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35B1 -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35B1
KR102589235B1 KR1020210141013A KR20210141013A KR102589235B1 KR 102589235 B1 KR102589235 B1 KR 102589235B1 KR 1020210141013 A KR1020210141013 A KR 1020210141013A KR 20210141013 A KR20210141013 A KR 20210141013A KR 102589235 B1 KR102589235 B1 KR 10258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ushion
infants
cushion part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053A (ko
Inventor
고동완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투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투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투로드
Priority to KR102021014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두상에 따라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영유아 두상 맞춤형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형상을 가지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베개본체부; 상기 베개본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본체부의 양 끝단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삼각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영유아의 두상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두상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세탁이 용이하면서도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사용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Head shape correction pillow set for infants and toddlers}
본 발명은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영유아의 두상에 따라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영유아 두상 맞춤형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의 두상은 생후 18개월 이전의 머리성장이 결정한다고 알려지면서 아기의 머리가 비뚤어지거나 납작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신생아의 머리변형으로는 머리뼈가 비대칭적으로 변형되어 한쪽 머리가 평평한 ‘사두증’, 머리 뒷부분이 납작한 형태를 보이며 ‘납작머리증’으로도 불리는 ‘단두증’등이 있으며, 단두증은 사두증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두상 교정 헬맷을 이용하여 교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유아용 베개를 이용하여 두상을 교정하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나타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10-1914273호에 의하면, 유아용 두상 교정 베개는 유아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0);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머리받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안면지지부(20); 및 상기 머리받침부를 중앙에 두고 안면받침부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머리받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상기 안면지지부보다 길어 유아의 등을 지지함에 따라 유아가 누운 자세를 바꾸지 못하게 하는 등받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유아의 등을 받쳐줌에 의해 유아가 몸을 뒤틀지 못하게 자세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하면, 여러가지 형태의 두상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획일적인 교정이 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영유아의 두상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두상을 교정할 수 있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탁이 용이하면서도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사용성이 편리한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형상을 가지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베개본체부; 상기 베개본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본체부의 양 끝단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삼각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쿠션부는 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른 측면을 형성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 및 제2쿠션부를 연결하는 제3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쿠션부 및 제2쿠션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쿠션부, 제2쿠션부 및 제3쿠션부에는 각각 두상을 지지하는 제1두상홈, 제2두상홈 및 제3두상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두상홈 및 제2두상홈의 깊이보다 제3두상홈의 깊이가 더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각지지부의 바닥면은 지지력을 강화하여 주는 실리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영유아의 두상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두상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탁이 용이하면서도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사용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아용 두상 교정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중 쿠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베개본체부 중 커버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중 삼각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삼각지지부의 사용을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는 베개본체부(300) 및 삼각지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개본체부는 쿠션부(100) 및 커버부(200)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쿠션부(100)는 전체적으로 거꾸로된 "U"자형으로 구비되며, 제1쿠션부(110), 제2쿠션부(120), 제3쿠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부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 중 VLDPE(Very Low Density Polyethlene)의 일종으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에틸렌(CH2=CH2)과 옥텐 또는 부텐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쿠션부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1mm~8mm 두께로 압출하여 가느다란 실처럼 만든 다음 그물망 구조로 코일형태로 구부려 쌓아 올려 제조된다. 이러한 상기 쿠션부는 인체에 무해하며, 물로 세탁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는 열압착에 의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쿠션부(110) 및 제2쿠션부(120)의 사이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즉, 상기 제1쿠션부(110)는 쿠션의 한 측면을 형성하고, 제2쿠션부(120)는 제1쿠션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른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3쿠션부는 가운데 위치하며, 제1쿠션부 및 제2쿠션부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1쿠션부(110), 제2쿠션부(120), 제3쿠션부(130)에는 각각 제1두상홈(112), 제2두상홈(122), 제3두상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두상홈 내지 제3두상홈은 각각 영유아의 머리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두상홈 내지 제3두상홈은 열압착에 의해 그 깊이 및 반경이 형성되며, 제1두상홈 및 제2두상홈의 깊이보다 제3두상홈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두상홈은 주로 가운데 뒷머리 부분을 지지하고, 제1두상홈 및 제2두상홈은 오른쪽 또는 왼쪽 뒷머리 부분을 지지하여 주도록 설계되어 서로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제1두상홈 및 제2두상홈의 깊이보다 제3두상홈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전체적으로 쿠션부(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쿠션부(100)가 커버부(200) 안쪽으로 삽입되면, 지퍼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부(200)는 쿠션부(100)가 삽입되어 두상이 지지되는 두상지지부(210) 및 공기가 들어 있는 에어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셀부(230)는 공기가 충진되어 머리가 돌려지거나 제3두상홈에 머리가 지지될 때 부가적인 쿠션역할을 해줄 수 있어 안정감을 높여 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개본체부의 측면 하부에는 삼각지지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삼각지지부(400)는 경사가 완만한 경사면(410), 가장 외곽에 마주하는 외부면(420), 아래쪽의 바닥면(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면(410)은 베개본체부의 하부에 접촉하여 제1쿠션부(110) 또는 제2쿠션부(120)를 경사지게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지지력강화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력강화부(412)는 복수 개의 엠보싱같은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되어 베개본체부와의 마찰력을 높여 주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430)에는 실리콘이 코팅된 실리콘부가 구비되며, 이것은 삼각지지부와 바닥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삼각지지부가 바닥을 따라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삼각지지부(400)를 제1쿠션부(110) 또는 제2쿠션부(120) 아래에 삽입하는 정도에 따라 제1쿠션부(110) 또는 제2쿠션부(120)의 경사도가 결정되며, 상기 제1쿠션부(110) 및 제2쿠션부(120) 사이의 중공부(140)에 의해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가 분리되어 경사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후두부가 긴 장두증의 경우 머리를 제3쿠션부(130)에 똑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하면 쿠션부의 압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후두부가 동그랗게 변형된다.
후두부가 옆쪽으로 치우친 사두증의 경우 머리를 제1쿠션부 또는 제2쿠션부에 두고 삼각지지부를 이용하여 한쪽을 받쳐줌으로써 압력을 가하여 후두부를 동그랗게 변형시킬 수 있다.
후두부가 납작한 단두증의 경우 양쪽 삼각지지부를 이용하여 양 경사면으로 받쳐줌으로써 자연적으로 후두부가 동그랗게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머리는 후두부의 공간을 위해 에어셀부(230)의 위치에 둘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쿠션부 110 : 제1쿠션부
112 ; 제1두상홈 120 : 제2쿠션부
122 : 제2두상홈 130 : 제3쿠션부
132 : 제3두상홈 140 : 중공부
200 : 커버부 230 : 에어셀부
300 : 베개본체부 400 : 삼각지지부

Claims (6)

  1. 일정 형상을 가지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베개본체부;
    상기 베개본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본체부의 양 끝단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삼각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쿠션부는 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1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른 측면을 형성하는 제2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 및 제2쿠션부를 연결하는 제3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쿠션부 및 제2쿠션부 사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쿠션부가 삽입되는 두상지지부 및 상기 두상지지부 사이에서 공기가 충진된 에어셀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 제2쿠션부 및 제3쿠션부에는 각각 두상을 지지하는 제1두상홈, 제2두상홈 및 제3두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제1두상홈 및 제2두상홈의 깊이보다 제3두상홈의 깊이가 더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지지부의 바닥면은 지지력을 강화하여 주는 실리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KR1020210141013A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KR10258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13A KR102589235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13A KR102589235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53A KR20230057053A (ko) 2023-04-28
KR102589235B1 true KR102589235B1 (ko) 2023-10-17

Family

ID=861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013A KR102589235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553A (ja) * 2003-07-31 2005-02-24 Shunichi Kihara 健康枕
JP2012513780A (ja) * 2008-12-31 2012-06-21 文兵 張 多方位に連続調節可能な保健・治療の両用枕
CN202619133U (zh) * 2012-06-29 2012-12-26 颜廷滨 防偏头婴幼儿枕头
CN205251096U (zh) * 2015-12-25 2016-05-25 库柏(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头部固定儿童护颈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553A (ja) * 2003-07-31 2005-02-24 Shunichi Kihara 健康枕
JP2012513780A (ja) * 2008-12-31 2012-06-21 文兵 張 多方位に連続調節可能な保健・治療の両用枕
CN202619133U (zh) * 2012-06-29 2012-12-26 颜廷滨 防偏头婴幼儿枕头
CN205251096U (zh) * 2015-12-25 2016-05-25 库柏(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头部固定儿童护颈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53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358C (zh) 床垫
JP2001521408A (ja) 健康保護用のベッドパッド
US6829794B2 (en) Infant and child back head curve support pad
US5423099A (en) Infant safety pillow
WO2002021978A2 (en) Pressure relief pillow and methods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KR102589235B1 (ko)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US5084926A (en) Contour pillow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200497315Y1 (ko) 슬립 보조장치
KR101574773B1 (ko) 기능성 베개
CN214510474U (zh) 舒适型婴童垫
CN220631784U (zh) 婴儿抱枕
CN213664666U (zh) 一种新型婴儿护枕
CN213046365U (zh) 一种预防矫正婴儿颅骨畸形的乳胶枕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KR101987869B1 (ko) 휴대용 유아 침구세트.
CN210354034U (zh) 一种分区承托床垫
US11825961B2 (en) Newborn sleep insert for bassinette and crib
CN214072756U (zh) 护颈枕
GB2212391A (en) Pillows
KR20240000998A (ko) 영유아용 두상변형 방지 베개
CN114343400A (zh) 护颈枕
KR20130126852A (ko) 조립이 가능한 베개
KR20180001578U (ko) 유아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