외출 시에도 물이 부족하여 식물이 말라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를 통해 흡수부재의 흡수력을 조절하여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더욱 안정적인 물 관리가 가능하다.
단순히 흡수부재가 물통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공급하므로, 급수관과 수위 조절기 등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급수 시스템이 필요 없어, 경제적으로 화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실물 제품에 관한 구현예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실물 제품에 관한 구현예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급수용 구멍(111)이 형성된 화분(110), 물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흡수부재(120), 일 측이 화분의 급수용 구멍(111)에 연결되는 흡수부재 설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분(110)은 재배 대상 식물이 자라는 곳으로서,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110)은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분(110)에는 급수용 구멍(111)이 형성된다. 급수용 구멍(111)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화분(110)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용 구멍(111)의 크기와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흡수부재(120)의 설치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화분(110)에서 자라는 식물에게 공급되는 물은 흡수부재(120)를 통해 공급된다. 흡수부재(110)는 일정한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물통(30)의 물을 흡수하여 화분(110)으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흡수부재(120)의 일단은 물통(30)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타단은 화분(110)의 바닥 주위에 배치되어, 물통(30)으로부터 흡수된 수분을 식물로 전달한다.
이때, 화분(110)의 바닥에 배치된 흡수부재(120) 위에는 토양, 이끼 등 식물 재배에 필요한 재료들이 덮일 수 있다.
흡수부재 설치부(130)는 일 측이 화분(110)의 급수용 구멍(111)에 연결되고, 타 측에는 흡수부재 설치 구멍(131)이 형성된다. 흡수부재 설치부(130)에서 급수용 구멍(111)에 연결되는 부분과 흡수부재 설치용 구멍(131)은 흡수부재(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흡수부재(120)는 급수용 구멍(111)과 연결되는 부분과 흡수부재 설치용 구멍(13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흡수부재(120)가 흡수부재 설치 구멍(131)과 급수용 구멍(111)을 관통한 상태에서, 흡수부재(120)는 흡수부재 설치 구멍(131)과 급수용 구멍(111)으로부터 각각 일정 길이만큼 빠져나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흡수부재 설치 구멍(131)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부분은 물통(30)에 담긴 물로부터 물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급수용 구멍(111)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흡수부재 부분은 화분(110)에서 자라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흡수부재 설치부(13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흡수부재 설치부(130)는 화분(110)의 바닥에 형성된 급수용 구멍(11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부재(120)는 원활한 수분 공급을 위하여 적절한 흡수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흡수부재(120)는 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부재(120)는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적당히 가느다란 다수의 흡수 부재가 모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흡수 부재의 양 말단을 가운데 부분보다 더 가느다란 다수의 세밀한 부분으로 구성하면, 물통(30)에서의 흡수력과 식물에 대한 수분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31은 물통(30)에 담긴 물의 수위로서, 물통(30)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으면 된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흡수부재(120)를 통해 흡수되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조절부(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급수조절부(140)는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내부에서 흡수부재(120)가 통과하는 경로의 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흡수부재(12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급수조절부(14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141)와, 레버(141)의 조작에 따라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내부에서 흡수부재(120)가 통과하는 경로의 면적을 조절하는 흡수력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내부에서 흡수부재(120)가 통과하는 경로의 면적을 조절하면, 흡수부재(120)에 수평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변하므로, 흡수부재(120)가 흡수한 수분이 화분의 급수용 구멍(111)을 향해 이동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흡수력 조절부(142)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력 조절부(142)는 흡수부재(120)가 통과하는 경로에서 특정 부분의 직경을 조절하여, 그 부분을 통과하는 흡수부재(120)에 수평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변동시킴으로써, 수분이 이동하는 정도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흡수력 조절부(142)는 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부재 설치부(130)는 화분(110)의 급수용 구멍(111)으로부터 아래로 화분(110)의 외부까지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조절부(140)는 화분(110)의 외부까지 연장된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옆에서 흡수부재(12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조절부(140)는 화분(110)의 외부까지 연장된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옆에서 흡수부재(12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는 벽결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71), 화분(1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71)에 설치되는 화분 받침대(173), 물통(3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화분 받침대(173) 아래에 설치되는 물통 받침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30)은 흡수부재(120)를 통해 화분(110)에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곳으로서, 물통(30)의 재질, 크기,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30)에 담긴 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영양액을 담으면, 화분(110)의 식물에도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71)은 벽에 걸리고, 화분 장치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사각판의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171)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지지 프레임(171)의 재질, 크기,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지지 프레임(171)은 전면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두 개의 측면 지지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71)에는 벽에 걸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리(178)가 장착될 수 있다. 벽에 고정된 못 등에 걸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71)의 윗면에 2개의 고리(178)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고리의 개수, 위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71)에는 화분(1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화분 받침대(173)가 설치되고, 물통(3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물통 받침대(174)가 설치될 수 있는데, 물통 받침대(174)는 화분 받침대(173)의 아래에 설치된다.
두 개의 측면 지지판(172)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의 중심부에는 각각 상대 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걸림 턱이 구비되어, 화분(110)을 올려놓는 화분 받침대(17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측면 지지판(172)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의 하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두 면 사이에 선반이 구비되어, 물통(30)을 올려놓는 물통 받침대(17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화분 받침대(173)와 물통 받침대(174)에는 각각 화분(110)과 물통(30)이 배치되고, 흡수부재(120)가 화분(110)의 바닥에 형성된 급수용 구멍(111)과, 흡수부재 설치부(130)의 흡수부재 설치 구멍(131)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흡수부재(120)의 일단은 물통(30)의 물에 잠겨 물을 흡수하고, 흡수부재(120)의 다른 쪽 말단 부분은 화분(110)의 바닥에 깔려 식물에 수분을 공급한다.
도 4는 물통 받침대(174)와 화분 받침대(173)의 전면을 덮는 도어(176)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사각판 형태의 도어(176)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어(176)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어(176)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176)는 두 개의 측면 지지판(172)과 힌지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열리거나, 상/하 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어(176)의 윗면과 두 개의 측면 지지판(172)의 윗면 사이에 힌지를 설치하면, 도어(176)가 상/하 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는 꽃, 나무, 분재, 식물, 수초 등 다양한 종류의 재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의 실물 제품에 관한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는 도어(176)가 없는 상태의 예이고, 도 6은 도어(176)가 닫힌 상태로 벽에 걸린 예이다.
지지 프레임(171)은 목재로 구성되었고, 화분 받침대(173)와 물통 받침대(174)에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의 화분(110)과 물통(30)이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 흡수부재 설치부(130)를 관통하여 흡수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30: 물통
100: 화분 장치
110: 화분
111: 급수용 구멍
120: 흡수부재
130: 흡수부재 설치부
131: 흡수부재 설치 구멍
140: 급수조절부
141: 레버
142: 흡수력 조절부
171: 지지 프레임
172: 측면 지지판
173: 화분 받침대
174: 물통 받침대
176: 도어
178: 고리
100: 화분 장치
110: 화분
111: 급수용 구멍
120: 흡수부재
130: 흡수부재 설치부
131: 흡수부재 설치 구멍
140: 급수조절부
141: 레버
142: 흡수력 조절부
171: 지지 프레임
172: 측면 지지판
173: 화분 받침대
174: 물통 받침대
176: 도어
178: 고리
Claims (6)
- 급수용 구멍이 형성된 화분;
물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흡수부재;
상기 화분의 급수용 구멍에 연결되고, 흡수부재 설치 구멍이 형성된 흡수부재 설치부;
상기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
벽에 걸리는 지지 프레임;
상기 화분에 설치된 흡수부재에 공급할 물이 저장되는 물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물통 받침대;
상기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물통 받침대의 위에 설치되는 화분 받침대; 및
상기 물통 받침대와 화분 받침대의 전면을 덮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용 구멍은 상기 화분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 설치부는 상기 급수용 구멍으로부터 아래로 상기 화분의 외부까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흡수부재 설치 구멍과 급수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부재 설치 구멍과 급수용 구멍으로부터 각각 일정 길이만큼 빠져나와 있고,
상기 급수조절부는 상기 화분의 외부까지 연장된 상기 흡수부재 설치부의 옆에서 상기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는 상기 흡수부재 설치부의 내부에서 상기 흡수부재가 통과하는 경로의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흡수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2855U KR200497562Y1 (ko) | 2021-09-15 | 2021-09-15 |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2855U KR200497562Y1 (ko) | 2021-09-15 | 2021-09-15 |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621U KR20230000621U (ko) | 2023-03-22 |
KR200497562Y1 true KR200497562Y1 (ko) | 2023-12-19 |
Family
ID=8572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2855U KR200497562Y1 (ko) | 2021-09-15 | 2021-09-15 |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562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015Y1 (ko) * | 2001-07-10 | 2001-10-26 | 남효갑 | 자동급수화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316Y1 (ko) | 2001-04-24 | 2001-10-12 | 황금택 | 벽걸이형 자동적급, 배수화분 |
KR20130003042U (ko) * | 2011-11-13 | 2013-05-24 | 김헌동 | 가습기능을 갖춘 화분대 |
-
2021
- 2021-09-15 KR KR2020210002855U patent/KR20049756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015Y1 (ko) * | 2001-07-10 | 2001-10-26 | 남효갑 | 자동급수화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621U (ko) | 2023-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18286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JP6479841B2 (ja) | 複合鉢植物自己給水システム | |
KR102039379B1 (ko) |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 |
KR20190137201A (ko) | 입형정원 시스템 | |
KR101334723B1 (ko) |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 |
KR200497562Y1 (ko) | 흡수력을 이용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장치 | |
KR100997306B1 (ko) |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 |
KR101638289B1 (ko) |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 |
KR20200090361A (ko) | 자가 정화 및 관수기능을 갖는 화분 | |
KR200469973Y1 (ko) | 이중 화분 | |
JP4315737B2 (ja) |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 |
KR20160024445A (ko) |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 |
JPH04135426A (ja) |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 |
KR20190051400A (ko) |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 |
KR20020025754A (ko) |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 |
KR100557505B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 |
KR102076813B1 (ko) | 기능성 화분 | |
KR102034639B1 (ko) | 식물재배용 단위 유니트를 이용한 조적식 식물재배장치 | |
KR200281182Y1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
JPH1156136A (ja) |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 |
KR100809502B1 (ko) | 화분용 흙공급장치 | |
KR200329599Y1 (ko) | 점적관수 화분 | |
KR20020032504A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
KR102300685B1 (ko) |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 |
KR102538925B1 (ko) | 저면급수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