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36Y1 - 눈썰매 출발장치 - Google Patents

눈썰매 출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36Y1
KR200496936Y1 KR2020200004628U KR20200004628U KR200496936Y1 KR 200496936 Y1 KR200496936 Y1 KR 200496936Y1 KR 2020200004628 U KR2020200004628 U KR 2020200004628U KR 20200004628 U KR20200004628 U KR 20200004628U KR 200496936 Y1 KR200496936 Y1 KR 200496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chain
coupled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481U (ko
Inventor
윤석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운해태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운해태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운해태홀딩스
Priority to KR2020200004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3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눈썰매를 순조롭게 출발시킬 수 있도록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는 눈썰매 출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눈썰매을 출발시키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어 고정체에 의해 고정되는 롤러카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눈썰매를 순조롭게 출발시키기 위해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출발이 가능하며,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된 눈썰매 출발대의 롤러카펫에 의해 눈썰매의 출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썰매의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눈썰매 출발장치{Snow sled starting device}
본 고안은 눈썰매 출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눈썰매를 순조롭게 출발시킬 수 있도록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는 눈썰매 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썰매장은 경사면에 눈을 뿌리거나 천연설을 이용하는 눈 썰매장과, 경사면에 미끄럼 매트를 설치하여 겨울철 이외에 다른 계절에도 미끄럼 매트 위를 썰매로 타고 내려오는 사계절 썰매장이 있다.
현재,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사계절 썰매장 시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사계절 썰매장의 경우 썰매를 사용자가 직접 들고 출발지점까지 가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썰매장을 이용하는 사람은 나이가 어린 유치원생이거나 초등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무거운 썰매를 들고 경사면을 오르기가 쉽기 않고, 리프트가 구비된 경우에도 무거운 썰매를 항상 가지고 있어야 되므로 어린 아이들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사계절 썰매장은 출발지의 안정을 위해 다수의 안전요원이 출발지에 배치되어 썰매를 밀어주거나 썰매 간격을 맞춰주는 일을 한다. 따라서, 출발지에서 썰매를 정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다수의 안전요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사계절 전천후 썰매장은 공개특허공보 10-2010-0099965(2010091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로프의 경사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여 활강하는 썰매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다른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9664호(2012.01.18. 등록)의 "사계절 썰매장"은 썰매를 타고 내려오는 경사 슬로프와, 상기 경사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어 복수의 썰매를 자동으로 출발시키는 자동출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출발장치는 출발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썰매를 경사슬로프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이송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측이 감겨지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방측이 감겨지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 물림되고 인접하게 위치되는 구동폴리에 고정된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풀리들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모든 구동풀리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자동출발장치는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하기 위한 설치가 필요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반비용이 발생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모터는 눈에 의해 고습도의 환경이 설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눈썰매를 타지 않는 야간에 습기에 의해 모터의 내부가 얼어 구동의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습기에 의해 모터의 재사용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9664호(2012.01.18.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눈썰매를 순조롭게 출발시키기 위해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한 눈썰매 출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된 눈썰매 출발대의 롤러카펫에 의해 눈썰매의 출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눈썰매의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도록 한 눈썰매 출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눈썰매을 출발시키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어 고정체에 의해 고정되는 롤러카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 출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레임은, 롤러카펫이 고정되는 바닥프레임; 사용자가 눈썰매를 출발시킬 시에 손으로 잡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바닥프레임의 배면 쪽에 설치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닥프레임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롤러카펫이 바닥프레임에서 슬로프로 완만한 경사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롤러카펫은, 다수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체인바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인바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롤러카펫은, 3/5이 프레임의 바닥프레임 상단에 설치되고, 2/5는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어 눈썰매의 출발 시 롤러의 회전에 의해 마찰력이 줄어들면서 눈썰매가 롤러카펫에 안내되면서 슬로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눈썰매를 순조롭게 출발시키기 위해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출발이 가능하여 재미있게 눈썰매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된 눈썰매 출발대의 롤러카펫에 의해 눈썰매의 출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썰매의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롤러카펫은 3/5이 프레임의 바닥프레임 상단에 설치되고, 2/5는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어 눈썰매의 출발 시 롤러의 회전에 의해 마찰력이 줄어들면서 눈썰매가 롤러카펫에 안내되면서 슬로프로 진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러카펫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에 눈썰매가 위치되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는 눈썰매장의 출발지에 설치하여 썰매를 타는 사람이 프레임(100)을 손으로 잡거나 또는 발로 밀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눈썰매(10)를 타는 사람이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밀어 추진대 역할을 하는 프레임(100)를 이용하여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카펫을 따라 눈썰매(10)가 이동항여 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눈썰매 출발장치는 프레임(100)과 롤러카펫(2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롤러카펫(200)이 고정되어 눈썰매(10)의 출발 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또는 발로 밀어 눈썰매(10)를 이동시키는 추진대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롤러카펫(200)이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바닥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20)과, 바닥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일측에 측면프레임(120)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후면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프레임(110)은 복수로 바닥측면프레임(111)이 구비되고, 복수의 바닥측면프레임의 일측에 바닥후면프레임(112)이 설치되며, 복수의 바닥측면프레임(111)의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고정프레임(113)이 설치되어 바닥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바닥측면프레임(111)은 일측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111-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1-1)은 바닥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롤러카펫(200)의 각도가 슬로프 쪽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20)은 바닥프레임(110)의 측면에 수직하게 복수의 측면수직프레임(121)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수직프레임(121)의 상단, 중간 및 하단에 각각 측면수평프레임(122)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수직프레임(121)의 일측에 보강프레임(123)이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수직프레임(121)에는 연결프레임(124)이 설치되어 바닥프레임(110)의 바닥측면프레임(111)에 일측단이 고정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은 바닥프레임(11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후면수직프레임(131)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상단과 하단에 후면수평프레임(13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후면수직프레임(131)은 바닥프레임(110)의 양측단과 중앙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수직프레임(131)의 상단에 설치되는 후면수평프레임(132)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프레임(131)을 사용자가 발로 밀어 출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카펫(200)은 프레임(100)과 슬로프에 걸쳐지도록 설치하여 눈썰매(10)의 출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롤러카펫(20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다수로 이루어지는 체인바(210)가 연결되게 복수로 구성되고, 눈썰매(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체인바(2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220)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바(200)는 다수의 체인(211)이 고정핀(211-4)에 의해 연결되게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프레임(100)의 상부와 슬로프의 출발지에 걸쳐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체인(211)은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체인몸체(211-1)와, 체인몸체(211-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돌기(211-2)가 형성되고, 다른 체인몸체(211-1)에 형성된 고정돌기(21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체인몸체(211-1)는 고정체(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결합홀(211-12)이 중앙에 형성되고, 롤러(220)의 롤러축(22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공(211-14)이 형성된 축결합관(211-13)이 체인몸체(211-1)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11-2)에는 다른 체인(211)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ㄱ고정핀(211-4)이 결합되는 핀홀(21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1-3)에는 다른 체인(211)의 고정돌기(211-2)가 결합홈(21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핀(211-4)이 결합되는 핀결합홀(211-32)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2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몸체(221)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몸체(221)의 내측에 롤러축(222)이 설치되어 체인몸체(211-1)의 상단에 형성된 축결합관에 끼워지며, 상기 롤러축(222)에는 복수의 베어링(223)이 설치되어 롤러몸체(221)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롤러축(222)은 체인몸체의 축결합관(211-1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결합홈(222-1)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결합홈(222-1)에는 롤러축(22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인몸체(211-1)의 축결합관(211-13) 일측에 위치되게 와셔(224)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카펫(200)을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체인몸체(211-1)의 결합홈(211-31) 일측에 고정체(2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체(230)의 일측에 결합하여 체인몸체(211-1)에 고정한 후 고정체(230)의 다른 일측에는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하여 롤러카펫(200)이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눈썰매 출발장치는 슬로프의 출발지에 프레임을 설치한 상태에서 프레임의 상단에 롤러카펫의 약 3/5 정도를 안착시키고, 이때 롤러카펫이 프레임에서 분지되지 못하도록 고정체를 이용하여 롤러카펫을 프레임에고정시킨다.
또한, 프레임의 끝단 부분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에서 슬로프에 걸쳐 위치되는 롤러카펫의 3/5 지점의 부분이 꺽이는 현상없이 완만한 각도로 프레임에서 슬로프로 연결된다.
그리고 롤러카펫의 약 2/5는 슬로프에 경사를 따라 각도가 유지되면서 눈썰매(10)가 용이하게 출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슬로프의 출발지에 본 고안의 눈썰매 출발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썰매(10)를 타기 위해서는 먼저, 눈썰매를 프레임에 위치된 롤러카펫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썰매(10)에 탑승하여 출발을 하는데, 이때 출발은 2가지 형태로 출발이 가능하다.
첫번째는 사용자가 슬로프를 보면서 출발하는 경우로 이때에는 눈썰매(10)에 탑승한 사용자가 측면프레임(120)의 전방 쪽을 손을 잡은 상태에서 측면프레임(120)을 사용자 쪽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행동을 취하면, 당기는 힘에 의해 눈썰매(10)는 추진력을 얻어 롤러카펫(200)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되는 눈썰매(10)는 슬로프를 따라 내려간다.
상기 롤러카펫(200)의 롤러(220)는 눈썰매(10)가 이동함에 따라 롤러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눈썰매(1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롤러에 의해 마찰력이 최소화되면서 눈썰매(10)는 눈썰매 출발대에서 출발이 이루어진다.
두번째는 사용자가 슬로프를 등진 상태에서 후면프레임(130)을 바라보면서 발을 후면프레임(130)의 후면수평프레임(13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로 후면수평프레임(132)을 밀면, 발로 미는 힘에 의해 눈썰매(10)는 추진력을 얻어 롤러카펫(200)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되는 눈썰매(10)는 슬로프로 진입하여 경사를 따라 내려간다.
상기 롤러카펫(200)의 롤러(220)는 눈썰매(10)의 이동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눈썰매(1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마찰력이 최소화되는 눈썰매(10)는 롤러카펫(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로프로 진입하여 경사를 따라 내려간다.
상기와 같이 손 또는 발에 의해 눈썰매(10)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때 롤러카펫(200)의 체인바(210)는 고정체(230)에 의해 바닥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눈썰매(10)의 추진력을 얻으므로 눈썰매장의 출발지에서 출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눈썰매 출발대는 사용자가 눈썰매(10)를 순조롭게 출발시키기 위해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출발이 가능하기 재미있게 눈썰매(10)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된 눈썰매 출발대의 롤러카펫(200)에 의해 눈썰매(10)의 출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썰매(10)의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고안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고안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눈썰매 100: 프레임
110: 바닥프레임 111: 바닥측면프레임
111-1: 경사면 112: 바닥후면프레임
113: 고정프레임 120: 측면프레임
121: 측면수직프레임 122: 측면수평프레임
123: 보강프레임 124: 연결프레임
130: 후면프레임 131: 후면수직프레임
132: 후면수평프레임 200: 롤러카펫
210: 체인바 211: 체인
211-1: 체인몸체 211-12: 볼트결합홀
211-13: 축결합관 211-14: 축결합공
211-2: 고정돌기 211-21: 핀홀
211-3: 결합돌기 211-31: 결합홈
211-32: 핀결합홀 211-4: 고정핀
220: 롤러 221: 롤러몸체
222: 롤러축 222-1: 와셔결합홈
223: 베어링 224: 와셔
230: 고정체

Claims (5)

  1.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눈썰매를 출발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되어 고정체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롤러카펫(20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은,
    롤러카펫이 고정되는 바닥프레임(110); 사용자가 눈썰매를 출발시킬 시에 손으로 잡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20); 및 사용자가 눈썰매를 출발시킬 시에 발로 밀쳐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측면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바닥프레임(110)의 배면 쪽에 설치되는 후면프레임(13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프레임은, 복수로 바닥측면프레임이 구비되고, 복수의 바닥측면프레임의 일측에 바닥후면프레임이 설치되며, 복수의 바닥측면프레임(111)의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고정프레임(113)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측면프레임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롤러카펫이 바닥프레임에서 슬로프로 완만한 경사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카펫은,
    다수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체인바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인바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3/5이 프레임의 바닥프레임(110) 상단에 설치되고, 2/5는 슬로프의 출발지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바는 다수의 체인이 고정핀에 의해 연결되게 결합되고,
    상기 체인은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체인몸체와, 체인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체인몸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인몸체는 고정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결합홀이 중앙에 형성되며, 롤러의 롤러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공이 형성된 축결합관이 체인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다른 체인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는 다른 체인의 고정돌기가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핀이 결합되는 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몸체의 내측에 롤러축이 설치되어 체인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축결합관에 끼워지고, 상기 롤러축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롤러몸체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축은 와셔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셔결합홈에는 체인몸체의 축결합관 일측에 위치되게 와셔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카펫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체인몸체의 결합홈 일측에 고정체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체의 일측에 결합하여 체인몸체에 고정한 후 고정체의 다른 일측에는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하여 롤러카펫이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썰매 출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4628U 2020-12-17 2020-12-17 눈썰매 출발장치 KR200496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28U KR200496936Y1 (ko) 2020-12-17 2020-12-17 눈썰매 출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28U KR200496936Y1 (ko) 2020-12-17 2020-12-17 눈썰매 출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81U KR20220001481U (ko) 2022-06-24
KR200496936Y1 true KR200496936Y1 (ko) 2023-06-13

Family

ID=8221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628U KR200496936Y1 (ko) 2020-12-17 2020-12-17 눈썰매 출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3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29Y1 (ko) * 2002-06-04 2002-09-11 박형진 경사면에 롤러가 사용된 슬로프
KR101109664B1 (ko) * 2011-09-05 2012-02-20 이문기 사계절 썰매장
KR200490620Y1 (ko) * 2019-03-06 2019-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썰매 자동 출발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283A (ko) * 2002-10-21 2004-04-28 김신관 스키 및 스노우보드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29Y1 (ko) * 2002-06-04 2002-09-11 박형진 경사면에 롤러가 사용된 슬로프
KR101109664B1 (ko) * 2011-09-05 2012-02-20 이문기 사계절 썰매장
KR200490620Y1 (ko) * 2019-03-06 2019-1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썰매 자동 출발 제어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양주눈꽃축제 즐길거리가 가득!’,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9.01.22.),<https://blog.naver.com/yangju619/221448014649>*
‘양주 눈꽃축제 눈썰매장, 장흥 자연휴양림에서 줄썰매 즐기기~’,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9.01.09.),<https://blog.naver.com/PostPrint.naver?blogId=duswk75&logNo=2214374227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81U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864A (en) Angularly adjustable ski deck
US6743107B2 (en) Slide apparatus
KR101942017B1 (ko) 익사이팅 사이클
US20170056712A1 (en) Moving portable dance floor for classroom
US8196244B2 (en) Modular ramp system
US4021033A (en) Skating aid
KR200496936Y1 (ko) 눈썰매 출발장치
US6074305A (en) Implement for playing, walking and training
KR100714176B1 (ko) 비전동식 런닝 머신
US20180207538A1 (en) Floating mobile water park
US4582341A (en) Ski pole modifying apparatus
JP5036944B2 (ja) 階段昇降設備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EP3821954A1 (en) Ball lifting device
US20200330851A1 (en) Amusement apparatus providing continuous wave motion
KR20220130466A (ko) 케이블 바이크
KR102188253B1 (ko) 양방향 주행이 가능한 하늘 자전거
US7273443B1 (en) Portable interlocking skate rail assembly
KR101555288B1 (ko) 보드 썰매
KR20110064855A (ko) 슬라이딩식 주행보드
US20090075741A1 (en) Extreme sports vehicle stimulator trainer (E.S.V.S.T.)
US20020093165A1 (en) Human powered skateboard roller coaster
KR100818128B1 (ko)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US20130167748A1 (en) Riding Board and an Actuating System
KR102451526B1 (ko) 미끄럼롤러가 장착된 썰매장 동시출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