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93Y1 - 탁상용 달력 - Google Patents

탁상용 달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93Y1
KR200496893Y1 KR2020200002922U KR20200002922U KR200496893Y1 KR 200496893 Y1 KR200496893 Y1 KR 200496893Y1 KR 2020200002922 U KR2020200002922 U KR 2020200002922U KR 20200002922 U KR20200002922 U KR 20200002922U KR 200496893 Y1 KR200496893 Y1 KR 200496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rt
calendar
stand
rear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18U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2020200002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9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42D5/045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으로 엮지 않고 일정 각도의 스탠드에 안착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나 고리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달력지나 스탠드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으로, 일정 크기 판형상의 전면부(11)와, 전면부(11)의 상단부에서 전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 중앙부에 절곡용 홈(121)이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상부의 지지부(122)와 하부의 접합부(123)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으로 접혀 질 수 있도록 연결부(13)에 의해 전면부(11)의 상단부와 접합부(123)가 연결되는 후면부(12)와, 전면부(11)의 하부에 같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통공되는 한 쌍의 결합공(113)으로 이루어져, 후면부(12)가 전면부(11)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접혀져 접합부(123)가 전면부(11)의 배면에 접합되고 후면부(12)의 지지부(122)가 외측으로 젖혀져 전면부(11)의 배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스탠드(10)와; 스탠드(10)의 결합공(113)에 삽입되어 전면부(11)의 전면으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거치수단(20)과; 거치수단(20)의 상부에 하부가 거치되며 거치수단(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홈(31)이 형성되는 달력지(30);를 포함하는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탁상용 달력{A desk calendar}
본 고안은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으로 엮지 않고 일정 각도의 스탠드에 안착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나 고리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달력지나 스탠드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단순거치하는 구성으로 달력지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광고지, 메모지 등 다양하게 스탠드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달력은 책상이나 선반, 탁자 따위에 올려 두고 보는 달력으로서, 대개 작은 크기로, 밑면을 넓게 하여 바닥에 세워 놓고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탁상용 달력은 1월부터 12월까지의 달력지를 차례로 넘겨볼 수 있도록 달력지 들을 스프링이나 고리 등의 수단으로 엮어 구성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스프링이나 고리의 체결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달력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스프링이나 고리 등의 결합수단을 달력지에서 제거하기가 어려워 재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복수개의 접이선을 따라 조립되는 탁상용 달력으로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제1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제2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전면부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거치되는 월력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이선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의 상측부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며, 상기 후면부의 상측부에는 상기 전면부의 관통 홈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돌출되는 끼움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영역에 복수개의 월력지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월력지(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41)에 끼움 영역(131)을 끼워 넣어 월력지(140)를 고정하도록 하는데 이는 월력지(140)의 자중에 의하여 끼움영역(131)이 쳐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월력지(140)의 안정적이 지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2020-0040372호 "탁상용 달력"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탠드를 별도의 끼움 구조 없이 간단하게 접어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탠드의 하부에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성한 후 거치수단에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으로 엮지 않고 단순히 거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 거치 구조로 달력지의 안정적이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사용한 달력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달력지나 스탠드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탁상용 달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일정 크기 판형상의 전면부(11)와, 전면부(11)의 상단부에서 전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 중앙부에 절곡용 홈(121)이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상부의 지지부(122)와 하부의 접합부(123)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으로 접혀 질 수 있도록 연결부(13)에 의해 전면부(11)의 상단부와 접합부(123)가 연결되는 후면부(12)와, 전면부(11)의 하부에 같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통공되는 한 쌍의 결합공(113)으로 이루어져, 후면부(12)가 전면부(11)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접혀져 접합부(123)가 전면부(11)의 배면에 접합되고 후면부(12)의 지지부(122)가 외측으로 젖혀져 전면부(11)의 배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스탠드(10)와; 스탠드(10)의 결합공(113)에 삽입되어 전면부(11)의 전면으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거치수단(20)과; 거치수단(20)의 상부에 하부가 거치되며 거치수단(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홈(31)이 형성되는 달력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면부(12)의 절곡용 홈(121)은 V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지지부(122)가 젖혀지면 V형 단면의 절곡용 홈(121)이 맞닿아 일자로 형성되면서 지지부(122)가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거치수단(20)은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타측 단부에 일정 깊이로 너트홈(211a)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본체(211)의 타측 단부에 본체(211)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갖는 구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되는 확대 지지부(212)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결합공(113)에 너트홈(211a)을 일치시켜 위치하는 돌출부재(21)와, 일정 길이의 볼트부(221)와 볼트부(221)의 지름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볼트부(22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판(222)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에서 돌출부재(21)와 나사결합하는 고정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은 스탠드를 별도의 끼움 구조 없이 간단하게 접어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탠드의 하부에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성한 후 거치수단에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으로 엮지 않고 단순히 거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 거치 구조로 달력지의 안정적이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사용한 달력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달력지나 스탠드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단순거치하는 구성으로 달력지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광고지, 메모지 등 다양하게 스탠드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스탠드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스탠드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달력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스탠드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스탠드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달력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은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스탠드(10)와, 스탠드(10) 하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거치수단(20)과, 거치수단(20)의 상부에 거치되는 달력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와 같이, 스탠드(10)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전면부(11)와 전면부(11)에서 전면부(11)의 후면으로 접혀지는 후면부(12)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사이에는 연결부(13)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도 3b에서와 같이,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만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판재 등이 구성되고 외부를 감싸는 외피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부(13)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면부(11)에서 후면부(12)를 뒤로 접을 때 후면부(12)의 판 두께에 의해 접혀지는 것이 방해받지 않고 180도로 완전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후면부(12)는 전면부(11)의 상단부에서 전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 중앙부에 절곡용 홈(121)이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상부의 지지부(122)와 하부의 접합부(123)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으로 접혀 질 수 있도록 연결부(13)에 의해 전면부(11)의 상단부와 접합부(123)가 연결된다.
상기 전면부(11)의 후면에 접합부(123)는 접착고정하는데 전면부(11)의 후면과 접합부(123)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130)을 형성하여 전면부(11)의 후면에 접합부(123)를 접착사용한다.
즉, 절곡용 홈(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2)의 전면에 홈이 파여 형성되어 후면부(12)를 전면부(11)의 배면으로 180도 회전시켜 겹쳐지도록 하였을때 전면부(11)의 후면에 접합부(123)가 접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어 지지부(122)가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하여, 스탠드(10)를 도 3b와 같이 책상에 세울때에는 전면부(11)의 하단부와 지지부(122)의 하단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책상에 세울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후면부(12)의 절곡용 홈(121)은 도 2에서와 같이, V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지지부(122)가 젖혀지면 도 3에서와 같이 V형 단면의 절곡용 홈(121)이 맞닿아 일자로 형성되면서 더 이상 젖혀 지지 않도록 하여 지지부(122)가 전면부(11)의 배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면부(11)의 하부에 결합공(113)을 구성하여 후술하는 거치수단(20)을 결합공(113)에 끼워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공(113)은 전면부(11)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높이에 구성되며, 같은 높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통공되어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여 달력지(30)의 거치시에 달력지(30)의 안정적이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거치수단(20)은 스탠드(10)의 결합공(113)에 삽입되어 전면부(11)의 전면으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다양한 부재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전면부(11)의 전면에 고정되는 돌출부재(21)와 전면부(11)의 후면에서 돌출부재(1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재(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타측 단부에 일정 깊이로 너트홈(211a)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본체(211)의 타측 단부에 본체(211)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갖는 구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되는 확대 지지부(212)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고정부재(22)는 일정 길이의 볼트부(221)와 볼트부(221)의 지름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볼트부(22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판(222)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돌출부재(21)를 전면부(11)의 전면에서 결합공(113)에 너트홈(211a)을 일치시키고 고정부재(22)를 전면부(11)의 배면에서 결합공(113)에 볼트부(221)를 관통하여 돌출부재(21)와 나사결합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달력지(30)는 거치수단(20)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는데, 거치수단(20)에 저지되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달력지(30)의 하부에는 거치수단(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홈(31)이 형성되도록 한다.
거치홈(31)은 반원형, 하치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탁상용 달력은 스탠드를 별도의 끼움 구조 없이 간단하게 접어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탠드의 하부에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성한 후 거치수단에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으로 엮지 않고 단순히 거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 거치 구조로 달력지의 안정적이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사용한 달력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달력지를 스프링이나 고리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달력지나 스탠드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단순거치하는 구성으로 달력지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광고지, 메모지 등 다양하게 스탠드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스탠드 11 : 전면부
113 : 결합공 12 : 후면부
121 : 절곡용 홈 122 : 지지부
123 : 접합부 20 : 거치수단
30 : 달력지 31 : 거치홈

Claims (3)

  1. 일정 크기 판형상의 전면부(11)와, 전면부(11)의 상단부에서 전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높이방향 중앙부에 절곡용 홈(121)이 형성되어 절곡용 홈(121)을 중심으로 상부의 지지부(122)와 하부의 접합부(123)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연결부(13)에 의해 전면부(11)의 상단부와 접합부(123)가 연결되는 후면부(12)와, 전면부(11)의 하부에 같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통공되는 한 쌍의 결합공(113)으로 이루어져, 후면부(12)가 전면부(11)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접혀져 접합부(123)가 전면부(11)의 배면에 접합되고 후면부(12)의 지지부(122)가 외측으로 젖혀져 전면부(11)의 배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스탠드(10)로 이루어지는 탁상용 달력에 있어서.
    스탠드(10)의 결합공(113)에 삽입되어 전면부(11)의 전면으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거치수단(20)과;
    거치수단(20)의 상부에 하부가 거치되며 거치수단(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홈(31)이 형성되는 달력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거치수단(20)은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타측 단부에 일정 깊이로 너트홈(211a)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본체(211)의 타측 단부에 본체(211)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갖는 구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되는 확대 지지부(212)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결합공(113)에 너트홈(211a)을 일치시켜 위치하는 돌출부재(21)와,
    일정 길이의 볼트부(221)와 볼트부(221)의 지름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볼트부(22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판(222)으로 이루어져 전면부(11)의 배면에서 돌출부재(21)와 나사결합하는 고정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
  2. 삭제
  3. 삭제
KR2020200002922U 2020-08-10 2020-08-10 탁상용 달력 KR200496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2U KR200496893Y1 (ko) 2020-08-10 2020-08-10 탁상용 달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2U KR200496893Y1 (ko) 2020-08-10 2020-08-10 탁상용 달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18U KR20220000418U (ko) 2022-02-17
KR200496893Y1 true KR200496893Y1 (ko) 2023-05-26

Family

ID=8047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22U KR200496893Y1 (ko) 2020-08-10 2020-08-10 탁상용 달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9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12Y1 (ko) * 2003-08-25 2004-03-04 신사경 액자기능을 갖는 탁상용 달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30B1 (ko) 2018-10-10 2020-09-14 (주)한주 탁상용 달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12Y1 (ko) * 2003-08-25 2004-03-04 신사경 액자기능을 갖는 탁상용 달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18U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235B2 (en) Greeting card holder
JP2011048296A (ja) 起立型ディスプレイ
KR200496893Y1 (ko) 탁상용 달력
JP6603784B1 (ja) 情報表示物ホルダ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JP6691198B1 (ja) 情報表示物ホルダ
KR102108416B1 (ko) 경사지지구와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경사지지구를 이용한 경사지지 물품 세트
JP4727643B2 (ja) 折り畳み式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3178245U (ja) 表示物支持台
KR101550840B1 (ko) 탁상 달력 및 그 제조방법
CN215456865U (zh) 一种基于纸箱制成的展示柜
KR200349812Y1 (ko) 절첩식 장제용 화환
KR200394541Y1 (ko) 광고물 거치대
JP7411194B1 (ja) 枠体
TWI565439B (zh) Folding object placement device
CN215850410U (zh) 支架结构
KR200349811Y1 (ko) 절첩식 장제용 화환
JP3238134U (ja) アクリルスタンド
JP6405672B2 (ja) 情報表示体
KR102010657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JPS6142461Y2 (ko)
JP3187873U (ja) 収納部付きスタンド
JP3115754U (ja) 催事用組立式紙製広告看板
JP6661932B2 (ja) 陳列台
KR200440220Y1 (ko) 도화 용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