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15Y1 - 슬립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립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15Y1
KR200497315Y1 KR2020210003567U KR20210003567U KR200497315Y1 KR 200497315 Y1 KR200497315 Y1 KR 200497315Y1 KR 2020210003567 U KR2020210003567 U KR 2020210003567U KR 20210003567 U KR20210003567 U KR 20210003567U KR 200497315 Y1 KR200497315 Y1 KR 200497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aby
support
support jaw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02U (ko
Inventor
구진순
Original Assignee
구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순 filed Critical 구진순
Priority to KR2020210003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15Y1/ko
Priority to PCT/KR2022/010408 priority patent/WO2023096061A1/ko
Priority to US17/871,321 priority patent/US20230157457A1/en
Priority to TW111208145U priority patent/TWM633525U/zh
Publication of KR20230001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02U/ko
Priority to KR2020230001961U priority patent/KR20230001972U/ko
Priority to KR1020230130458A priority patent/KR2023015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aper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는, 아기의 몸통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두 개의 바디와,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턱 및 상기 두 개의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로부터 상기 헤드의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립 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SLEEP}
본 고안은 슬립 보조장치로서, 아기의 일정한 수면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 시 쿠션 또는 베개 등은 꼭 필요한 필수품이다.
이러한 쿠션 또는 베개는 통상적으로 속에 솜이나 합성수지 또는 곡물이 넣어짐으로써 쿠션기능을 가지면서 일정 높이를 이루어, 취침 시 머리를 받쳐주거나 몸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아기를 위한 베게 또는 쿠션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아기가 머리를 베고 아울러 감싸안을 수 있는 긴 베개 또는 쿠션이 있는데, 이러한 베개 또는 쿠션(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 구조로서 긴 형태를 지닌다.
이와 같은 원통형 베개 또는 쿠션(10)은, 원통형으로 계속적으로 길게 이어진 형태를 취함으로써, 아기를 재운 다음 아기의 몸통 앞부분과 뒷부분에 놓여져서 아기 몸통을 단순히 앞뒤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종래의 원통형 베개 또는 쿠션(10)은 아기의 몸통에 단순히 근접되게만 배치될 뿐 아기의 몸통에 밀착되어 감싸도록 구성되지는 않음으로써, 엄마의 품과 같이 아기를 감싸주는 안정적인 수면환경을 구현하지 못함에 따라, 모로반사 등에 의해 아기가 수시로 깰 수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수면패턴에 의해 아기의 수면교육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아기가 옆으로 눕지 못하고 천장을 계속해서 바라보면서 눕는 경우, 뒷통수가 납작해지는 두상변형(납작머리증후군, 단두증 등)이 발생하게 되어, 사실상 두상을 둥글게 만드는데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두상교정용 쿠션 또는 베게는 모두 아기를 정면으로 눕힌 자세에서만 두상을 교정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541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상관리와 모로반사 없는 안정된 수면을 위해 아기를 안정적으로 옆으로 재울 수 있는 슬립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는, 아기의 몸통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두 개의 바디와,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턱 및 상기 두 개의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로부터 상기 헤드의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는, 아기의 몸통을 지지하고 각각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바디와, 두 개의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교차적층되어 아기의 머리를 받치는 두 개의 헤드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턱은, 두 개의 상기 헤드가 서로 교차적층되어 아기의 머리측부를 받친 상태에서 아기의 머리후부를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헤드의 일측부에는 상측으로 융기되게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후두부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머리측부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중앙부에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바디 중 하나는, 아기의 몸통후측부를 측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체에 포함되고,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체에서 상기 몸통후측부를 지지하는 측의 하부에 하측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체에서 상기 몸통후측부를 지지하는 측의 상부에 상측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바디 중 하나는, 상기 몸통후측부를 측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체에 포함되며, 상기 지지턱은, 아기의 뒷목을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헤드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융기되게 상기 헤드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뒷목지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뒷목지지턱은, 상기 뒷목의 외형과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교차적층되어 아기의 머리를 받치는 두 개의 상기 헤드에서, 상기 후두부지지턱의 일부가 상기 뒷목지지턱을 받침하여 상기 후두부지지턱과 뒷목지지턱이 교차되는 이중턱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이중턱영역은 상기 후두부지지턱이 상기 뒷목지지턱을 상승시켜 상기 뒷목지지턱을 아기의 뒷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바디는 연결부위가 연결지퍼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 각각은, 충진재가 충진된 충진체 구조를 이루며, 내부에 대한 상기 충진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지퍼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는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성됨으로써, 옆으로 누운 아기의 머리와 목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고안은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대와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대가 구성됨으로써, 아기의 척추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고 아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기의 머리, 목, 등(척추)의 세 부분을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지지함으로써, 아기가 옆으로 누운 자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아기가 모로반사 없는 안정된 수면을 이루도록 하며, 납작머리와 같은 두상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아기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에 의해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슬립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슬립 보조장치에 의해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1의 쿠션에 의해 아기의 등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의 슬립 보조장치에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의해 아기의 척추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아기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에 의해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슬립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슬립 보조장치에 의해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형성된 지지턱(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바디(B1, B2)와 헤드(H1, H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B1, B2)는 아기의 몸통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아기의 몸통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아기의 몸통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아기 몸통의 길이와 대응되게 길게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헤드(H1, H2)는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바디(B1, B2)에 연결되어 바디(B1, B2)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헤드(H1, H2)가 복수로 구성되면, 서로 교차적층되어 아기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면을 바탕으로,이하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면을 바탕으로, 바디(B1, B2)는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바디(B1)는 아기의 몸통전측부(몸통의 앞부분, 가슴을 포함하는 부분)를 지지하고, 상기 제2 바디(B2)는 아기의 몸통후측부(몸통의 뒷부분, 등을 포함하는 부분)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 각각은 아기의 몸통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아기 몸통의 길이와 대응되게 길게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상기 바디(B1, B2)가 헤드(H1, H2)와 연결된 단부를 일단부라고 지칭하고, 다른 단부를 타단부라고 지칭한다.
일례로, 상기 제1 바디(B1)의 타단부와 제2 바디(B2)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되며, 아기를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 사이에 옆으로 뉘일 때, 아기의 다리 사이에 연결부위가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몸통전측부를 지지하는 제1 바디(B1)에 아기의 다리가 올려지고, 이때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의 연결부위는 아기의 가랑이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는 연결부위가 연결지퍼(Z1)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헤드(H1, H2)가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는 분리되는 경우, 각각 롱바디필로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관이나 세척(빨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헤드(H1)가 달린 제1 바디(B1)와 제2 헤드(H2)가 달린 제2 바디(B2)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의 안전벨트쿠션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안전벨트가 연결가능하도록 벨크로테이프를 가진 링크부분(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분은 제1 바디(B1) 또는 제2 바디(B2) 각각에 고정되며 개방부분에 안전벨트가 인입되어 감싸지고,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개방부분이 폐쇄되어 안전벨트에 제1 바디(B1) 또는 제2 바디(B2)가 홀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헤드(H1, H2)는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헤드(H1)는 제1 바디(B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2 헤드(H2)는 제2 바디(B2)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는 교차적층된 상태로, 그 위에 아기의 머리측부가 안착되어 머리측부가 교차적층된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에 의해 받쳐져서 지지된다. 즉, 아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헤드(H2)에 머리가 안착된다.
나아가, 바디(B1, B2)와 헤드(H1, H2)는 충진재가 충진된 충진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바디(B1), 제1 헤드(H1), 제2 바디(B2), 제2 헤드(H2) 각각은, 충진재가 충진된 충진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B1), 제1 헤드(H1), 제2 바디(B2), 및 제2 헤드(H2)는 내부에 대한 충진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지퍼개폐부(Z2)가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원통형 쿠션 또는 베개(도 1의 10)는, 본 고안에서 후술되는 지지턱(200)과 같이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는 구성이 없이, 원통형으로 계속적으로 길게 이어진 형태를 취하는데, 아기를 재운 다음 아기의 몸통 앞쪽과 뒷쪽에 놓여져서 아기 몸통을 단순히 앞뒤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종래의 원통형 쿠션 또는 베개는 옆으로 누운 아기의 몸통에 단순히 근접하게만 배치될 뿐 아기의 머리와 몸통을 측방향에서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지는 않음으로써, 아기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지 않게 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으며, 나아가 엄마의 품과 같이 아기를 감싸주는 안정적인 수면환경을 구현하지 못함에 따라, 모로반사 등에 의해 아기가 수시로 깰 수 있으며, 이러한 수면패턴에 의해 아기의 수면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신생아들은 아직 자신의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를 잘 받쳐줘야 한다. 아기의 머리 무게가 체중의 약 10%를 차지하지만 목 근육 발달은 미숙하기 때문에 아기를 목을 잘 지지해주는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술된 한계점을 극복하고 특히 아기의 머리를 잘 받쳐주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턱(200)을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턱(200)은 본체(100)에 형성되어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지지턱(20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서, 인입홈(g)에 대해 먼저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아기의 머리측부를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헤드(H1, H2)에는 인입홈(g)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H1, H2)에 형성된 인입홈(g)은 헤드에 아기의 머리측부가 안착시 인입홈(g) 측으로 아기 머리가 안정적으로 센터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헤드(H1)와 제2 헤드(H2)를 구비한 경우, 어느 하나의 헤드(H1, H2)의 중앙부에 인입홈(g)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시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헤드(H1)에 인입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홈(g)은 제1 헤드(H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적층된 제2 헤드(H2)의 상부에 아기의 머리측부가 안착 시 머리측부가 제2 헤드(H2)와 함께 일정 정도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아기의 머리측부가 제2 헤드(H2)에 내려지면서 제1 헤드(H1)의 인입홈(g)의 구조에 의해 제2 헤드(H2)의 중앙부와 함께 인입홈(g) 측으로 내려감에 따라, 아기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센터링된다.
삭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의 일정 영역에 지지턱(200)이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지지턱(200)은 헤드(H1, H2)에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H1, H2)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0)는 상기 두 개의 바디(B1, B2) 중 어느 하나의 바디로부터 상기 헤드(H1, H2)의 상기 지지턱(200)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아기의 머리후부 또는 뒷목 및 등(몸통후측부)을 일체로 지지하여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지지턱(200)과 지지체(110)에 대하여 예시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지지턱(200)은 후두부지지턱(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두부지지턱(210)은 아기의 머리후부(뒷통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헤드(H1, H2)가 두 개로 구성된 경우 후두부지지턱(210)은 서로 적층된 두 개의 헤드(H1)(H2)에 아기의 머리측부가 받쳐진 상태에서 아기의 머리후부를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두 개의 헤드(H1)(H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이러한 후두부지지턱(210)은 두 개의 헤드(H1)(H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부에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헤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일례로서, 후두부지지턱(2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헤드(H1)의 일측부에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나머지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두부지지턱(210)은 적층된 제2 헤드(H2)의 상부 일측을 밀어올려서, 제2 헤드(H2)에 받쳐진 아기의 머리에서 후부(뒷통수)를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아기의 머리가 옆으로 뉘여진 상태에서 머리후부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턱(200)은 뒷목지지턱(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목지지턱(220)은 아기의 뒷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뒷목지지턱(220)은 아기의 뒷목을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바디(B1, B2) 중 어느 하나와 헤드(H1, H2)의 연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B1)(B2)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로부터 연장된 지지체(110)는 헤드의 뒷목지지턱(220)이 형성된 영역이 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뒷목지지턱(220)은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헤드의 다른 부분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뒷목지지턱(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B2)로부터 이어져서 제2 헤드(H2)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체(110)에 포함되며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제2 헤드(H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B2)에서 지지체(110)는 아기의 몸통후측부를 측방향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뒷목지지턱(220)은 제2 헤드(H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방향으로 두꺼운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뒷목지지턱(220)은 제2 헤드(H2)에 받쳐진 아기의 뒷목을 지지하는데, 이때 제2 바디(B2)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단순히 뒷목을 별도로 떨어져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제2 바디(B2)의 지지체(110)와 이어진 구조로 아기의 뒷목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아기의 머리가 옆으로 뉘여진 상태에서 뒷목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10)가 후두부지지턱(220)을 포함하여 아기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기의 등과 뒷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헤드(H1, H2)는 상기 지지턱(200)과 상기 헤드(H1, H2)의 다른 부분을 구획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200)은 머리후부 또는 뒷목의 외형과 대응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테두리는 적어도 1개의 변곡점을 갖도록 굴곡질 수 있다. 지지턱(200)과 지지체(110)는 아기의 몸통후측부의 일부분과 뒷목 및 아기의 후두부를 일체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아기의 후측부 외형에 대응되는 테두리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지지턱(200)과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인 낮은 부분이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200)의 테두리는 단순히 굴곡진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고 오목에서 볼록으로 기울기가 변하는 곡선 형태로 굴곡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는 전체적인 형상이 S자와 같이 굴곡질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후두부지지턱(210)과 헤드(H1,H2)의 다른 부분을 구획하는 테두리는 후두부의 외형과 대응되게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뒷목지지턱(220)과 헤드(H1,H2)의 다른 부분을 구획하는 테두리를 설명하면, 뒷목지지턱(220)은 뒷목의 외형과 대응되게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즉 뒷목지지턱(220)은 뒷목을 지지하는 테두리면이 아기의 뒷목 형상과 대응되게 굴곡진 형상구조를 취함으로써, 뒷목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닌 전체적으로 접하여 지지함에 따라, 아기의 뒷목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뒷목지지턱(220)은, 두 개의 헤드(H1)(H2)가 교차적층 시 일부분이 후두부지지턱(210)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배치됨으로써, 융기된 높이가 더 오르게 되어 아기의 뒷목을 더욱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에 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지턱(200)은 후두부지지턱(210)과 뒷목지지턱(220)을 포함함으로써, 아기를 옆으로 뉘였을 때 후두부와 뒷목을 지지하여 아기의 두상 생김새에 따른 전체적인 측방향 및 측방향 하측의 지지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아기의 머리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헤드(H1,H2)와 바디(B1,B2) 사이에 또 다른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아기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기의 앞 목 내지 가슴의 위치에 위치되는 또다른 테두리로 상기 헤드(H1,H2)와 바디(B1,B2)의 경계가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 예시로서, 지지체(110)가 연장된 제2 바디(B2)가 아닌 제1 바디(B1)는 상기 또 다른 테두리로 헤드(H1,H2)와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아기의 머리의 위치되는 영역에 형성된 헤드(H1, H2)가 두 개인 경우, 두 개의 헤드(H1)(H2)가 서로 교차적층되며, 후두부지지턱(210)의 일부가 뒷목지지턱(220)을 받침하여 후두부지지턱(210)과 뒷목지지턱(220)이 교차되는 이중턱영역(D)이 형성된다.
즉, 이중턱영역(D)은 두 개의 두꺼운 패드 구조인 후두부지지턱(210)과 뒷목지지턱(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더블패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중턱영역(D)은, 후두부지지턱(210)이 뒷목지지턱(220)을 상승시킴으로써, 뒷목지지턱(220)을 아이의 뒷목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아이의 뒷목을 1차적으로 지지하는 뒷목지지턱(220)이 후두부지지턱(210)에 의해 더욱더 높여지면서 아이의 뒷목 측으로 밀려감으로써, 뒷목지지턱(220)이 아이의 뒷목을 밀착하면서 일정 이상의 압박력으로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아이의 뒷목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쿠션에 의해 아기의 등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의 슬립 보조장치에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의해 아기의 척추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의 원통형 쿠션(10)은 원통형 단순구조로서 척수부분을 받쳐서 지지하지 않고 단순히 측방향에서 지지하며, 나아가 쿠션이 아기의 몸통에 밀착하지 않으면 척수부분에 대한 측방향 지지도 견고하게 할 수 없는 구조를 지닌다. 특히 아기가 도면 상으로 왼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 척추가 바닥과 지지체(110)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감에 따라 아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은 도 3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받치는 제1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두 개의 바디(B1)(B2)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지지체(110)와, 지지체(110)와 연결된 제1 지지대(120)를 포함하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B2)에 제1 지지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B2)의 지지체(110)는 몸통후측부를 측방향에서 지지하며, 제2 바디(B2)의 제1 지지대(120)는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받치도록, 지지체(110)에서 몸통후측부를 지지하는 측의 하부에 하측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1 지지대(120)는 옆으로 누운 아기의 등의 척추 아래측으로(도면 상으로 하측으로) 지지체(11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바닥과 아기의 척추 아래쪽 사이에 끼워지게 배치됨에 따라,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아기가 도면 상으로 왼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 척추가 바닥과 지지체(1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제1 지지대(120)에 의해 받쳐짐에 따라, 아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제1 지지대(120)는 미끄럼방지용 원단이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두 개의 바디(B1)(B2) 중 하나에 제2 지지대(130)를 더 포함하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B2)에 제2 지지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B2)의 제2 지지대(130)는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체(110)에서 몸통후측부를 지지하는 측의 상부에 상측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2 지지대(130)는 몸통후측부가 제2 바디(B2)의 상부 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일정 정도의 힘으로 막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즉 아기가 도면 상으로 왼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 척추가 측방향 상측에서 제2 지지대(13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아기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여 회전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제2 지지대(130)는 상술된 제1 지지대(120)와 서로 역할을 바꿔서 수행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아기가 좌측을 보면서 옆으로 누워있는데, 두상 교정 등으로 인하여 아기를 우측을 보면서 옆으로 누일 수 있으며, 이렇게 번갈아가면 옆으로 눕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때 도면과 다르게 아기가 우측을 보면서 옆으로 눕는 경우 본 고안의 제2 바디(B2)도 상하면이 바뀌도록 회전한 후 사용되는데, 이러한 경우 제2 지지대(130)가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받치고 제1 지지대(120)가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참고로, 이와 같은 제2 지지대(130)는 미끄럼방지용 원단이 활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슬립 보조장치는 아기의 머리와 목을 둘레에서 지지하는 지지턱(200)이 구성됨으로써, 옆으로 누운 아기의 머리와 목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바디(B1,B2) 중 어느 하나의 바디(B1,B2)로부터 상기 헤드(H1, H2)의 상기 지지턱(200)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110)를 포함하고, 나아가, 본 고안은 아기의 척추를 측방향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대(120)와 측방향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대(130)가 구성됨으로써, 아기의 척추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고 아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기의 머리, 목, 등(척추)의 세 부분을 정확하면서도 확실하게 지지함으로써, 아기가 옆으로 누운 자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B1 : 제1 바디 B2 : 제2 바디
110 : 지지체 120 : 제1 지지대
130 : 제2 지지대 H1 : 제1 헤드
g : 인입홈 H2 : 제2 헤드
200 : 지지턱 210 : 후두부지지턱
220 : 뒷목지지턱 D : 이중턱영역
Z1 : 연결지퍼 Z2 : 지퍼개폐부

Claims (10)

  1. 아기의 몸통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두 개의 바디;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턱; 및
    상기 두 개의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로부터 상기 헤드의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슬립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을 구획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슬립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적어도 1개의 변곡점을 갖도록 굴곡진 슬립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바디와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헤드가 연결된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에서 탈착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슬립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아기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기의 앞 목 내지 가슴의 위치에 위치되는 테두리로 상기 헤드와 경계가 구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상기 헤드의 일측과 연결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슬립 보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사이의 공간에 아기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몸통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인 슬립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는,
    내부에 충진된 충진재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지퍼개폐부가 형성된 슬립 보조장치.
  8. 아기의 몸통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두 개의 바디;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턱; 및
    상기 두 개의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바디로부터 상기 헤드의 상기 지지턱이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을 구획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슬립 보조장치.
  9. 삭제
  10. 삭제
KR2020210003567U 2021-11-24 2021-11-24 슬립 보조장치 KR200497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567U KR200497315Y1 (ko) 2021-11-24 2021-11-24 슬립 보조장치
PCT/KR2022/010408 WO2023096061A1 (ko) 2021-11-24 2022-07-18 슬립 보조장치
US17/871,321 US20230157457A1 (en) 2021-11-24 2022-07-22 Apparatus for assisting sleep
TW111208145U TWM633525U (zh) 2021-11-24 2022-07-29 睡眠輔助裝置
KR2020230001961U KR20230001972U (ko) 2021-11-24 2023-09-26 슬립 보조장치
KR1020230130458A KR20230155997A (ko) 2021-11-24 2023-09-27 슬립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567U KR200497315Y1 (ko) 2021-11-24 2021-11-24 슬립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961U Division KR20230001972U (ko) 2021-11-24 2023-09-26 슬립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02U KR20230001102U (ko) 2023-05-31
KR200497315Y1 true KR200497315Y1 (ko) 2023-10-06

Family

ID=854615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567U KR200497315Y1 (ko) 2021-11-24 2021-11-24 슬립 보조장치
KR2020230001961U KR20230001972U (ko) 2021-11-24 2023-09-26 슬립 보조장치
KR1020230130458A KR20230155997A (ko) 2021-11-24 2023-09-27 슬립 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961U KR20230001972U (ko) 2021-11-24 2023-09-26 슬립 보조장치
KR1020230130458A KR20230155997A (ko) 2021-11-24 2023-09-27 슬립 보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57457A1 (ko)
KR (3) KR200497315Y1 (ko)
TW (1) TWM633525U (ko)
WO (1) WO202309606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661B2 (ja) * 1991-02-14 2000-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US20150040320A1 (en) 2013-02-01 2015-02-12 The Boppy Company, Llc Multi-pillow body support systems and methods
KR200493969Y1 (ko) 2020-06-10 2021-07-08 조은님 슬립서포터
CN214207961U (zh) 2021-02-05 2021-09-17 广东省妇幼保健院 婴儿偏头矫形抱枕
KR102330039B1 (ko) 2020-05-29 2021-11-22 김우성 임산부용 쿠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481A (en) * 1934-03-27 1935-09-03 Winaloe U Stonehill Convertible cushion
US3911512A (en) * 1973-11-15 1975-10-14 Knoll International Cushioned furniture
JPS5323410U (ko) * 1976-08-03 1978-02-27
US5572757A (en) * 1995-03-06 1996-11-12 O'sullivan; Dennis C. Body support having hingedly connected semi-cylindrical cushions
JP3049661U (ja) * 1997-12-09 1998-06-19 昌博 須永 まくら
US6578218B2 (en) * 2000-12-07 2003-06-17 Tempur World, Inc. Leg spacer pillow
US6347421B1 (en) * 2000-12-18 2002-02-19 D'emilio Carl M. Portable head pillow
US6640368B2 (en) * 2001-09-13 2003-11-04 Stewart A. Roston Therapeutic leg support pillow
US6779211B1 (en) * 2002-05-04 2004-08-24 Ann Williams Baby support assembly and a method for forming a baby support assembly
US6760934B1 (en) * 2003-08-14 2004-07-13 Jamie S. Leach Symmetrically contoured support pillow
US7114206B2 (en) * 2004-06-17 2006-10-03 Leach Jamie S Multiple position symmetrically contoured body pillow
US7017215B1 (en) * 2004-11-20 2006-03-28 Adam Joel Singer Support for extended arms of a person lying on their side
US7441293B1 (en) * 2007-09-10 2008-10-28 Singer Starr Stacker, Llc Support for a lower shoulder and extended arms of a person lying on their side
US7562406B1 (en) * 2008-03-05 2009-07-21 Leach Jamie S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with tandem wells
US7886381B2 (en) * 2009-01-14 2011-02-15 Mattel, Inc.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system
US8074310B1 (en) * 2009-03-13 2011-12-13 Robbins Julie R Side-lying sleep support system
KR20110008872U (ko) * 2010-03-11 2011-09-19 윤명식 전신 베개
KR20140005410U (ko) 2013-04-10 2014-10-20 변효성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200470931Y1 (ko) * 2013-10-20 2014-01-17 주식회사 홈파워 쿠션베개 및 쿠션베개 결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661B2 (ja) * 1991-02-14 2000-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US20150040320A1 (en) 2013-02-01 2015-02-12 The Boppy Company, Llc Multi-pillow body support systems and methods
KR102330039B1 (ko) 2020-05-29 2021-11-22 김우성 임산부용 쿠션
KR200493969Y1 (ko) 2020-06-10 2021-07-08 조은님 슬립서포터
CN214207961U (zh) 2021-02-05 2021-09-17 广东省妇幼保健院 婴儿偏头矫形抱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7457A1 (en) 2023-05-25
KR20230155997A (ko) 2023-11-13
KR20230001972U (ko) 2023-10-13
KR20230001102U (ko) 2023-05-31
WO2023096061A1 (ko) 2023-06-01
TWM633525U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135B1 (en) Baby bath support pillow
US7562406B1 (en)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with tandem wells
CA2389606C (en) Pressure relief pillow and methods
US6829794B2 (en) Infant and child back head curve support pad
US20150374138A1 (en) Baby seat bed
US20120023676A1 (en) Orthopedic pillow having oblong central aperture
KR20130066246A (ko)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 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KR200497315Y1 (ko) 슬립 보조장치
CN210493463U (zh) 一种防溢奶床中床
US20130305458A1 (en)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Head Deformation of Infants Due to Posture
JP4299095B2 (ja) 乳児用姿勢保持構造
CN203073888U (zh) 哺乳垫
US20200128971A1 (en) Apparatus for infant sleep positioning
CN220631784U (zh) 婴儿抱枕
CN114343400A (zh) 护颈枕
KR102652263B1 (ko) 옆으로 재울 수 있는 아기베개
KR102589235B1 (ko)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CN215015579U (zh) 一种孩童睡姿矫正垫
US11825961B2 (en) Newborn sleep insert for bassinette and crib
CN215229430U (zh) 一种医用多功能新生儿鸟巢
CN107307963A (zh) 一种婴儿护理床
KR102558183B1 (ko) 연결시트가 구비된 바디 필로우
KR20100003188U (ko) 수유 요람
CN209347486U (zh) 一种多功能母乳喂养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