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29Y1 -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29Y1
KR200497229Y1 KR2020210001571U KR20210001571U KR200497229Y1 KR 200497229 Y1 KR200497229 Y1 KR 200497229Y1 KR 2020210001571 U KR2020210001571 U KR 2020210001571U KR 20210001571 U KR20210001571 U KR 20210001571U KR 200497229 Y1 KR200497229 Y1 KR 200497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melt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789U (ko
Inventor
남동현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1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2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애융을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어 효율이 향상되며, 작은 크기의 애융도 손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막대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애융의 형태를 유지하며 틀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경혈자리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애융을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MOULD FOR MOLDING MOXA CON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한방 의료행위 중 뜸 시술에 사용되는 애융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뜸(moxibustion)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의료용구 혹은 의료행위를 말한다. 뜸의 재료는 다양하지만, 주로 쑥 중에서도 어리고 연한 잎과 줄기를 말린 약쑥을 뭉쳐 아픈 부위 혹은 아픈 부위와 연관된 뜸자리나 경혈(經穴)에 놓고 태워 자극을 주어 질병을 치료한다. 이렇게 뭉친 말린 약쑥 덩어리를 애융(艾絨)이라고 하며, 뜸의 크기는 작게는 쌀알만한 크기(米粒大)부터 크게는 자두만한 크기(李子大)까지 다양하다. 뜸의 시술방법은 피부에 직접 올려놓고 태워서 화상흔(火傷痕)을 남기는 직접구(直接灸)도 있고, 불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고 뜨는 간접구(間接灸)로 나뉜다. 간접구에는 얇게 썬 생강이나 마늘, 황토 또는 황토용기, 소금 등과 같은 부재료를 피부에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뜸 재료를 올려놓고 뜨는 격구(膈灸)와 피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 따뜻한 기운만 전달하는 온화구(溫和灸) 등이 있다.
애융은 일반적으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지만, 간접구로 사용될 경우 짧은 원기둥이나 관 모양(pipe shape; 주로 침과 결합되어 사용됨)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온화구(溫和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긴 원기둥 모양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애융은 완제품화된 형태로 유통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한의사가 뜸을 시술할 때마다 직접 약쑥을 뭉쳐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약쑥은 부드러운 솜뭉치와 같아 뭉쳐서 성형했다고 하더라도 작은 충격에도 그 모양이 쉽게 망가지기 때문에 미리 성형하여 유통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의 (A)와 같이 흔히 절구 형태의 성형틀(11)에 약쑥을 눌러담아 형태를 형성하며 애융(10)을 성형하였는데, 이와 같은 성형방식은 한번에 하나의 애융만을 성형할 수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절구를 이용한 성형방식에서는 도 1의 (B)와 같이 절구형태의 성형틀(11)에서 애융(10)을 분리하기 위해 애융(10)의 밑면에 막대(12)를 꽂아 들어올리며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로 인해 도 2와 같이 성형된 애융(10)에 막대(12)를 꽂았던 구멍(22)이 남아있게 되어 피부(20)에 애융(10)을 직접 올려놓는 직접구 방식으로 시술하는 경우 정작 시술해야하는 뜸자리 내지는 경혈자리(21)에 애융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절구를 이용한 성형방식은 크기가 큰 애융을 성형하기에는 적합하지만, 예를 들어 티눈, 사마귀, 쥐젖 등의 제거를 위해서는 쌀알 정도의 작은 크기로 애융을 성형하여야 하는데 애융이 작아지는 만큼 절구와 막대도 작고 얇아져야 하므로 사용자가 다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뜸 시술을 위한 애융을 성형함에 있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은 크기의 애융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수단의 도입이 시급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1763호 (2001.11.17)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애융을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어 효율이 향상되며, 작은 크기의 애융도 손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막대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애융의 형태를 유지하며 틀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경혈자리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애융을 성형할 수 있는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 1 형틀; 제 1 형틀에는 제 1 형틀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제 2 형틀; 제 2 형틀은 제 1 형틀의 홀에 삽입되어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 형틀과 제 2 형틀이 접촉하는 경계면에서 제 1 형틀과 제 2 형틀에 걸쳐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홈;을 포함하는 애융 성형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애융 성형틀을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으로서, 성형홈에 약쑥을 삽입하여 애융을 형성하는 형성단계; 제 2 형틀을 제 1 형틀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제 1 형틀의 성형홈에 남아있는 애융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애융 성형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애융을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어 효율이 향상되며, 작은 크기의 애융도 손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막대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애융의 형태를 유지하며 틀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경혈자리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애융을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애융 성형을 위한 절구 및 이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방식에 의해 성형된 애융의 시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성형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성형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성형틀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성형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성형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성형틀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성형틀(300)은, 제 1 형틀(310), 제 2 형틀(320) 및 성형홈(330)을 포함한다.
제 1 형틀(310)과 제 2 형틀(320)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제 1 형틀(310)에는 제 1 형틀(310)을 관통하는 홀(311)이 형성되고 제 2 형틀(320)은 제 1 형틀(310)의 홀(311)에 삽입되어 홀(311)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면에는 홀(311)이 제 1 형틀(31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제 1 형틀(310)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홀(311)은 단면이 양측이 볼록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 1 형틀(310) 및 홀(3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형틀(320)은 제 1 형틀(310)의 홀(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형틀(320)은 홀(311)에 삽입되며 제 1 형틀(310)과 맞물린다. 사용자가 제 2 형틀(320)을 제 1 형틀(310)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형틀(310)에는 홀(311)과 연결되며 홀(311)이 형성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슬릿(3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슬릿(312)이 상방으로 개구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슬릿(312)을 통해 제 1 형틀(310)과 맞물리는 제 2 형틀(32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홀(311)에 삽입된 제 2 형틀(320)이 슬릿(3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슬릿(312)은 홀(3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홈(330)은 사용자가 약쑥을 삽입하여 애용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홈으로서, 제 1 형틀(310)과 제 2 형틀(320)이 접촉하는 경계면에서 제 1 형틀(310)과 제 2 형틀(320)에 걸쳐 형성되며, 홀(311)이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면에는 성형홈(330)이 정면을 향해 개구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형틀(310)과 제 2 형틀(3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약쑥을 성형홈(330)에 삽입할 수 있다.
성형홈(330)은 제 1 형틀(310)과 제 2 형틀(320)의 경계면에 걸쳐 형성되므로, 성형홈(330)은 제 1 형틀(310)에 형성된 홈(330a) 및 제 2 형틀(320)에 형성된 홈(330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제 2 형틀(320)이 제 1 형틀(310)의 홀(311)에 삽입되어 맞물린 상태에서는 양 홈(330a,330b)이 일치하여 성형홈(330)을 형성하며, 제 2 형틀(320)이 제 1 형틀(310)에 대해 이동된 상태에서는 양 홈(330a,330b)이 엇갈리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홈(330)이 양 홈(330a,330b)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의해,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애융을 성형할 수 있게 되는데,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성형홈(330)의 형상은 성형하고자 하는 애융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원뿔 형상의 애융을 성형하기 위한 경우 성형홈(3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홈(330)은 경계면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할 수 있는데, 즉 제 1 형틀(310)의 홈(330a)과 제 2 형틀(320)의 홈(330b)이 대칭적으로 정확히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성형홈(330)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성형홈(330)이 3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성형홈(330)이 도면 상 형틀의 정면에만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배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성형홈(330)은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성형틀(300) 하나로부터 한번에 다수의 동일한 애융을 성형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성형홈(330)의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에 비해 서로 다른 형태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성형틀(300) 하나로부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애융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성형홈(330)에서 성형된 애융을 분리할 때 막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성형홈(330)의 크기를 작게 하여 작은 크기의 애융을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들에 의한 애용 성형틀(300)을 이용하여 애융(M)을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성형홈(330)에 약쑥을 삽입하여 애융(M)을 형성한다. 이 때 사용자는 성형홈(330)에 삽입된 약쑥을 막대(P)를 이용하여 다져 애융(M)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성형틀(300)을 바닥에 눕힌 후 약쑥을 삽입하는 사용례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애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막대(P)는 형틀에서 애융을 분리하기 위한 막대와 상이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형틀(320)을 제 1 형틀(310)에 대해 이동시켜 성형홈(330)을 양 홈(330a,330b)으로 분리하면, 성형홈(330)에서 형성된 애융(M)은 제 2 형틀(320)의 홈(330b)에서 이탈되고 제 1 형틀(320)의 홈(330a)에 남아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애융(M)을 손으로 집거나 제 1 형틀(310)을 바닥에 쳐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융(M)을 제 1 형틀(31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성형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막대를 사용할 필요 없이 성형틀에서 성형된 애융을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성형된 애융에 막대가 삽입된 흔적 등이 없어 경혈자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애융을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어 효율이 향상되며, 작은 크기의 애융도 손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막대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애융의 형태를 유지하며 틀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경혈자리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애융을 성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애융 성형틀 310: 제 1 형틀
311: 홀 312: 슬릿
320: 제 2 형틀 330: 성형홈
P: 막대 M: 애융

Claims (5)

  1. 제 1 형틀; 상기 제 1 형틀에는 상기 제 1 형틀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제 2 형틀; 상기 제 2 형틀은 상기 제 1 형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형틀과 제 2 형틀이 접촉하는 경계면에서 상기 제 1 형틀과 제 2 형틀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형홈;
    을 포함하는 애융 성형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융 성형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상기 경계면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융 성형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틀에는 상기 홀과 연결되며 상기 홀이 형성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융 성형틀.
  5. 삭제
KR2020210001571U 2021-05-17 2021-05-17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KR200497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71U KR200497229Y1 (ko) 2021-05-17 2021-05-17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71U KR200497229Y1 (ko) 2021-05-17 2021-05-17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89U KR20220002789U (ko) 2022-11-24
KR200497229Y1 true KR200497229Y1 (ko) 2023-09-06

Family

ID=8423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71U KR200497229Y1 (ko) 2021-05-17 2021-05-17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2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85B1 (ko) 2007-11-19 2009-03-02 한광수 쑥뜸용 쑥봉 제조장치
CN201969009U (zh) 2011-03-07 2011-09-1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艾炷制作器
CN106389115B (zh) 2016-12-05 2018-09-18 高本梅 一种圆锥形艾柱制作器
CN209713657U (zh) 2018-05-30 2019-12-03 柳州市妇幼保健院 一种用于艾绒成型的模具
CN211390312U (zh) 2019-10-22 2020-09-01 福建中医药大学附属第二人民医院 一种艾柱制作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763Y1 (ko) 2001-07-12 2001-11-17 고기훈 쑥봉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85B1 (ko) 2007-11-19 2009-03-02 한광수 쑥뜸용 쑥봉 제조장치
CN201969009U (zh) 2011-03-07 2011-09-1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艾炷制作器
CN106389115B (zh) 2016-12-05 2018-09-18 高本梅 一种圆锥形艾柱制作器
CN209713657U (zh) 2018-05-30 2019-12-03 柳州市妇幼保健院 一种用于艾绒成型的模具
CN211390312U (zh) 2019-10-22 2020-09-01 福建中医药大学附属第二人民医院 一种艾柱制作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89U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5110S1 (en) Electric kettle
USD911528S1 (en) Patient table
RU2018145509A (ru) Электр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ая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м изделием, генерирующим аэрозоль
KR200497229Y1 (ko) 애융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애융 성형방법
MX2022009167A (es) Formulaciones para vacuna contra coronavirus.
USD787675S1 (en) Surgical cervical curette
USD794789S1 (en) Electrosurgical forceps
KR20160133047A (ko)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의료용 임플란트
CA181771S (en) Folding insulated cooler
CN202386956U (zh) 颈肩部专用艾灸盒
CA106272S (en) Surgical blade
CN209347657U (zh) 儿童口服药片分割器
CN105615945B (zh) 一种新型手术肿瘤取出钳
DK1423525T3 (da) Rekombinant MVA, der kan eksprimere HCV-strukturantigener
TW201617240A (zh) 皂花之製造方法
CN103800492B (zh) 一种消糜栓及其制备方法
JP2018533995A5 (ko)
CN105232319A (zh) 中医温针防护装置
CN206482696U (zh) 一种用于治疗阴道穹窿脱垂的补片及含有所述补片的修复产品
USD934443S1 (en) Mixing device for bone cement
CN203724213U (zh) 长度可调双极电凝
CN209154466U (zh) 一种熏蒸治疗床
CN209253636U (zh) 药丸压制模具
CN204636441U (zh) 一种医用拉钩
CN208905404U (zh) 熬制鹿胶快速成型剥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