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98Y1 -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98Y1
KR200496598Y1 KR2020200003004U KR20200003004U KR200496598Y1 KR 200496598 Y1 KR200496598 Y1 KR 200496598Y1 KR 2020200003004 U KR2020200003004 U KR 2020200003004U KR 20200003004 U KR20200003004 U KR 20200003004U KR 200496598 Y1 KR200496598 Y1 KR 200496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be
container
restraining
botto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61U (ko
Inventor
손정완
Original Assignee
(주)이레머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머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이레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2020200003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98Y1/ko
Priority to CN202021897508.3U priority patent/CN214609269U/zh
Publication of KR20220000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4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with cutting, punching, or cutter accommod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25Closure members opened by lever action and maintained closed by spr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학물질이 담긴 용기를 구속하고 용기를 개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토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를 밀폐하는 브레이크씰이 설치되고 내부에 노즐이 설치되는 용기의 상기 입구 부분을 구속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브레이크씰을 개방하고 상기 노즐과 결합하여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프로브 및 상기 본체에 상기 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견고하게 구속하고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토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One-touch dispensing connector for slide fastening}
본 고안은 화학물질이 담긴 용기를 구속하고 용기를 개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토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개봉할 때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수단과 용기 사이가 제대로 밀폐되지 않으면 토출수단과 용기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 이물질과 섞이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내용물을 토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용기의 노즐에 프로브를 삽입할 때 별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프로브를 삽입하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토출하였다.
수작업으로 프로브를 용기에 삽입하기 때문에 삽입과정에서 프로브가 노즐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고 소정 어긋나게 삽입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즉, 프로브가 노즐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용기에 담긴 내용물 토출시 프로브와 노즐 사이에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용기의 입구를 막지 않고 프로브를 용기의 내부로 삽입하기 때문에 용기의 입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이 프로브에 붙어서 삽입됨으로써 내용물이 이물질과 섞여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스크류 타입은 체결 시 금속 재질의 마찰로 인해 이물이 발생하고 이물이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면 청정도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프로브를 수동으로 삽입하면 브레이크 씰을 펀칭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씰의 절단면이 프로브와 노즐에 끼어 잔여물이 떨어지고 잔여물이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507호(공고일자 2014. 09. 1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견고하게 구속하고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토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입구를 밀폐하는 브레이크씰이 설치되고 내부에 노즐을 마련한 용기에 설치되는 보텀 캡을 구속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브레이크씰을 개방하고 상기 노즐과 결합하여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프로브 및 상기 본체에 상기 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브를 안내하는 메인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프로브를 구속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핸들부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구속핀과, 상기 커버에 상기 구속핀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본체에 상기 구속핀이 삽입되는 로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속수단은,
핸들부에 상기 구속핀을 돌출시키는 푸시버튼 및 상기 구속핀을 리턴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의 입구 부분을 구속하는 슬라이드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보텀 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와 결합하고 상기 본체에 구속되되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보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텀 캡은,
상기 본체의 측 방향에서 슬라이드 삽입 또는 이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입구 부분을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고 나아가 용기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토출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텀 캡을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속함으로써 보텀 캡과 슬라이드보디가 불안전하게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안전한 체결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상의 편의와 체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에서 구속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디스펜스 커텍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화학물질을 수용하는 용기(20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200)는, 캐니스터(10), 피트먼트를 포함한 라이너백(20) 및 보텀 캡(30)을 포함한다.
캐니스터(10)는, 라이너백(20)을 수용하는 것으로, 주로 금속탱크를 사용한다.
라이너백(20)은, 화학물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는 파우치(미도시)를 포함하고, 내부에 내용물을 토출하는 노즐(201) 및 튜브(202)가 마련되며, 캐니스터(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보텀 캡(30)은, 용기(200)의 입구 기능을 하면서 라이너백(20)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외면이 단차지되 내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되고, 캐니스터(10)와 연통되며, 캐니스터(10)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보텀 캡(30)은 상부에 마개(미도시)가 결합하도록 수나사부(301)가 형성되고, 수나사부(301)의 외면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턱(302)이 마련된다. 또한, 보텀 캡(30)은 내부에 브레이크씰(305)이 설치되는 개봉구멍(303)이 형성되고, 개봉구멍(303)의 주변으로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출입구(304)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기체출입구(304)는 보텀 캡(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보텀 캡(30)이 캐니스터(10)와 결합하면 브레이크씰(305)이 라이너백(20)과 밀착되어 라이너백(20)이 밀폐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브레이크씰(305)이 라이너백(20)을 밀폐하고 있어서 라이너백(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브레이크씰(305)을 개봉해야만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100)는, 본체(1), 프로브(2), 작동수단(3) 및 구속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에 보텀 캡(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보텀 캡(30)을 구속하고, 프로브(2)를 안내하며, 작동수단(3) 및 구속수단(4)을 지지하는 것으로, 메인보디(11), 리테이너(12), 슬라이드보디(13), 슬라이드블록(14)을 포함한다.
메인보디(11)는, 프로브(2) 및 리테이너(12)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대략 하부의 내경 및 외경이 외측으로 단차지고, 상단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메인보디(11)는 단차진 내주면의 경계가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하부 일측 일 영역이 절개되는 제1삽입구(111)가 형성되며, 슬라이드보디(13)와 나사 결합한다. 또한, 메인보디(11)는 내부에 프로브(2)를 안내하고 프로브(2)에 대응하는 부시(112)가 설치된다.
리테이너(12)는, 프로브(2)를 안내하고 캐니스터(10) 내부로 기체를 주입시키는 것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단은 메인보디(11)의 하단에 대응하고 하단 내측에 기체가 주입되는 절두된 원뿔모양의 주입공간(121)이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12)는, 내주면에 리테이너(12)와 프로브(2)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O)과, 하단 외면에 리테이너(12)와 보텀 캡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O)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리테이너(12)는 외측면에 주입공간(121)과 연결되는 주입구(122)와 주입구(122)와 연결되는 배출구(123)가 각각 형성되고, 메인보디(11)와 슬라이드보디(13) 사이에 배치되어 구속되되 메인보디(11)와 슬라이드보디(13)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구(122)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면 주입공간(121)으로 기체가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기체는 기체출입구(304)를 통해 캐니스터(10)의 내부로 주입되며, 캐니스터(10)의 내부에 과부압이 발생하면 배출구(123)를 통해 기체를 배출시켜 캐니스터(10)의 내부압력을 조절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슬라이드보디(13)는, 용기(200)의 보텀 캡을 구속하고, 메인보디(11)로부터 리테이너(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메인보디(11)의 하단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드보디(13)의 상단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또한, 슬라이드보디(13)는 보텀 캡의 걸림턱(302)에 대응하도록 하단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는 구속편(131)이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드보디(13)는 일측에 메인보디(11)의 삽입구에 대응하는 제2삽입구(13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보디(13)의 상단이 메인보디(11)의 하단에 밀착하며, 메인보디(11)와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보디(13)와 메인보디(11)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1삽입구(111) 및 제2삽입구(132)로 보텀 캡의 수나사부(301)를 삽입하면 보텀 캡의 수나사부(301)가 리테이너(12)와 슬라이드보디(13) 사이에 배치되고, 보텀 캡의 걸림턱(302)은 구속편(131)에 걸려서 슬라이드보디(13)와 용기(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14)은, 보텀 캡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대략 평면의 형상이 대략 "ㄷ"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된다. 또한, 슬라이드블록(14)은 내부가 슬라이드보디(13)의 하부외측면에 대응하며, 외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블록(14)은 슬라이드보디(13)의 하단 외측에 끼워지고, 슬라이드보디(13)와 나사 결합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블록(14)은 슬라이드보디(13)와 나사 결합하면 하단이 슬라이드보디(13)의 하단보다 소정 돌출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블록(14)이 보텀 캡과 밀착하여 보텀 캡이 슬라이드보디(13)와 밀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텀 캡이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브(2)는, 브레이크씰(305)을 개봉하고 라이너백(20)의 노즐(201)과 결합하여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으로, 대략 중공의 환봉 모양으로 형성되되 외면은 메인보디(11), 부시(112), 리테이너(12) 및 노즐(201)에 대응하도록 단차지되, 상부에는 핸들부(32)의 가이드라인(321)에 대응하는 한 쌍의 안내홈(21)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부시(112)에 삽입되면서 리테이너(12)를 밀어서 보텀 캡과 밀착시키는 작동블록(22)이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다. 이때, 프로브(2)는 상부가 메인보디(11)에 끼워지고, 작동블록(22)은 부시(112)에 끼워지며, 하부는 리테이너(12)에 끼워져 상승 또는 하강한다. 또한, 프로브(2)는 작동블복의 저면에 리테이너(12)와 프로브(2)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O)과, 프로브(2)의 하부에 리테이너(12)와 프로브(2) 사이 및 노즐(201)과 프로브(2) 사이를 밀폐하는 복수의 오링(O)이 설치된다. 여기서, 프로브(2)의 작동 및 기능은 후술한다.
작동수단(3)은, 프로브(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핸들블록(31) 및 핸들부(32)를 포함한다.
핸들블록(31)은, 핸들부(32)를 구속하는 것으로, 상단은 핸들부(32)의 일단에 대응하고, 하단은 메인보디(11)와 나사 결합한다.
핸들부(32)는, 프로브(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평면의 형상이 대략 "H" 모양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핸들블록(31)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프로브(2)의 안내홈(21)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라인(321)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라인(321)은 프로브(2)의 안내홈(2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핸들부(32)를 아래로 회전시키면 프로브(2)가 하강하고, 핸들부(32)를 위로 회전시키면 프로브(2)가 상승한다.
구속수단(4)은, 핸들부(32)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커버(41), 안내부(42), 구속핀(43), 스프링(44), 푸시버튼(45) 및 로크블록(46)을 포함한다.
커버(41)는, 안내부(42), 구속핀(43) 및 스프링(44)을 보호하는 것으로, 대략 일단 및 상단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핸들부(32)의 타단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안내부(42)는, 구속핀(43)을 안내하고 구속하는 것으로, 해드캡(421) 및 엔드캡(422)을 포함한다.
해드캡(421)은, 대략 구속핀(43)에 대응하도록 실린더 모양으로 형성되고, 구속핀(43)의 전방에 끼워지며, 커버(41)의 내부에 고정된다.
엔드캡(422)은, 해드캡(421)으로부터 구속핀(43) 및 스프링(44)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속핀(43)의 후방에 끼워지되 해드캡(421)과 나사 결합한다.
구속핀(43)은, 핸들부(32)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해드캡(421) 및 엔드캡(422)에 끼워지도록 외면이 해드캡(421) 및 엔드캡(422)에 대응하되, 외면에 해드캡(421) 및 엔드캡(42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431)가 외측으로 확장된다. 또한, 구속핀(43)은 일단이 해드캡(421)으로부터 돌출되고, 타단에 푸시버튼(45)에 안착되는 작동핀(432)이 설치된다.
스프링(44)은, 구속핀(43)을 리턴시키는 것으로, 해드캡(4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스토퍼(431)와 엔드캡(422)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44)에 의해 구속핀(43)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푸시버튼(45)은, 구속핀(43)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핸들부(32)의 내측에 배치되되 일단은 핸들부(32)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하향 절곡되며 끝단에 작동핀(432)에 대응하는 후크(451)가 형성된다. 즉, 작동핀(432)이 후크(451)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45)을 누르면 작동핀(432)이 후크(451)의 경사면(452)을 타고 이동하면서 구속핀(43)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푸시버튼(45)을 놓으면 스프링(44)에 의해서 구속핀(43)이 전진한다. 이때, 작동핀(432)이 후크(451)의 경사면(452)을 타고 전진하면서 푸시버튼(45)이 자동으로 올라간다.
로크블록(46)은, 구속핀(43)이 끼워지는 것으로, 기다란 바(bar) 모양으로 형성되되 외형은 단차지고, 상단 및 하단에 제1구속홈(461)과 제2구속홈(462)이 각각 형성되며, 메인보디(11)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로크블록(46)은 폭이 핸들부(32)의 내측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32)를 상승시킨 후 푸시버튼(45)을 눌러서 구속핀(43)을 제1구속홈(461)에 끼우면 핸들부(32)는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고, 다시 푸시버튼(45)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부(32)를 작동하면 핸들부(32)가 핸들블록(31)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45)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부(32)를 하강시킨 후 푸시버튼(45)을 놓으면 구속핀(43)이 제2구속홈(462)에 끼워짐으로써, 핸들부(32)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텀 캡(30)은, 상술한 보텀 캡(30)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100)의 핸들부(32)는 상승한 상태에서 보텀 캡(30)의 마개를 제거한 후 용기(200)의 수나사부(301)를 메인보디(11)의 제1삽입구(111)로 끼워넣는다.
수나사부(301)의 걸림턱(302)이 슬라이드보디(13)의 구속편(131) 위에 얹혀지면 푸시버튼(45)을 눌러서 로크블록(46)의 제1구속홈(461)으로부터 구속핀(43)을 이탈시킨다.
제1구속홈(461)으로부터 구속핀(43)이 이탈하면, 푸시버튼(45)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부(32)를 아래로 회전시킨다.
핸들부(32)가 하강하면 핸들부(32)의 가이드라인(321)이 프로브(2)를 눌러서 프로브(2)가 함께 하강한다.
프로브(2)가 하강하면 프로브(2)의 하단이 수나사부(301)를 관통하면서 브레이크씰(305)을 뚫고 들어가고, 브레이크씰(305)을 뚫고 들어간 프로브(2)의 하단이 용기(200)의 노즐(201)에 끼워져 프로브(2)와 노즐(201) 사이가 밀폐되며, 작동블록(22)이 리테이너(12)를 눌러서 하강시킨다. 따라서, 브레이크씰(305)을 개봉할 때 외부의 이물질이 라이너백(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나사부(301)가 리테이너(12)에 견고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프로브(2)를 하강함으로써, 프로브(2)가 노즐(201)에 어긋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로브(2)의 하단이 노즐(201)에 견고하게 삽입됨으로써 프로브(2)와 노즐(201) 사이에서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12)가 하강하면 리테이너(12)의 하단 일부가 수나사부(30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수나사부(301)와 리테이너(12)가 밀착되어 수나사부(301)와 리테이너(12) 사이가 밀폐된다.
이후, 푸시버튼(45)을 놓으면 스프링(44)에 의해 구속핀(43)이 돌출되면서 로크블록(46)의 제2구속홈(46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32)는 고정되고 핸들부(32)가 고정됨으로써 프로브(2)와 노즐(201), 리테이너(12)와 수나사부(301)가 서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로브(2)가 노즐(201)에 끼워져 고정되면 주입구(122)를 통해 기체를 주입한다. 이때, 배출구(123)에는 릴리프밸브(미도시) 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주입구(122)를 통해 기체가 주입되면 주입공간(121)을 통해 용기(200)의 기체출입구(304)로 기체가 주입되고, 기체출입구(304)로 주입된 기체는 캐니스터(10)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캐니스터(10) 내부로 주입된 기체는 라이너백(20)과 캐니스터(10) 사이로 채워지고 캐니스터(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한다.
캐니스터(10)의 내부압력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라이너백(20)이 수축하면서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이 순차적으로 튜브(202), 노즐(201) 및 프로브(2)를 거쳐 배출된다.
여기서, 캐니스터(10)의 내부로 기체가 과도하게 주입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압력이 허용압력을 초과하면, 리테이너(12)의 배출구(123)를 통해 캐니스터(10)에 주입된 기체의 일부를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10)의 내부압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을 모두 토출하면 푸시버튼(45)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부(32)를 상승시키면 노즐(201)로부터 프로브(2)가 이탈하고, 프로브(2)에 끼워진 제일 큰 오링(O)이 리테이너(12)를 들어올려 리테이너(12)를 상승시킨다.
프로브(2) 및 리테이너(12)가 완전히 상승하면 수나사부(301)로부터 프로브(2) 및 리테이너(12)가 완전히 이탈한다.
수나사부(301)로부터 프로브(2) 및 리테이너(12)가 완전히 이탈하면, 용기(200)를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100)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레이크씰(305)을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개봉할 수 있어서, 라이너백(20)에 담긴 내용물 토출시 라이너백(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1; 본체 11; 메인보디
111; 제1삽입구 112; 부시
12; 리테이너 121; 주입공간
122; 주입구 123; 배출구
13; 슬라이드보디 131; 구속편
132; 제2삽입구 14; 슬라이드블록
2; 프로브 21; 안내홈
22; 작동블록 3; 작동수단
31; 핸들블록 32; 핸들부
321; 가이드라인 4; 구속수단
41; 커버 42; 안내부
421; 해드캡 422; 엔드캡
43; 구속핀 431; 스토퍼
432; 작동핀 44; 스프링
45; 푸시버튼 451; 후크
452; 경사면 46; 로크블록
461; 제1구속홈 462; 제2구속홈
200; 용기
10; 캐니스터 20; 라이너백
201; 노즐 202; 튜브
30; 보텀 캡 301; 수나사부
302; 걸림턱 303; 개봉구멍
304; 기체출입구 305; 브레이크씰
O; 오링

Claims (9)

  1. 입구를 밀폐하는 브레이크씰이 설치되고 내부에 노즐을 마련한 용기에 설치되는 보텀 캡을 구속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브레이크씰을 개방하고 상기 노즐과 결합하여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프로브; 및
    상기 본체에 상기 프로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는 리테이너;
    상기 프로브를 안내하는 메인보디; 및
    상기 보텀 캡을 구속하고 상기 메인보디로부터 리테이너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보디;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금속탱크에 해당하는 캐니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삽입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라이너백;을 포함하며,
    상기 보텀 캡은 상기 용기의 입구 기능을 하며 상기 라이너백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용기와 결합하고 상기 본체에 구속되되 상기 본체의 측 방향에서 슬라이드 삽입 또는 이탈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보텀 캡은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외면이 단차지되 내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되고, 상기 캐니스터와 연통되도록 나사 결합하며,
    상기 보텀 캡은 상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의 외면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보텀 캡은 내부에 브레이크씰이 설치되는 개봉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구멍 일측으로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출입구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텀 캡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텀 캡이 상기 캐니스터와 결합하면 상기 브레이크씰이 상기 라이너백에 밀착되어 상기 라이너백을 밀폐시키며,
    상기 메인보디는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내경 및 외경의 외측으로 단차지고 상단의 내주면이 내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보디는 단차진 내주면의 경계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 일측 일 영역이 절개되는 제1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단은 상기 메인보디의 하단에 대응하고 하단 내측에는 기체가 주입되는 절두된 원뿔모양의 주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보디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되는 원통형을 형성되되 상기 메인보디의 하단에 대응하도록 상단이 외측으로 확장되고, 일측에 상기 메인보디의 제1삽입구에 대응하는 제2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보디는 상기 보텀 캡의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도록 하단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는 구속편이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보디는 상단이 상기 메인보디의 하단에 밀착하며 나사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드보디와 메인보디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로 상기 보텀 캡를 삽입할 경우, 상기 보텀 캡의 수나사부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슬라이드보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텀 캡의 걸림턱은 상기 구속편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보디와 상기 용기의 분리를 방지하며,
    상기 프로브가 하강할 시, 상기 프로브의 하단은 상기 수나사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브레이크씰을 뚫고 들어가 상기 용기의 노즐에 끼워져 상기 프로브와 상기 노즐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프로브를 구속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구속핀;
    상기 커버에 상기 구속핀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본체에 상기 구속핀이 삽입되는 로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핸들부에 상기 구속핀을 돌출시키는 푸시버튼; 및
    상기 구속핀을 리턴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8. 삭제
  9. 삭제
KR2020200003004U 2020-08-18 2020-08-18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KR200496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4U KR200496598Y1 (ko) 2020-08-18 2020-08-18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CN202021897508.3U CN214609269U (zh) 2020-08-18 2020-09-03 一种可滑动缔结的一键按压式分液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4U KR200496598Y1 (ko) 2020-08-18 2020-08-18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61U KR20220000461U (ko) 2022-02-25
KR200496598Y1 true KR200496598Y1 (ko) 2023-03-10

Family

ID=7837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04U KR200496598Y1 (ko) 2020-08-18 2020-08-18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6598Y1 (ko)
CN (1) CN2146092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21B1 (ko) * 2008-07-07 2010-05-17 갑을오토텍 유한회사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352B2 (en) 2000-09-15 2006-02-14 Brightwell Dispensers Limited Liquid dispenser assembly
KR100680995B1 (ko) * 2006-01-03 2007-02-12 최형선 생맥주 공급 장치
KR200452250Y1 (ko) 2010-07-23 2011-02-14 (주) 이레머티리얼스 단일층 브레이크 씰
KR101438507B1 (ko) 2014-02-05 2014-09-12 (주) 이레머티리얼스 화학 물질 저장용 압력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352B2 (en) 2000-09-15 2006-02-14 Brightwell Dispensers Limited Liquid dispenser assembly
KR100680995B1 (ko) * 2006-01-03 2007-02-12 최형선 생맥주 공급 장치
KR200452250Y1 (ko) 2010-07-23 2011-02-14 (주) 이레머티리얼스 단일층 브레이크 씰
KR101438507B1 (ko) 2014-02-05 2014-09-12 (주) 이레머티리얼스 화학 물질 저장용 압력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21B1 (ko) * 2008-07-07 2010-05-17 갑을오토텍 유한회사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609269U (zh) 2021-11-05
KR20220000461U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7720B1 (en) Method for filling a gas canister for a carbonation machine
JP3608663B2 (ja) 麻酔薬気化器充填装置
KR100955979B1 (ko) 유체 용기용의 이음매
US4305421A (en) Fluid dispensing system
US8205808B2 (en) Pressurized tank sprayer having lid seal
SK287242B6 (sk) Ventilová zostava na nápojový kontajner, nádobu na nápoj a spôsob napĺňania a vyprázdňovania nápojového kontajnera
RU2770217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ега с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выполненной за одно целое с ним
KR101100378B1 (ko) 연결장치
KR200496598Y1 (ko)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JP2002114242A (ja)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CN104955764B (zh) 具有泄放机构的桶密封件
HU222971B1 (hu) Folyadékot gázzal telítő berendezés és biztonsági eszköz
EP3348517A1 (en) Valve structure for a pet keg
US3823848A (en) Sealing plug for a container
FR2545573A1 (fr) Valve doseuse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US20070138182A1 (en) System for securing a cover on a container
JP2010526263A (ja) Co2圧縮ガス源と超過圧力保護手段とを有する容器
US11858696B2 (en) Dispensing nozzles
FR2655955A1 (fr) Valve pour bouteilles a gaz sous pression non rechargeable et emballage equipe d'une telle valve.
US8006856B2 (en) Seal ring for plug
RU2445246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набженное средствами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содержимое контейнера
US20130015212A1 (en) Dispensing unit for liquid containers
JP2007076003A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及び逆流防止装置
KR102124992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