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52Y1 - 불판 받침대 - Google Patents

불판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52Y1
KR200496252Y1 KR2020220001015U KR20220001015U KR200496252Y1 KR 200496252 Y1 KR200496252 Y1 KR 200496252Y1 KR 2020220001015 U KR2020220001015 U KR 2020220001015U KR 20220001015 U KR20220001015 U KR 20220001015U KR 200496252 Y1 KR200496252 Y1 KR 200496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member
base
screw hole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대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불판 받침대가 개시된다. 불판 받침대는, 조리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와, 연결부를 베이스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연결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판 받침대{GRILL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불판은 바닥면에 이격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며 거치 높이의 가변이 용이한 불판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겹살이나 양념 갈비 등을 구워서 먹는 과정은 소정의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불판을 이용한다.
이러한 불판은, 바닥면에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가열원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불판 위에 위치한 삽겸살 또는 양념 갈비 등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불판은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에서 불판을 조립하는 볼트가 돌출되어 불판의 간섭에 의한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볼판의 하중과 크기에 따라 지지대의 높이 가변이 필요하지만, 높이 조절이 어려워 조리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07929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불판이 베이스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불판을 조립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불판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베이스부의 설치 높이의 가변이 용이한 불판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조리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와, 연결부를 베이스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연결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일측에는 체결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일단에는 연결부의 제2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연결부가 돌출된 지지 바디와, 지지 바디의 타단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마찰 지지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라운드 플레이트 형상이며, 체결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홀과,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고정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며, 머리부는 안착면에 안착되며 머치부의 상부 표면이 베이스부의 표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지지부가 조리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의 하부에 길이 조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소정의 조리판이 안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바, 불판 등의 조리판의 안전 지지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가 조리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에 나사 결합 길이 변경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조리판의 크기와 하중에 대응하여 베이스부의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베이스부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아, 조리판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지지부가 체결부재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불판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지지부가 체결부재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받침대(100)는, 불판 등의 조리판(미도시)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30)와, 연결부(30)를 베이스부(1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20)와, 연결부(3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부(10)는 조리판(미도시)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조리판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불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조리판은 음식물 가열을 위한 불판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소정의 조리 용기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10)는 조리판(미도시)의 하부를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지지부(40)에 체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되어 조리판을 바닥면에 이격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중앙에 관통홀(11)이 형성된 라운드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는 조리판의 하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접촉 지지한 상태로 조리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조리판을 가열하는 소정의 가열원의 열이 전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은 베이스부(10)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10)는 관통홀(11)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0)가 관통홀(11)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조리판의 하부를 열전달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후술하는 지지부(40)를 베이스부(10)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베이스부(10)에는 체결부재(2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2)은 베이스부(10)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부재(20)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2)은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40)의 개수에 대응하여 베이스부(10)의 둘레에 서로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홀(12)의 측면에는 체결부재(20)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13)이 고정홀(12)의 측면에 형성되는 바, 체결부재(20)가 고정홀(12)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0)의 상부가 베이스부(1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홀(12)에 삽입되고 안착면(13)에 머리부가 안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연결부(3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홀(12)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접시 머리부가 형성된 나사볼트로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체결부재(20)에 상부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긴 길이로 연장되어 지지부(40)에 분리 결합 가능한 상태로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30)는, 일측에는 체결부재(20)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홀(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부(40)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서로 대향하는 일단과 타단의 각각에 제1 나사홀(31)과 제2 나사홀(33)이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부(40)를 베이스부(10)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와 지지부(4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각형의 외표면을 갖도록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30)의 하부에는 제2 나사홀(33)에 나사 결합으로 분리 가능한 상태로 지지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일단이 제2 나사홀(33)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 연결부(30)가 돌출되는 지지 바디(41)와, 지지 바디(41)의 타단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마찰 지지되는 마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디(41)는 봉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0)를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바디(41)는 상부에 나사 연결부(30)가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부(3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나사 결합 길이의 조절에 의해 연결부(30)에 연결된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베이스부(10)가 바닥면에 이격 설치된 위치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 바디(41)는 베이스부(10)의 하부에 3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베이스부(10)의 크기에 대응하여 4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바디(41)의 하단에는 마찰부재(43)가 삽입될 수 있다.
마찰부재(43)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지지 바디(41)에 삽입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조리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바닥면에 정위치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지지 바디(41)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찰부재(43)는 고무 재질의 소켓 타입으로 형성되어 지지 바디(41)의 하단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마찰 지지될 수 있다. 마찰부재(43)는 고무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우레탄 재질 등의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찰부재(43)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면의 전체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면의 일부분에 마찰 돌기(미도시)가 돌출되어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불판 받침대(100)는, 복수개의 지지부(40)가 베이스부(10)의 하부에 길이 조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소정의 조리판이 안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바, 불판 등의 조리판의 안전 지지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40)가 베이스부(10)에 나사 결합 길이 변경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조리판의 크기와 하중에 대응하여 베이스부(10)의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부(40)와 베이스부(1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20)가 베이스부(1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아, 조리판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베이스부 11...관통홀
12...고정홀 20...체결부재
30...연결부 31...제1 나사홀
33...제2 나사홀 40...지지부
41...지지 바디 42...나사 연결부
43...마찰부재

Claims (4)

  1. 조리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연결부가 돌출된 지지 바디; 및 상기 지지 바디의 타단에 삽입되어 바닥면에 마찰 지지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라운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홀과,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며, 머리부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며 머리부의 상부 표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불판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20001015U 2022-04-26 2022-04-26 불판 받침대 KR200496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15U KR200496252Y1 (ko) 2022-04-26 2022-04-26 불판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15U KR200496252Y1 (ko) 2022-04-26 2022-04-26 불판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52Y1 true KR200496252Y1 (ko) 2022-12-09

Family

ID=8439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15U KR200496252Y1 (ko) 2022-04-26 2022-04-26 불판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5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127A (ja) * 1999-03-31 2000-10-13 Kokuyo Co Ltd 被支持体の取付構造
KR20090007929A (ko) 2007-07-16 2009-01-21 엄기성 불판 지지대
KR20090006902U (ko) * 2008-01-03 2009-07-08 (주)상도가구 조립식 테이블 다리
KR101458564B1 (ko) * 2013-01-29 2014-11-05 여신구 다리 연결구가 구비된 테이블
KR101960251B1 (ko) *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KR20210072514A (ko) * 2019-12-09 2021-06-17 조희만 휴대용 절첩 테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127A (ja) * 1999-03-31 2000-10-13 Kokuyo Co Ltd 被支持体の取付構造
KR20090007929A (ko) 2007-07-16 2009-01-21 엄기성 불판 지지대
KR20090006902U (ko) * 2008-01-03 2009-07-08 (주)상도가구 조립식 테이블 다리
KR101458564B1 (ko) * 2013-01-29 2014-11-05 여신구 다리 연결구가 구비된 테이블
KR101960251B1 (ko) *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KR20210072514A (ko) * 2019-12-09 2021-06-17 조희만 휴대용 절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55B1 (ko) 디스플레이 마운팅 장치
US4924766A (en) Rotisserie assembly
KR200496252Y1 (ko) 불판 받침대
KR20130085212A (ko) 가슴받침대
KR20160007157A (ko) 조립식 낚시 받침대
US6104017A (en) Spitting device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20140141144A1 (en) Self adjusting rotisserie device
KR200496377Y1 (ko) 유동방지용 불판 받침대
JP7252736B2 (ja) 天板昇降式什器
KR102474842B1 (ko) 선박용 조리용기 고정구
KR101995823B1 (ko) 멀티스탠드
CN112294005A (zh) 一种椅子的防晃动结构
KR102354459B1 (ko) 가열조리용기와의 불꽃거리 확장조절을 위한 가스버너의 받침브라켓 높이확장조절장치
US4975815A (en) Structure of desk lamp
KR200148710Y1 (ko) 가스오븐렌지용 스토퍼
KR200175150Y1 (ko) 모니터용기능성선반
CN212319805U (zh) 锅支架和具有该锅支架的灶具
KR20190000721U (ko) 보드 거치대
KR20170000166U (ko) 그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JP3065859U (ja) 物置棚
KR100412288B1 (ko) 침대용 프레임
KR200159902Y1 (ko) 스탠드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75644Y1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그릴용 받침대
KR200180355Y1 (ko) 낚시대 받침대용 홀더 각도조절구조
KR100704189B1 (ko) 열 유도반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