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78Y1 -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78Y1
KR200497078Y1 KR2020220001240U KR20220001240U KR200497078Y1 KR 200497078 Y1 KR200497078 Y1 KR 200497078Y1 KR 2020220001240 U KR2020220001240 U KR 2020220001240U KR 20220001240 U KR20220001240 U KR 20220001240U KR 200497078 Y1 KR200497078 Y1 KR 200497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nishing stone
wall
cutou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사
Priority to KR2020220001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와 마감석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된 앵글과, 상기 앵글의 단부에서 길이조절하여 연결되는 조정판과, 상기 조정판에서 마감석재와 연결되는 핀으로 구성된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앵글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중앙부분이 개구되게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는 양측과 상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하부는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앵글의 수평부를 받치게 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절개부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앵글의 수직부가 상기 개구부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하여 상기 조정판이 상기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Reinforcing material used in devices for fastening exterior masonry in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마감석재를 고정하기 위한 앵글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앵글의 휨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재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물 골조 시공이 완료되고 외장을 고급스럽게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마감석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벽체에 앵글이 설치되고, 앵글에 단부에서 마감석재까지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판이 설치되어 수평거리를 조절하며, 조정판의 단부에는 마감석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핀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자세하게 앵글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어 수직부는 벽체에 고정되고 수평부가 조정판과 연결되고, 그 조정판은 마감석재와 연결되게 되는데 앵글에서 특히 수평부 부분에 마감석재의 하중에 의한 휨 강도를 많이 받으므로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앵글을 벽체에 설치할 때 일정각도 기울이게 하여 조정판이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되게 하여 결속력을 높이는 시공도 필요하다.
KR 20-0378378 Y1 KR 20-0358585 Y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감석재를 고정하는 앵글의 휨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앵글을 일정각도 기울게 하여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되게 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와 마감석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된 앵글과, 상기 앵글의 단부에서 길이조절하여 연결되는 조정판과, 상기 조정판에서 마감석재와 연결되는 핀으로 구성된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앵글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중앙부분이 개구되게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는 양측과 상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하부는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앵글의 수평부를 받치게 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절개부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앵글의 수직부가 상기 개구부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하여 상기 조정판이 상기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개구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앵글의 수직부와 볼트 연결되어 볼트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앵글의 수평부와 상기 조정판이 연결되는 볼트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보강재가 상기 앵글을 받침으로써 휨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안착되는 앵글을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가이드 하게 된다. 그래서 최종적 연결되는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하여 연결할 수 있어 마감석재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에 앵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의 고정장치 보강재의 설치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에 앵글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마감석재의 고정장치 보강재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벽체(w)와 마감석재(s1,s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w)에 설치되는 수직부(120)와 수평부(140)로 구성된 앵글(100)과, 상기 앵글(100)의 단부에서 길이조절하여 연결되는 조정판(200)과, 상기 조정판(200)에서 마감석재(s1,s2)와 연결되는 핀(300)으로 구성된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보강재를 주된 기술로 하는 고안이다.
본 고안의 보강재는 크게 본체(10)와 절개부(12)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체(10)는 상기 벽체(w)와 앵글(1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본체(10)에서 중앙부분이 직사각 형태로 개구되게 하는 절개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12)는 양측과 상측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고 하부는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앵글(100)의 수평부(140)를 받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절곡됨으로써 개구부(11)가 형성되게 되고, 개구부(11)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앵글(100)의 수직부(120)와 볼트 연결되게 볼트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어 벽체를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는 벽체에 고정되는 앙카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12)에는 단부에 일정크기로 절개되어 빈공간을 가지는 제2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앵글(100)의 수평부(140)와 상기 조정판(200)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절개부(1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절개부(12)에 제2가이드홈(14)이 형성됨으로써 체결되는 볼트는 가이드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보강재의 본체(10)에 절곡된 절개부(12)가 형성되게 한 것이 주요 특징이며, 절개부(12)에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앵글(100)이 안착되어 휨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재의 본체(10)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앵글(100)의 수직부(120)가 상기 개구부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앵글(100) 자체가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하면서 핀으로 연결할 수 있어 마감석재의 결속력이 좋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개구부
12: 절개부
13: 제1가이드홈
14: 제2가이드홈
100: 앵글
120: 수직부
140: 수평부
200: 조정판
300: 핀

Claims (2)

  1. 벽체와 마감석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된 앵글과, 상기 앵글의 단부에서 길이조절하여 연결되는 조정판과, 상기 조정판에서 마감석재와 연결되는 핀으로 구성된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앵글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중앙부분이 개구되게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는 양측과 상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하부는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앵글의 수평부를 받치게 되고,
    상기 앵글은 상기 절개부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앵글의 수직부가 개구부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하여 상기 조정판이 상기 마감석재를 하향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개구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앵글의 수직부와 볼트 연결되어 볼트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앵글의 수평부와 상기 조정판이 연결되는 볼트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KR2020220001240U 2022-05-20 2022-05-20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KR200497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0U KR200497078Y1 (ko) 2022-05-20 2022-05-20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0U KR200497078Y1 (ko) 2022-05-20 2022-05-20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78Y1 true KR200497078Y1 (ko) 2023-07-20

Family

ID=8742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40U KR200497078Y1 (ko) 2022-05-20 2022-05-20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7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255U (ko) * 1991-07-02 1993-02-26 구연욱 손목시계 밀봉조립체
KR200358585Y1 (ko) 2004-05-17 2004-08-09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378378Y1 (ko) 2004-12-24 2005-03-14 강수미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255U (ko) * 1991-07-02 1993-02-26 구연욱 손목시계 밀봉조립체
KR200358585Y1 (ko) 2004-05-17 2004-08-09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378378Y1 (ko) 2004-12-24 2005-03-14 강수미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84B1 (ko) 정착브라켓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각 보강장치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CN101177986B (zh) 冰箱用可调节下铰链
KR200497078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의 보강재
KR102230607B1 (ko)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KR20042000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4709941B2 (ja) 建物躯体に外装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金物
KR100844524B1 (ko) 벽체 끝단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클램핑 장치
US8042310B2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102499321B1 (ko) 반도체 진공용 밸브 구조
KR102294527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577639B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209620Y1 (ko) 콘크리트거푸집용 팀버브라켓트
KR200235678Y1 (ko) 석재 고정구
KR101794100B1 (ko) 건식 공법으로 제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0753494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01589Y1 (ko) 슬래브용 스프링 서포터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A2579852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KR102652447B1 (ko)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CN219910142U (zh) 环向张拉锚固装置
KR100979880B1 (ko) 벽체용 알루미늄패널 거푸집의 하부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