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13Y1 - A clip-type cooking tongs - Google Patents
A clip-type cooking to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713Y1 KR200496713Y1 KR2020220000719U KR20220000719U KR200496713Y1 KR 200496713 Y1 KR200496713 Y1 KR 200496713Y1 KR 2020220000719 U KR2020220000719 U KR 2020220000719U KR 20220000719 U KR20220000719 U KR 20220000719U KR 200496713 Y1 KR200496713 Y1 KR 2004967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grip
- connecting rod
- pair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부 및 그립부의 이동방향이 대향하는 조리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집게부 및 그립부를 연결하되, 내부 일 영역에 돌출된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결합된 한 쌍의 연결대; 상기 연결대 일 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포개지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연결대 타 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를 상호 이격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조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oking tongs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tongs and the grip are opposed, and connect the tongs and the grip, include a drive shaft protruding from an inner region, and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round the drive shaft. a pair of connected rods; A pair of tong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overlapping vertically; a pair of grip part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gripped by a user; and an elastic bod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grip parts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종래 조리용 집게에 적용된 바 없는 새로운 형태의 조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ooking tongs that have not been applied to conventional cooking tongs.
일반적으로 종래의 젓가락은 두 개의 스틱이 1개의 세트를 이루며, 사용할 때 두 개의 젓가락을 각각 움직여서 음식물을 집는다. In general, conventional chopsticks consist of two sticks, and when used, the two chopsticks are moved to pick up food.
한 쌍의 젓가락을 능숙하게 움직이는 데에는 숙련이 필요하며 육류, 생선류 등 부피나 중량이 큰 음식재료를 집을 때에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 경우 조리용 집게를 사용한다. Skill is required to move a pair of chopsticks skillfully, and it is inconvenient to pick up bulky or heavy food materials such as meat and fish, so in this case, use cooking tongs.
통상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 집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U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으므로, 조리시 손 대신에 보조역할을 한다.In general, cooking tongs used in the kitchen ar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ve a 'U' shape, and both ends have elastic force that spreads outward, so that food can be easily picked up, so they play an auxiliary role instead of hands during cooking.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집게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사용이 불편하고, 손잡이는 금속의 표면으로 되어 미끄러지기 쉽다. However, this type of tongs are inconvenient to use as elasticity decreases due to repeated use, and the handle is made of metal and is easy to slip.
뿐만 아니라, 주방에서 집게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손의 악력이 부족하며, 조리용 집게를 사용할 때 손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고 있어야 하므로 손에 무리가 가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omen who mainly use tongs in the kitchen, their grip strength is relatively insufficient, and when using cooking tongs, they must constantly apply force to their hands,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ir hands are strained and inconvenient to use.
특히, 육류 등 다소 무거운 식재료를 반복적으로 집어야 하는 육류 구이 등의 조리를 진행할 때, 식재료를 집게로 든 채로 손에 강한 힘을 유지해야 하므로 사용성이 미흡하다.In particular, when cooking, such as grilled meat, which requires repeatedly picking up rather heavy ingredients such as meat, the usability is insufficient because strong strength must be maintained in the hand while holding the ingredients with tongs.
따라서, 본 고안자는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방식의 조리용 집게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earnest efforts to develop a new type of cooking tongs that are convenient to use.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439호(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2439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573호(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573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시 손에 강한 힘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조리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oking tongs that do not need to maintain strong force in the hand during us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집게부 및 그립부의 이동방향이 대향하는 조리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 및 그립부를 연결하되, 내부 일 영역에 돌출된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호 결합된 한 쌍의 연결대; 상기 연결대 일 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마주보고 포개지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연결대 타 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를 상호 이격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조리용 집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oking tongs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tongs and the grip are opposite, the tongs and the grip are connected, but a drive shaft protrudes from an inner region,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rive shaft. a pair of connected rods; A pair of tong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facing up and down and overlapping; a pair of grip part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gripped by a user; and an elastic bod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grip parts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그립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ngs may mov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grip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대는 상기 구동축에서 리벳(rivet) 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connecting rod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rivet member on the driving shaf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리벳 부재와 결합된 토션(torsion) 스프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body may be a torsion spring coupled with the rivet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부를 상호 이격시키는 압축 스프링 또는 탄성 중합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body may be a compression spring or an elastic polymer positioned between the grip parts to separate the grip parts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내열성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ngs may be made of a heat-resistant silicone materi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오목한 홈 또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ngs may include a concave groove or one or more fine protrusion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리벳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may include a connection hol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rivet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도입하기 위한 링 구조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ip part may include a ring structured handle for introducing a user's finger.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용 집게는 자체적인 가압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손에 별도의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식재료를 든 채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cooking tong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while holding ingredients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dditional pressure to the user's hand through its own pressing structure.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desig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A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A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의 집게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연결 홀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cooking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cooking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cooking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4 is a view of cooking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Figure 5 shows the tongs of the cooking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rive shaft including a connection ho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desig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술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집게부(110) 및 그립부(120)의 이동방향이 대향하는 조리용 집게(100)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0) 및 그립부(120)를 연결하되, 내부 일 영역에 돌출된 구동축(14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140)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결합된 한 쌍의 연결대(130); 상기 연결대(130) 일 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마주보고 포개지는 한 쌍의 집게부(110); 상기 연결대(130) 타 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120); 및 상기 그립부(120)를 상호 이격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하는 조리용 집게(100)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식재료의 일 부분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그립부(120), 식재료를 집는 집게부(110), 및 상기 그립부(120)와 집게부(110)를 연결하는 전체적인 뼈대 역할을 하는 연결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그립부(120), 연결대(130), 및 집게부(110)가 순차로 연결된 한 쌍의 본체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조리용 집게(100)의 재질은 부식이나 열에 대한 저항성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일 수 있으나,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이 때, 상기 조리용 집게(100)의 모든 소재를 동일하게 일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일부 영역에는 해당 영역의 기능에 더욱 적합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match all the materials of the
예컨대, 상기 조리용 집게(100)의 연결대(130)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적용하되,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120)는 합성 소재로 구성하고, 집게부(110)는 내열성 소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집게부(110) 및 그립부(120)의 운동방향이 대향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즉, 종래의 집게는 집게부 및 그립부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사용자가 집게부를 가압하여 오므리는 방식으로 식재료를 들어올렸으나, 본 고안의 조리용 집게(100)는 사용자가 그립부(120)를 가압하여 오므릴 때 상기 집게부(110)가 상호 이격되며, 반대로 상기 그립부(120)가 이격될 때, 상기 집게부(110)의 간격이 좁혀져 상호 포개질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ongs, the tongs and the grip part are not separated, and the user presses the tongs to lift the food material, but in the
따라서,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사용시 상기 그립부(120)의 간격을 넓히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집게부(110)가 맞닿아 식재료를 가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구동축(140)이 형성된 연결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결대(130)는 상기 구동축(140)에서 기계적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140)은 상기 연결대(130)의 내부 일 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대(13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대(130)는 상기 구동축(140)에서 리벳(rivet) 부재(14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상기 리벳(rivet, 141)은 금속 재료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머리가 둥근 굵은 못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리벳 부재(141)는 상기 연결대(130)의 구동축(140)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구동축(140)의 홀을 관통 고정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연결대(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상기 한 쌍의 연결대(130)는 상기 구동축(140)에서 상호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시소(seesaw)와 같은 1종 지렛대의 구동 방식과 마찬가지로 일 측이 상승하면 타 측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pair of connecting
상기 연결대(130)는 뼈대 역할을 하고 상기 그립부(120)부터 집게부(110)까지 연장된 일(一)자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집게부(110)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대(130)의 일 영역을 'U'자 형상으로 절곡시키거나(도 1), 상기 구동축(140)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를 부여할 수 있다(도 2). The connecting
따라서, 상기 연결대(130)의 절곡 구조를 통해 상기 그립부(120) 또는 집게부(110) 상호 간 거리가 이격될 수 있고(도 1), 상기 구동축(140)에서 상기 그립부(120)로 이어지는 영역이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어 상기 그립부(120)가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도 2).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연결대(130)의 길이는 15 내지 30cm일 수 있으나, 제품의 용도나 특성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The length of the connecting
상기 한 쌍의 집게부(110)는 상기 연결대(130) 일 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마주보고 포개질 수 있다.The pair 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10)는 상호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고,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음식물을 가압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연결대(130)는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구동축(140)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조에 의해 상기 집게부(110)는 상기 그립부(120)의 운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pair of
상기 집게부(11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조리용 집게(100)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집게부(110)가 사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110)는 수저와 같이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형태로 상호 대칭하게 마주보고 포개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air of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110)는 상호 맞닿는 스틱형일 수도 있고,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미세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pair of
상기 미세 돌출부(111)의 높이 1.0 내지 3.0mm일 수 있고, 돌출부 말단이 뾰족하거나 뭉뚝할 수도 있다.The height of the
상기 집게부(110) 또는 연결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식재료가 집게부(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One or more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집게부(110)는 스테인리스뿐만 아니라 내열성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안정적으로 식재료를 파지하는데 적합한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실리콘 소재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까지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이나 기름 등에 의해서 쉽게 열화(劣化) 되지 않고, 마찰력이 높으며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하므로 식재료를 놓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silicone material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an withstand up to a temperature range of 100 to 250 ° C., is not easily deteriorated by heat or oil, has high frictional force, and has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so it can be stably without missing ingredients. can be fixed
상기 한 쌍의 그립부(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작동시키는 영역으로, 상기 집게부(110)의 반대쪽인 상기 연결대(130) 타 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The pair of
상기 그립부(12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양, 크기, 및 소재를 달리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도입하기 위한 링 구조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링 구조는 원형 또는 타원형 고리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가로 방향으로 긴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그립부(120)를 파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ring structure refers to a circular or elliptical ring shape, preferably a long ring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can easily introduce one or more fingers, but the shape is particularly limited It is not necessary, and it is sufficient if the user can stably grip the
한편,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시소(seesaw)와 같은 1종 지렛대의 구동 방식과 마찬가지로 일 측이 상승하면 타 측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그립부(120)가 이격될 때, 상기 집게부(110)의 간격이 좁혀져 상호 포개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king tongs 100 may operate in a manner in which one side rises and the other side descends, similar to the driving method of a first-class lever such as a seesaw, and when the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상기 그립부(120)를 상호 이격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150)로 인해 상기 그립부(120)에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한 쌍의 집게부(110)는 상호 가압하여 포개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cooking tongs 100 may include an
따라서, 상기 조리용 집게(100)는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120)를 가압하여 집게부(110) 사이로 음식물을 도입시킨 후 그립부(120)에 가해지는 힘을 빼면, 집게부(110)가 탄성체(150)의 힘에 의해 음식물을 집어서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oking tongs 100, 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탄성체(150)는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서 형태가 변형된 상태에서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진 모든 물체를 지칭하며, 상기 그립부(120)를 상호 이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대(130)나 기타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50)는 상기 리벳 부재(141)와 결합된 토션(torsion) 스프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토션 스프링(150)은 코일 중심선의 주위에 비틀림 힘을 받는 코일스프링을 지칭하는 것으로, 비틀림 스프링의 끝은 별도의 구성 요소에 부착되어 비틀림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The
상기 토션 스프링(150)은 상기 연결대(130)의 구동축(140)과 함께 겹쳐진 상태로 상기 리벳 부재(1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150)의 말단은 상기 연결대(130)를 밀어내도록 설치되어 상기 그립부(120)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50)는 상기 그립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부(120)를 상호 이격시키는 압축 스프링 또는 탄성 중합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상기 압축 스프링(150) 또는 탄성 중합체는 탄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압축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상기 그립부(120) 사이의 간격보다 본래의 길이나 부피가 큰 압축 스프링(150) 또는 탄성 중합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그립부(120)를 지속적으로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Since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대(130)는 상기 리벳 부재(141)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홀(hole, 14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necting
상기 구동축(140)은 상기 연결대(130)의 일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벳 부재(141)를 통해 연결대(13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홀(hole)을 포함하고 있으며, 1종 지렛대의 경우 받침점의 위치에 따라 집게부(110)에 전달되는 힘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연결 홀(142)을 통해 식재료의 특성이나 무게에 따라 상기 리벳 부재(14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driving
상기 연결 홀(142)은 리벳 부재(141)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과 홀을 연결하는 구조로, 사용자는 상기 리벳 부재(141)에 횡 방향으로 힘을 가해 다른 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리용 집게(100)를 좀 더 무거운 식재료에 사용할 때, 축(받침점)의 위치를 집게부(110) 쪽으로 이동시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cooking tongs 100 for heavier ingredients,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shaft (support point) toward the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조리용 집게
110: 집게부
111: 미세 돌출부
120: 그립부
130: 연결대
140: 구동축
141: 리벳 부재
142: 연결 홀
150: 탄성체100: cooking tongs
110: tongs
111: fine protrusion
120: grip part
130: connecting rod
140: drive shaft
141: rivet member
142: connection hole
150: elastic body
Claims (8)
상기 집게부 및 그립부를 연결하되, 내부 일 영역에 돌출된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호 결합된 한 쌍의 연결대;
상기 연결대 일 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마주보고 포개지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연결대 타 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를 상호 이격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대는 서로 마주보고 상기 구동축에서 리벳 부재가 연결대의 구동축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구동축의 홀을 관통 고정함으로써 상호 결합되고,
사용자가 그립부를 가압할 때 상기 집게부가 상호 이격되며, 상기 그립부가 이격될 때 상기 집게부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식으로 연결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연결대의 일 영역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게부의 운동 범위가 증가되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리벳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홀(hole)을 포함하여 식재료의 특성이나 무게에 따라 상기 리벳 부재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도입하기 위한 가로 방향으로 긴 고리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집게부는 내열성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1.0 내지 3.0mm 높이의 미세 돌출부를 포함하여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조리용 집게.In the cooking tongs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tongs and the grip are opposite,
a pair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tongs and the gripping portion, including a drive shaft protruding from an inner region, and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rive shaft;
A pair of tong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facing up and down and overlapping;
a pair of grip part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gripped by a user; and
Including; an elastic bod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hat separates the grip parts from each other;
The pair of connecting rods face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ixing a rivet member in the driving shaft through a hole of the driving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shafts of the connecting rod overlap each other,
When the user presses the grip part, the to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grip part is spaced apart, the connecting rods are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gap between the tongs is narrowed,
A region of the connecting rod coupled to the drive shaft is bent in a 'U' shape to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of the tongs,
The connecting rod includes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rivet memb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ivet memb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r weight of the food material,
The grip part includes a horizontally long ring-shaped handle for introducing a user's finger,
The tongs are made of heat-resistant silicon material and include one or more fine protrusions with a height of 1.0 to 3.0 mm to stably grip food ingredients.
상기 탄성체는 상기 리벳 부재와 결합된 토션(torsion) 스프링인 것인, 조리용 집게.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ody is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rivet member, cooking tongs.
상기 탄성체는 상기 그립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부를 상호 이격시키는 압축 스프링 또는 탄성 중합체인 것인, 조리용 집게.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ody is a compression spring or an elastic polymer positioned between the grip parts to space the grip parts apart from each other, cooking tong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719U KR200496713Y1 (en) | 2022-03-23 | 2022-03-23 | A clip-type cooking to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719U KR200496713Y1 (en) | 2022-03-23 | 2022-03-23 | A clip-type cooking ton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713Y1 true KR200496713Y1 (en) | 2023-04-10 |
Family
ID=8588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0719U KR200496713Y1 (en) | 2022-03-23 | 2022-03-23 | A clip-type cooking ton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713Y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30002020U (en) * | 1982-09-18 | 1983-11-14 | Young Sun Kang | Nipper |
KR20100111583A (en) * | 2009-04-07 | 2010-10-15 | 안준영 | Tong composite for kitchen |
KR200462439Y1 (en) | 2011-12-13 | 2012-09-14 | 김혜진 | Assistant handle clip having tongs |
KR20130003104U (en) * | 2011-11-17 | 2013-05-27 | 최경숙 | The kikchen forceps |
KR200467573Y1 (en) | 2012-08-13 | 2013-06-20 | 오성준 | Sanitary tongs |
KR101548968B1 (en) * | 2014-02-25 | 2015-09-01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A forcep for clamping biological tissue |
KR20180012027A (en) * | 2016-07-26 | 2018-02-05 | 김정한 | Entitled to receive hair clips hair is prevented by the hair gripping force |
-
2022
- 2022-03-23 KR KR2020220000719U patent/KR200496713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30002020U (en) * | 1982-09-18 | 1983-11-14 | Young Sun Kang | Nipper |
KR20100111583A (en) * | 2009-04-07 | 2010-10-15 | 안준영 | Tong composite for kitchen |
KR20130003104U (en) * | 2011-11-17 | 2013-05-27 | 최경숙 | The kikchen forceps |
KR200462439Y1 (en) | 2011-12-13 | 2012-09-14 | 김혜진 | Assistant handle clip having tongs |
KR200467573Y1 (en) | 2012-08-13 | 2013-06-20 | 오성준 | Sanitary tongs |
KR101548968B1 (en) * | 2014-02-25 | 2015-09-01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A forcep for clamping biological tissue |
KR20180012027A (en) * | 2016-07-26 | 2018-02-05 | 김정한 | Entitled to receive hair clips hair is prevented by the hair gripping for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86347C (en) |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 |
US4707922A (en) | Eating implement | |
US3937510A (en) | Coupled chopsticks | |
US4926521A (en) | Ergonomic handle for a kitchen article | |
US8419092B2 (en) | Food handling device | |
CN101396237A (en) | Cooking device handle with hollow structure | |
WO2020166559A1 (en) | Cooking utensil | |
US3892435A (en) | Eating utensil | |
KR200496713Y1 (en) | A clip-type cooking tongs | |
KR20220053026A (en) | tongs tool | |
US3807781A (en) | Chopstick assembly | |
US4715639A (en) | Grasping utensil | |
JP5232966B1 (en) | Meal aids that hold and operate utensils such as forks and spoons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 |
US20010045753A1 (en) | Combined spatula and tong device for cooking | |
JPS6259595B2 (en) | ||
KR200462439Y1 (en) | Assistant handle clip having tongs | |
CN204683239U (en) | Food clamp device | |
KR101672694B1 (en) | Kitchen tongs | |
KR100729951B1 (en) |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 |
KR101012813B1 (en) | A betterment type chopstics | |
JP4753332B2 (en) | Tongs | |
KR840001065Y1 (en) | Cooking spoon | |
US1725613A (en) | Tongs | |
US2600013A (en) | Culinary fork and gripper | |
KR20130075612A (en) | A tong for food hand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