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84Y1 -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84Y1
KR200496884Y1 KR2020220002720U KR20220002720U KR200496884Y1 KR 200496884 Y1 KR200496884 Y1 KR 200496884Y1 KR 2020220002720 U KR2020220002720 U KR 2020220002720U KR 20220002720 U KR20220002720 U KR 20220002720U KR 200496884 Y1 KR200496884 Y1 KR 200496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ixed
fixing
support plat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민
홍태영
곽경호
Original Assignee
정재민
홍태영
곽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민, 홍태영, 곽경호 filed Critical 정재민
Priority to KR2020220002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03Mounting aids, e.g. auxiliary tensioning tools, slotted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7Special chain layout;, i.e. distribution of chain portions over the tread, e.g. arranged in polygon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이루는 휠 즉, 차륜에 내장된 상태에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쉽게 인출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SLIPPING PREVENTION APPARATUS OF CAR WHEEL EMBED TYPE}
본 고안은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이루는 휠 즉, 차륜에 내장된 상태에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쉽게 인출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 체인은 눈길이나 빙판길 등에서 차량 운행 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동 거리를 단축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89292호(2013.07.18.)에는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노우 체인은 평상시 휠로부터 분리되어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보관되다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휠로 장착된다.
그러나 모든 운전자 등이 계절 ?화에 맞춰 스노우 체인 등을 준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급작스런 기후 변화나 도로 상황 등에 빠르게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스노우 체인은 무겁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휠에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89292호(2013.07.18.)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를 이루는 휠 즉, 차륜에 내장된 상태에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쉽게 인출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를 향하는 후면이 개방되는 차륜(200)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장치(100)로서, 일단부가 상기 차륜(2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차륜(200)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110); 상기 차륜(200)과 배향되도록 상기 각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함체(120); 상기 함체(120)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각 함체(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응되는 지지판(110)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차륜(200)의 둘레를 가로질러 감싸는 체인(130); 및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를 상기 차륜(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함체(120)는 후면이 상기 지지판(110)의 전면에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몸체(121); 및 상기 몸체(12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110)은 일단부에 차체를 이루는 휠허브(230)에 고정된 볼트(240)가 통과하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240)로 휠패스너(250)가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로 고정구(150)가 결합되면서 상기 차륜(200)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140)은 후단부가 상기 차륜(200)의 전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허브바(141); 상기 허브바(14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42); 상기 고정바(1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에 복수의 지지대(144)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링(143); 상기 각 지지대(144)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고리(147); 일단부가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고리(147)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대(144)에 고정하는 와이어(145); 및 상기 고정바(142)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링(143)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4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10)은 일측에 상기 와이어(145)의 양단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를 이루는 휠에 내장된 상태에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쉽게 인출하여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가 차륜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판으로 함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함체로부터 체인이 인출되어 차륜의 둘레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이하 "미끄럼 방지장치"라 한다)(100)는 차체를 향하는 후면이 개방되는 차륜(200)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장치(100)로서, 일단부가 차륜(2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차륜(200)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110), 차륜(200)과 배향되도록 각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함체(120), 일단부가 각 함체(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응되는 지지판(110)을 따라 연장되면서 차륜(200)의 둘레를 가로질러 감싸는 체인(130) 및 체인(130)의 타단부를 차륜(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한다.
차륜(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림(210)과 휠림(2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타이어(220)를 포함한다. 휠림(210)은 전면에 복수의 살대(2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륜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판(110)은 복수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차륜(200)의 중앙부를 향하고 타단부가 타이어(220)를 향하도록 차륜(200)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된다.
지지판(110)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부 사이가 절곡 또는 벤딩되면서 휠림(210)의 전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110)은 살대(211)의 전면으로 설치되면서 살대(211)로 밀착될 수 있다.
지지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차체를 이루는 휠허브(230)에 고정된 볼트(240)가 통과하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240)로 휠패스너(250)가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로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구(150)가 결합되면서 차륜(200)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유닛(110a)으로 분기되면서 연결수단(112)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수단(112)은 한 쌍의 지지판유닛(110a)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살대(211)의 길이 등에 쉽게 대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함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각 지지판(110)의 전면에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몸체(121) 및 몸체(12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2)를 포함한다.
도어(121)는 일측이 경첩 등의 절첩부재(123)에 의해 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이 외력 등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함체(120)에 잠금될 수 있다.
체인(13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함체(120)의 내부에 고정되면서 함체(120)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를 이루다 필요시, 타단부가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면서 차륜(200)의 둘레를 가로질러 타이어(220)를 감싼다.
체인(130)은 타이어(220)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121)에는 체인(130)이 출입되는 출입공(121a)이 형성된다.
함체(120)는 체인(130)이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체인(130)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14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차륜(200)의 전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허브바(141), 허브바(14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42), 고정바(1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에 복수의 지지대(144)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링(143), 체인(130)의 타단부를 지지대(144)에 고정하는 와이어(145) 및 고정바(142)로 결합되면서 고정링(143)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46)를 포함한다.
허브바(141)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단부가 휠림(210)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지지판(110)은 일단부가 만곡되면서 허브바(141)에 접할 수 있다.
고정바(142)는 허브바(14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속부재(146)는 허브바(141)의 직경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바(1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링(143)은 외경이 허브바(141)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부재(146)의 조임 회전에 따라 결속부재(146)와 허브바(141)로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지지대(144)는 지지판(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고정링(143)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에 걸림고리(147)가 형성된다.
와이어(145)는 일단부가 체인(13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걸림고리(147)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어(145)는 체인(130)과 함께 함체(120)로 수용된 상태를 이루다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면서 걸림고리(147)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는(145)는 타단부에 후크(148)가 구비되면서 걸림고리(147)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10)은 일측에 와이어(145)의 양단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45)는 양단부 사이가 지지돌기(113)에 지지되면서 처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끄럼 방지장치(100)는 체인(130)이 함체(120)로 수용된 상태에서 급작스런 기후 변화나 눈길 또는 빙판길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면서 타이어(220)를 쉽게 감쌀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장치(100)는 체인(130)에 대한 미사용시, 타이어(220)로부터 분리하여 함체(120)에 보관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미끄럼 방지장치 110 : 지지판
111 : 통공 120 : 함체
121 : 몸체 121a : 출입공
122 : 도어 130 : 체인
140 : 고정수단 141 : 허브바
142 : 고정바 143 : 고정링
144 : 지지대 145 : 와이어
146 : 결속부재 147 : 걸림고리
148 : 후크 150 : 고정구
200 : 차륜 210 : 휠림
211 : 살대 220 : 타이어
230 : 휠허브 240 : 볼트
250 : 휠패스너

Claims (3)

  1. 차체를 향하는 후면이 개방되는 차륜(200)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장치(100)로서,
    일단부가 상기 차륜(2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차륜(200)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110);
    상기 차륜(200)과 배향되도록 상기 각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함체(120);
    상기 함체(120)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각 함체(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응되는 지지판(110)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차륜(200)의 둘레를 가로질러 감싸는 체인(130); 및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를 상기 차륜(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120)는
    후면이 상기 지지판(110)의 전면에 고정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몸체(121); 및
    상기 몸체(12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110)은 일단부에 차체를 이루는 휠허브(230)에 고정된 볼트(240)가 통과하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240)로 휠패스너(250)가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로 고정구(150)가 결합되면서 상기 차륜(200)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2. 삭제
  3. 차체를 향하는 후면이 개방되는 차륜(200)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장치(100)로서,
    일단부가 상기 차륜(2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차륜(200)의 전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판(110);
    상기 차륜(200)과 배향되도록 상기 각 지지판(110)에 고정되는 함체(120);
    상기 함체(120)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120)로부터 인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각 함체(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응되는 지지판(110)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차륜(200)의 둘레를 가로질러 감싸는 체인(130); 및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를 상기 차륜(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140)은
    후단부가 상기 차륜(200)의 전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허브바(141);
    상기 허브바(14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42);
    상기 고정바(1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측에 복수의 지지대(144)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링(143);
    상기 각 지지대(144)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고리(147);
    일단부가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고리(147)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체인(130)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대(144)에 고정하는 와이어(145); 및
    상기 고정바(142)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링(143)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4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10)은 일측에 상기 와이어(145)의 양단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KR2020220002720U 2022-11-21 2022-11-21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96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720U KR200496884Y1 (ko) 2022-11-21 2022-11-21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720U KR200496884Y1 (ko) 2022-11-21 2022-11-21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84Y1 true KR200496884Y1 (ko) 2023-05-18

Family

ID=8654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720U KR200496884Y1 (ko) 2022-11-21 2022-11-21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8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09U (ko) * 1985-07-09 1987-01-26
KR19990045978A (ko) * 1999-03-04 1999-06-25 박종대 미끄럼방지부재가내장된차량용휠
WO2011064679A1 (en) * 2009-11-24 2011-06-03 C.A. Masi Di Antonio Masi & C. S.A.S. Antiskid cover for tires
KR101289292B1 (ko) 2011-12-12 2013-07-24 홍성열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17007603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차량용 휠 부착 미끄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09U (ko) * 1985-07-09 1987-01-26
KR19990045978A (ko) * 1999-03-04 1999-06-25 박종대 미끄럼방지부재가내장된차량용휠
WO2011064679A1 (en) * 2009-11-24 2011-06-03 C.A. Masi Di Antonio Masi & C. S.A.S. Antiskid cover for tires
KR101289292B1 (ko) 2011-12-12 2013-07-24 홍성열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17007603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차량용 휠 부착 미끄럼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8224C (en) Vehicle wheel lifting block apparatus for climbing out of depressions in viscous surfaces
US2598851A (en) Traction device
US5513684A (en) Anti-skid device for automobile tires
US4055210A (en) Anti-skid device
KR200496884Y1 (ko) 차륜 내장형 미끄럼 방지장치
US1540470A (en) Mud hook
US2058799A (en) Antiskid device for motor vehicles and the like
EP3099515B1 (en) Massive tire with pull cable
US4129161A (en) Traction device for tires
US4886100A (en) Traction device adapted to compensate for tire size variations resulting from inflation and road deflection
RU2666982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колесный диск
US6536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tire chains
IT201900006692A1 (it) Dispositivo antislittamento con montaggio esterno per ruote di grosse dimensioni
CN209616807U (zh) 一种可调节的汽车通用防滑链
US2460023A (en) Antiskid tire chain anchoring device
US3532149A (en) Vehicle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and dismounting
US3695325A (en) Temporary tire for automotive vehicles
ITTO20010796A1 (it) Dispositivo antislittamento per ruote di veicoli.
US2925113A (en) Automobile tire chain apparatus
US4176704A (en) Emergency traction device
US1374556A (en) Chain-carrying attachment for motor-vehicles
KR200323909Y1 (ko) 타이어 체인
US1365903A (en) Non-slipping attachment for vehicle-wheels
CN212446993U (zh) 快捷可靠的通用型防滑链锁紧装置
JP2008534386A (ja) 弾性締結手段を含むタイヤチェーン取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