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96Y1 -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96Y1
KR200496396Y1 KR2020220001021U KR20220001021U KR200496396Y1 KR 200496396 Y1 KR200496396 Y1 KR 200496396Y1 KR 2020220001021 U KR2020220001021 U KR 2020220001021U KR 20220001021 U KR20220001021 U KR 20220001021U KR 200496396 Y1 KR200496396 Y1 KR 200496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discharge chute
raw coal
unloading posi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95U (ko
Inventor
이정한
김영준
김용수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220001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9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65G11/166Interior surfaces; Lining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65G47/763Fixed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hut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력발전소 또는 제철소 등에서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석탄(원료탄)을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하역위치에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는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탄을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하역위치에 배출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적용되고,
하역위치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스크래퍼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을 하역위치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슈트;를 구비하되,
상기 배출슈트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되는 제1바닥판 및 제2바닥판;
상기 제1,2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에 윗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원료탄이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 측벽;
상기 제1,2바닥판과 날개형 측벽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의 입자가 상기 교차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착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discharge chute with unloading device for belt conveyer}
본 명세서는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력발전소 또는 제철소 등에서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석탄(원료탄)을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하역위치(사일로를 말함)에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 등에서 보일러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을 보일러로 이송할 경우 벨트를 이용한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고무, 직물, 철망 또는 강판 등으로 제작된 벨트 컨베이어를 순환시켜서 벨트 컨베이어 위에 각종 적재물(원료탄)을 올려놓고 임의속도를 유지하여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로써, 벨트 컨베이어 양단을 벨트풀리에 의해 지지하고 벨트풀리를 구동기로 궤도운동시켜서 구동하게 된다.
벨트 컨베이어는 수평상태의 중앙 롤러와, 그 양측의 경사진 측면 롤러로 구성된 캐리어 롤러에 의해서 회전 지지되면서 구동되는 데, 측면 롤러는 이송되는 적재물이 벨트 컨베이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벨트 컨베이어는 오목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석탄을 하역위치마다 배출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출슈트가 형성된다.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는 중앙 롤러와 측면 롤러에 의해 오목한 형태를 유지하여 하역 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하부에 형성되어 설정된 임의의 시간대에 승강되는 언로딩(unloading) 장치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의 일부를 편평하게 펼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스크래퍼에 의해 원료탄을 양측의 배출슈트를 통해 하역 위치에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언로딩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에 형성되고, 벨트가압승강부(소위, 리프터를 말함)의 구동시 승강(lifting)되는 받침대에 의해 오목한 형태의 벨트 컨베이어 일부(하역위치에서의 벨트 컨베이어를 말함)를 상방으로 밀어서 편평해지도록 펼치게 된다.
전술한 받침대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캐리어 롤러를 구비한다.
전술한 배출슈트는 스크래퍼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밀리는 원료탄을 하역위치로 유도하는 바닥판과, 바닥판 좌우측에 절곡형성되어 원료탄이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 측벽을 구비한다.
전술한 배출슈트는 스테인레스스틸(STS)재로 형성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원료탄이 낙하시 발생되는 소음(임의속도로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스트래퍼에 의해 밀리는 원료탄이 배출슈트의 바닥판 및 날개형 측벽을 가격(加擊)하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으로 인해 작업자는 소음에 시달리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원료탄의 입자가 배출슈트의 바닥판과 날개형 측벽의 교차부에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고착(즉 공기 중의 수분과 원료탄의 유분으로 인해 고착현상이 발생됨)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는 작업자가 원료탄 분진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5065호(2013.05.14.공고)
개시된 내용은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탄을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하역위치에 배출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적용되고, 상기 언로딩 장치는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의 밑으로 설치되고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실린더 신축구동으로 인해 승강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일부를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링크구조물과, 상기 링크구조물 상단에 장착되고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복수의 캐리어 롤러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브라킷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 상면에 장착되고 캐리어 롤러가 수용되도록 롤러수용홈을 관통형성하되 롤러수용홈의 윗쪽 개구부에 일부 돌출된 캐리어 롤러가 벨트 컨베이어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한 판넬을 포함하며, 하역위치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스크래퍼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을 하역위치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슈트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되는 제1바닥판 및 제2바닥판, 상기 제1,2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에 윗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원료탄이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 측벽을 구비하되,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상기 배출슈트에 낙하되는 원료탄이 상기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날개형 측벽 중 상기 스크래퍼의 대향측에 형성된 배출슈트의 날개형 측벽의 높이는 이에 대향되는 날개형 측벽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1,2바닥판과 날개형 측벽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의 입자가 교차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착방지구;를 구비하는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있어서, 상기 제1,2바닥판중 어느 하나의 바닥판과, 상기 높이가 높게 형성된 날개형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원료탄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유도하고, 원료탄의 낙하시 가격(加擊)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내마모성 및 비흡수성을 갖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재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완충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삭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스크래퍼에 의해 낙하되어 배출슈트의 내측면에 고착되는 원료탄을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원료탄이 배출슈트에 낙하시 발생되는 소음을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 PE)재의 완충재에 의해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출슈트의 변형예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출슈트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출슈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슈트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출슈트의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출슈트가 적용되는 언로딩 장치의 요부발췌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는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탄(석탄)을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하역위치에 배출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적용되고,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1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10) 구동에 의해 원료탄(A)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스크래퍼(11)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A)을 하역위치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슈트(12);를 구비하되,
배출슈트(12)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 형성되고, 밀착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9)를 체결부재(20)의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제1바닥판(13) 및 제2바닥판(14);
제1,2바닥판(13,14)의 좌측 및 우측에 윗쪽으로 연장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탄이 배출슈트(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날개형 측벽(15.16);
제1,2바닥판(13,14)과 날개형 측벽(15,16)의 교차부(32)(사각지대를 말함)에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의 입자가 교차부(32)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착 방지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배출슈트(12)에 낙하되는 원료탄이 배출슈트(12)로부터 이탈(원료탄이 배출슈트(12)로부터 튕겨나가는 것을 말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형 측벽(15,16) 중 어느 하나의 날개형 측벽(15)(스크래퍼(11)와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된 날개형 측벽을 말함)의 높이는 대향측 날개형 측벽(16)의 높이보다 임의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10)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탄이 하역위치에서 스크래퍼(11)와 충돌되어 이송방향이 변경된 후 배출슈트(12)에 낙하될 경우, 벨트 컨베이어(10)가 임의속도로 구동됨에 따라 원료탄이 벨트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튕겨나와 배출슈트(12)의 날개형 측벽(15)에 충돌하게 된다.
이때, 배출슈트(12)의 날개형 측벽(15,16)중, 날개형 측벽(15)의 높이가 대향측 날개형 측벽(16)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원료탄이 배출슈트(12)로부터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2바닥판(13,14)중 어느 하나의 바닥판(13)(고착 방지구(17)과 접촉되는 제1바닥판(13)을 말함)과, 높이가 높게 형성된 날개형 측벽(15)(스크래퍼(11)와 대향되는 쪽의 날개형 측벽을 말함)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탄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유도하고, 원료탄의 가격(加擊)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 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재로 형성되는 임의형태의 완충재(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바닥판(13), 날개형 측벽(15)의 표면에 부착되는 완충재(18)를 내마모성 및 비흡수성을 갖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재로 형성함에 따라 원료탄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0)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탄이 하역위치에서 스크래퍼(11)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후 배출슈트(12)에 낙하될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완충재(18)에 의해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완충재(18)의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 PE)재가 갖는 내충격강도, 내화학성, 내마모성(미끄럼성이 뛰어나고 비흡수성, 무독성의 특성을 말함) 기능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기술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언로딩 장치는
원료탄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10)의 밑으로 설치되고, 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실린더(21) 신축구동으로 인해 승강되어 벨트 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 일부를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링크구조물(22)(소위 리프터를 말함);
링크구조물(22) 상단에 장착되고, 벨트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으로 복수의 캐리어 롤러(23)(carrier roller)(컨베이어 벨트(10) 구동시 회전되어 컨베이어 벨트(10) 바닥면을 지지하고,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링크구조물(22)에 의해 임의높이만큼 상승되어 벨트 컨베이어(10)를 편평하게 펼치도록 사용됨)가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축고정부(24)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베어링하우징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 벨트 컨베이어(10)의 바닥면을 밀착지지하는 받침프레임(25);
받침프레임(25) 상면에 장착되고, 캐리어 롤러(23)가 수용되도록 롤러 수용홈(26)을 관통형성하되, 롤러 수용홈(26)의 윗쪽 개구부에 일부 돌출된 캐리어 롤러(23)가 벨트 컨베이어(1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한 판넬(27)(panel);을 구비하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B는 원료탄(A) 하역위치에 설치되는 언로딩 장치가 장착되는 프레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1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연료탄이 벨트 컨베이어(10)의 구동방향의 좌측 및 우측의 하역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10)의 밑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터(링크구조물(22)을 말함)가 실린더(21)의 신장구동으로 인해 상승하게 된다.
전술한 링크구조물(22)(실린더(21) 구동에 의해 링크운동하는 한 쌍의 제1,2링크(30,31)로 이루어짐)의 링크운동에 의해 링크구조물(22) 상단에 장착된 받침프레임(25)을 들어올려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10) 일부를 들어올리게 된다.
즉, 리프링되는 받침프레임(25)의 축고정부(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캐리어 롤러(23)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 일부를 임의높이만큼 들어올려 편평하게 펼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캐리어 롤러(23)는 받침프레임(25) 상면에 장착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 PE)재로 형성된 판넬(27)에 길이방향(벨트 컨베이어(10)의 구동방향을 말함)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된 롤러 수용홈(26)에 수용되고, 롤러 수용홈(26)의 윗쪽 개구부에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바닥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됨)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탄(A)(석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벨트 컨베이어(10)에 적재된 원료탄은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방에 설치된 V자 형태의 스크래퍼(11)(벨트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원료탄을 벨트 컨베이어(1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켜 하역위치로 낙하를 유도시키도록 사용됨)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벨트 컨베이어(1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배출슈트(12)를 통해 하역위치(사일로를 말함)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원료탄이 스크래퍼(11)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좌측 및 우측의 배출슈트(12)에 낙하될 경우, 벨트 컨베이어(10)가 임의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10) 위의 연료탄이 스크래퍼(11)와 충돌되어 벨트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튕겨나오게 된다.
따라서 원료탄이 스크래퍼(11)에 의해 튕겨나와 배출슈트(12)에 낙하될 경우, 스크래퍼(11) 대향측에 형성된 배출슈트(12)의 날개형 측벽(15)의 높이가 대향측 날개형 측벽(1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원료탄이 배출슈트(12)로부터 이탈되어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크래퍼(11)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원료탄(A)이 배출슈트(12)를 통과하여 하역위치의 사일로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탄이 배출슈트(12)에 낙하될 경우, 배출슈트(12)의 제1,2바닥판(13,14)과 날개형 측벽(15,16)의 교차부(32)에 형성된 고착 방지구(17)에 의해 연료탄의 입자가 교차부(32)에 고착(固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착 방지구(17)를 평판형태로 형성하여 교차부(32)에 45도 경사각도로 부착함에 따라 원료탄이 교차부(32)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는 고착 방지구(17)를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여 원료탄이 슬라이딩되도록 유도하여 교차부(32)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전술한 고착 방지구(17)의 형태를 삼각형, 또는 라운드 형태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이들 형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원료탄이 교차부(32)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고착 방지구(17)를 판형, 엣지(edge)형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배출슈트(12)를 좌우 대칭되게 분할 형성하고 날개형 측벽(15,16)을 각각 갖는 제1바닥판(13) 및 제2바닥판(14)을 돌출부(19)에 의해 교체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A)에 의해 제1바닥판(13) 및 제2바닥판(14)중 어느 하나가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될 경우 마모된 해당 바닥판을 교체시켜 사용함에 따라 경제적이다.
한편, 수평 롤러(28)와, 수평 롤러(28)의 좌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롤러(29)에 의해 바닥면이 지지되고, 적재된 원료탄(A)을 이송시킬 경우 채널 형태를 이루게 되는 벨트 컨베이어(10)와,
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연료탄(석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실린더(21) 신축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캐리어 롤러(23)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의 일부를 들어올려 편평하게 펼치는 리프터(링크구조물(22)을 말함)와,
하역 위치에서 벨트 컨베이어(10)의 연료탄 이송방향을 벨트 컨베이어(1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변경시켜 하역위치로 낙하를 유도하는 V자 형태의 스크레퍼(11)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벨트 컨베이어
11; 스크래퍼
12; 배출슈트
13; 제1바닥판
14; 제2바닥판
15; 날개형 측벽
16; 날개형 측벽
17; 고착 방지구
18; 완충재
19; 돌출부
20; 체결부재
21; 실린더
22; 링크구조물
23; 캐리어 롤러
24; 축고정부
25; 받침프레임
26; 롤러 수용홈
27; 판넬
28; 수평 롤러
29; 측면 롤러
30; 제1링크
31; 제2링크
32; 교차부

Claims (1)

  1.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탄을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하역위치에 배출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적용되고,
    상기 언로딩 장치는
    하역위치의 벨트 컨베이어의 밑으로 설치되고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실린더 신축구동으로 인해 승강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일부를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링크구조물과, 상기 링크구조물 상단에 장착되고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복수의 캐리어 롤러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브라킷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 상면에 장착되고 캐리어 롤러가 수용되도록 롤러수용홈을 관통형성하되 롤러수용홈의 윗쪽 개구부에 일부 돌출된 캐리어 롤러가 벨트 컨베이어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한 판넬을 포함하며,
    하역위치의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료탄이 하역위치에 도달될 경우 스크래퍼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을 하역위치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슈트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되는 제1바닥판 및 제2바닥판; 상기 제1,2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에 윗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원료탄이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 측벽;을 구비하되,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상기 배출슈트에 낙하되는 원료탄이 상기 배출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날개형 측벽 중 상기 스크래퍼의 대향측에 형성된 배출슈트의 날개형 측벽의 높이는 이에 대향되는 날개형 측벽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1,2바닥판과 날개형 측벽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연료탄의 입자가 교차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착방지구;를 구비하는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에 있어서,
    상기 제1,2바닥판중 어느 하나의 바닥판과, 상기 높이가 높게 형성된 날개형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원료탄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유도하고, 원료탄의 낙하시 가격(加擊)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내마모성 및 비흡수성을 갖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재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완충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KR2020220001021U 2021-06-01 2022-04-26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KR200496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21U KR200496396Y1 (ko) 2021-06-01 2022-04-26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07 2021-06-01
KR2020220001021U KR200496396Y1 (ko) 2021-06-01 2022-04-26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07 Division 2021-06-01 2021-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95U KR20220002895U (ko) 2022-12-08
KR200496396Y1 true KR200496396Y1 (ko) 2023-01-19

Family

ID=8439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21U KR200496396Y1 (ko) 2021-06-01 2022-04-26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10B1 (ko) * 2006-11-06 2008-03-24 주식회사 세화기계 분할 슈트
KR101280621B1 (ko) * 2012-11-22 2013-07-02 주식회사 케이이씨 난연, 저마찰, 내마모성을 갖는 이음매 없는 일체형 라이너를 갖는 콜 피더 인렛 슈트
KR101986807B1 (ko) * 2018-12-29 2019-06-07 (유)현대기공 볼트 표면처리를 위한 자동이송장치
KR102138721B1 (ko) * 2020-01-30 2020-07-29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65B1 (ko) 2012-03-06 2013-05-14 (주)하이텍산업개발 석탄 분배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10B1 (ko) * 2006-11-06 2008-03-24 주식회사 세화기계 분할 슈트
KR101280621B1 (ko) * 2012-11-22 2013-07-02 주식회사 케이이씨 난연, 저마찰, 내마모성을 갖는 이음매 없는 일체형 라이너를 갖는 콜 피더 인렛 슈트
KR101986807B1 (ko) * 2018-12-29 2019-06-07 (유)현대기공 볼트 표면처리를 위한 자동이송장치
KR102138721B1 (ko) * 2020-01-30 2020-07-29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95U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1030B2 (en) Conveyor belt with upright ribs
US6234297B1 (en)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EP1826159A1 (en) Conveying system
KR200496396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배출슈트
NL8401329A (nl) Bandtransporteur voor het verticaal of steil transporteren van stortgoed.
US2426304A (en) Bucket conveyor system
EP0521541B1 (en) Chute with retarding means
US5042647A (en) Overlapping, non-leaking conveyor slat for dry bulk materials
US1989502A (en) Conveyer belt unloader
US20090050449A1 (en) Conveying system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KR20220162611A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US2615557A (en) Bucket conveyer structure
KR102236161B1 (ko)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US1856262A (en) Conveyer
KR102178309B1 (ko) 트럭용 언로딩 피더
CN217262990U (zh) 一种皮带输送机
US782772A (en) Loader.
US3357541A (en) Conveyor
JPH07172536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
US3835997A (en) Mobile device for reception, precleaning and piling of beets
KR10213428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스크래퍼장치
JP7339770B2 (ja) シュート装置
JP3310393B2 (ja) ベルトコンベア
JP7339769B2 (ja) シュ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