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09Y1 - 헤어롯드 - Google Patents

헤어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09Y1
KR200496709Y1 KR2020210000435U KR20210000435U KR200496709Y1 KR 200496709 Y1 KR200496709 Y1 KR 200496709Y1 KR 2020210000435 U KR2020210000435 U KR 2020210000435U KR 20210000435 U KR20210000435 U KR 20210000435U KR 200496709 Y1 KR200496709 Y1 KR 200496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od
support
main body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016U (ko
Inventor
조성찬
Original Assignee
조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찬 filed Critical 조성찬
Priority to KR2020210000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0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8Surface-wav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시, 웨이브의 반경을 롯드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되어,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헤어가 권취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롯드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어롯드에 있어서; 상기 롯드본체에서 두피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롯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들을 가지는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헤어롯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어롯드{A hair rod}
본 고안은, 모발(헤어)의 퍼머작업시 모발을 적절히 감아서 고정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된 헤어롯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모발의 웨이브 형성시, 웨이브의 반경을 롯드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되어,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헤어롯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두피와 롯드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퍼머액이 두피와 롯드본체의 사이에서 정체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퍼머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헤어롯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에 따라 사람의 인상이 크게 좌우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헤어 스타일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하여 미용실을 찾게 되며, 미용실에서는 헤어스타일의 연출을 위한 다양한 헤어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헤어시술 중에서 대표적으로 퍼머액의 작용으로 모발 조직에 변화를 주어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모발을 성형하는 퍼머가 있다.
한편, 이러한 퍼머(permanent)는, 통상 퍼머약을 빗에 묻혀 머리를 빗으면서 퍼머약을 모발 전체에 골고루 바른 후에 일정 시간동안 모발에 열을 가한 다음, 중화제를 모발 전체에 뿌리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모발을 웨이브 형태로 퍼머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발을 적절히 분할하여 감아서 고정하여 웨이브 형태의 모발을 형성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헤어롯드(hair rod)는, 이러한 웨이브형태의 퍼머작업시에 모발을 적절히 분할하여 감아서 고정하도록 된 미용기구의 하나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04859호(명칭: 헤어컬용 롯드/2005.02.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그 외형이 돌출 만입되는 형상으로 되는 다수의 살부와, 상기 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천공부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 여기에서, 상기 본체 양 끝부분에는 평탄한 외형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단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원주의 직각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단턱을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헤어컬용 롯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459호(명칭: 헤어롯드/2008.10.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통기성을 갖으며 표면에 가는 섬모가 구비되어 머리카락을 말아주는 헤어롯드에 있어서, 상기 헤어롯드의 내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과 같은 박판의 재질로 이루진 열전도부재를 삽입하여 구성되는 헤어롯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17463호(명칭: 퍼머용 헤어 롯드/2008.11.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원코드가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단자가 형성된 히터봉; 상기 히터봉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좌우측 양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외부 타공관; 수분이나 모발 영양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부직포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봉과 외부 타공관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외부 타공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흡수성 엘리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봉은 외부 타공관의 일측에 요철결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퍼머용 헤어 롯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2291호(명칭: 헤어롯드/2010.11.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 몸체의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단부에 밴드걸이홈을 구비하는 걸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표면에 보온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 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통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단부에는 상기 통공의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결착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착부의 외경이 몸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시켜 결착부와 몸체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착부의 내부로 통공을 구비하는 마감구를 억지끼움시켜 결착부와 걸이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헤어롯드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04859호(2005.02.2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459호(2008.10.0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17463호(2008.11.25.)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2291호(2010.11.2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어롯드들은, 롯드본체의 외경에 따라 머리카락의 웨이브반경이 결정됨에 따라, 퍼머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두피와 롯드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태 고정지지됨에 따라, 모발로 도포되는 퍼머액이 두피와 롯드본체의 접촉부위에서 정체되어 뭉치게 됨에 따라, 퍼머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발의 퍼머작업시 모발을 적절히 감아서 고정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된 것으로, 모발의 웨이브 형성시, 웨이브의 반경을 롯드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되어,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헤어롯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피와 롯드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퍼머액이 두피와 롯드본체의 사이에서 정체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퍼머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헤어롯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헤어롯드는, 외주면에 모발이 권취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롯드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어롯드에 있어서; 상기 롯드본체에서 두피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롯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들을 가지는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헤어롯드는, 모발의 퍼머작업시 롯드본체에 모발을 적절히 감아서 고정하여 웨이브를 형성할 때, 롯드본체가 지지돌기들에 의해 두피에서 지지돌기들의 길이만큼 웨이브의 반경을 증대시킴으로써, 웨이브의 반경을 롯드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퍼머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울러, 지지돌기들에 의해 두피와 롯드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간격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됨에 따라, 퍼머액이 두피와 롯드본체의 사이에서 정체되어 뭉치는 것이 방지되어 퍼머작업의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모발에 대한 퍼머액의 과도한 접착을 방지하여 모발에 대한 안전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의 사용상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는, 외주면에 모발(헤어)(100)이 권취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롯드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롯드본체(2)의 외주면에 모발(100)을 권취하여 고정한 후, 모발(100)을 웨이브 형태로 퍼머하고자 할 때, 상기 롯드본체(2)의 외주면에 모발(100)을 적절히 분할하여 감아서 고정하면 모발(100)에 대하여 웨이브 퍼머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롯드본체(2)의 양단에는, 권취된 모발(100)을 고정하도록 '링(RING)' 형상의 탄성밴드(3)가 걸림고정되는 걸림편(21)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롯드본체(2)의 외주면에 모발(100)을 권취한 후, 상기 탄성밴드(3)를 상기 걸림편(21)들에 각각 걸림고정하여 상기 롯드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모발(100)을 가압지지하여 무단으로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여 퍼머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롯드본체(2)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에서, 상기 롯드본체(2)에서 두피(200)와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롯드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1)들을 가지는 지지수단(4);이 구비된다.
즉, 모발(100)의 퍼머작업시, 상기 롯드본체(2)에 모발(100)을 적절히 감아서 고정하여 웨이브를 형성할 때, 상기 롯드본체(2)가 상기 지지돌기(41)들에 의해 두피(200)에서 상기 지지돌기(41)들의 길이만큼 모발(100)의 웨이브의 반경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에 띠라, 모발(100)에 형성되는 웨이브의 반경이 상기 롯드본체(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퍼머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울러, 상기 지지돌기(41)들에 의해 두피(200)와 상기 롯드본체(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간격을 가지면서 지지된다.
따라서, 모발(100)로 도포되는 퍼머액이 두피(200)와 상기 롯드본체(2)의 사이에서 정체되어 뭉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모발(100)에 대한 퍼머액의 과도한 접착을 방지하여 모발(100)에 대한 안전성 및 퍼머작업의 안정성이 구현된다.
상기에서 지지돌기(41)들은, 상기 롯드본체(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빗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에서, 상기 지지돌기(41)들은, 상기 롯드본체(2)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사이각도(A)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지지열'들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지지열'들을 통해 두피(200)에 대하여 다 지점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두피(200)에 대한 상기 롯드본체(2)의 지지를 더 안정적으로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돌기(41)들의 상기 '지지열'들은, 2개 1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지지열'들은, 65 ~ 80도의 사이각도(A)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롯드본체(2)와 상기 지지수단(4)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에서, 상기 지지수단(4)은, 상기 롯드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외측면에 연결되는 지지몸체(42)와; 상기 지지몸체(42)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지지돌기(4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몸체(42)와 상기 지지돌기(41)들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몸체(42)와 상기 지지돌기(41)들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42)를 통해 상기 지지돌기(41)들의 길이를 작게하도록 보정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롯드본체(2)의 외측면과 상기 지지돌기(41)들의 종단의 전체 사이간격에 대하여 상기 지지몸체(42)의 두께를 통해 보정하게 되어, 상기 지지돌기(41)들의 길이를 보정된 길이만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41)들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장시간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에서, 상기 지지돌기(41)들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피(200)에 대하여 상기 지지돌기(41)들의 종단이 탄성적으로 접촉지지됨에 따라, 두피(20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돌기(41)들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42)의 사출성형시 '인서트사출성형'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몸체(42)와 상기 지지돌기(41)들의 재질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적용 예'들을 적합하게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어, 제조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에서, 상기 지지수단(4)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롯드본체(2)의 외측표면에는, 상기 지지수단(4)의 지지몸체(42)의 일부위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는 고정요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요홈(22)에 상기 지지몸체(42)가 끼움되면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몸체(42)는, 상기 롯드본체(2)에 별도의 '접착제(미도시됨)'를 통해 접착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42)는, 상기 롯드본체(2)의 사출성형시 인서트되어, 결속되면서 성형될 수 있으며, '인서트사출성형'시 상기 고정요홈(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요홈(22)에 상기 지지몸체(42)가 수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를 통해, 모발(100)에 대한 웨이브를 형성하는 퍼머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퍼머하고자 하는 모발(100)이 위치된 두피(200)에 대하여 상기 지지돌기(41)들의 종단들이 접촉지지되도록 상기 롯드본체(2)를 배치한 후, 모발(100)을 상기 롯드본체(2)의 외표면에 감기도록 하여 지지한 후, 상기 롯드본체(2)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편(21)들에 상기 탄성밴드(3)를 고정하여 상기 롯드본체(2)에 감긴 모발(100)을 상기 롯드본체(2)에 확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두피(200)와 상기 롯드본체(2)는, 상기 지지수단(4)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돌기(41)들의 사이에 퍼머액이 유통하는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퍼머액이 두피(200)와 롯드본체(2)의 사이에서 정체되어 뭉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가열장치'를 통해 모발(100)을 가열하면 퍼머가 이루어지며, 모발(100)의 퍼머작업이 완료되어 모발(100)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헤어롯드(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상기 롯드본체(2)에서 상기 탄성밴드(3)를 분리하고, 모발(100)에서 상기 롯드본체(2)를 분리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헤어롯드 100 : 모발
200 : 두피
2 : 롯드본체 21 : 걸림편
22 : 고정요홈 3 : 탄성밴드
4 : 지지수단 41 : 지지돌기
42 : 지지몸체
A : 지지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지열들의 사이각도

Claims (1)

  1. 외주면에 모발(100)이 권취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롯드본체(2)와; 상기 롯드본체(2)의 표면에서 상기 롯드본체(2)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65 ~ 80도의 사이각도(A)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2개 1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열'들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배치되는 지지돌기(41)들을 구비하는 지지수단(4);을 포함하는 헤어롯드(1)에 있어서;
    상기 롯드본체(2)의 양단에는,
    권취된 모발(100)을 고정하도록 '링(RING)' 형상의 탄성밴드(3)가 걸림고정되는 걸림편(21)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4)은,
    상기 롯드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외측면에 연결되는 지지몸체(42)와, 상기 지지몸체(42)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돌기(41)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롯드.
KR2020210000435U 2021-02-09 2021-02-09 헤어롯드 KR200496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35U KR200496709Y1 (ko) 2021-02-09 2021-02-09 헤어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35U KR200496709Y1 (ko) 2021-02-09 2021-02-09 헤어롯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6U KR20220002016U (ko) 2022-08-17
KR200496709Y1 true KR200496709Y1 (ko) 2023-04-06

Family

ID=8306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35U KR200496709Y1 (ko) 2021-02-09 2021-02-09 헤어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0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251Y1 (ko) * 2003-01-14 2003-05-09 김장래 파마로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116A1 (it) 2002-05-23 2003-11-24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con dispositivodi comando delle platine di abbattitura
TW200722414A (en) 2005-06-10 2007-06-16 Kyowa Hakko Kogyo Kk A process for refining ubiquinone-10
KR20080013459A (ko) 2006-08-09 2008-02-13 주식회사 메가테크 압출형재에 반사필름을 증착하여 반사갓을 제작하는 방법
KR20100012291U (ko) 2009-06-04 2010-12-14 홍원기 책갈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251Y1 (ko) * 2003-01-14 2003-05-09 김장래 파마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6U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2986A (en) Electric hair brush
US3590829A (en) Self winding curler
KR200496709Y1 (ko) 헤어롯드
KR102520920B1 (ko) 기능성 헤어롯드
US3216427A (en) Hair curler
US2600727A (en) Fountain curling rod
JP3996195B2 (ja) 保持溝を有する自己固定式複櫛ヘアカーラー
KR200318658Y1 (ko) 헤어 브러쉬의 캡 결합구조
JP3195327B2 (ja) 髪パーマ用器具とそのカーラー布およびカーラー
KR102093039B1 (ko) 다단 히팅 컬 로드
US3438382A (en) Hair curler
JPH06113916A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カーラー
KR200460464Y1 (ko) 헤어브러쉬
KR200267498Y1 (ko) 헤어 브러시
US2619972A (en) Hair curler
JP4148531B1 (ja) ヘアカーラの構造
KR200312251Y1 (ko) 파마로드
KR102093038B1 (ko) 다단 컬 로드
KR101456417B1 (ko) 파마 로드
JP3219960U (ja) ヘアカーラー
JP3078424U (ja) ヘアカーラー
KR102090330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구
KR101245426B1 (ko) 퍼머용 롯드
KR200379567Y1 (ko) 헤어 컬
KR101827798B1 (ko) 파마 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