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212A - 가슴받침대 - Google Patents

가슴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212A
KR20130085212A KR1020120006204A KR20120006204A KR20130085212A KR 20130085212 A KR20130085212 A KR 20130085212A KR 1020120006204 A KR1020120006204 A KR 1020120006204A KR 20120006204 A KR20120006204 A KR 20120006204A KR 20130085212 A KR20130085212 A KR 2013008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est
protrusion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2000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212A/ko
Publication of KR2013008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10Devices for holding pupils upright, i.e. 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책상들에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슴받이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가슴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슴받침대{Breast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슴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로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책상들에 탈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휴대 및 소지가 가능하며, 가슴이 지지되는 가슴안착대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슴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의자는 사무실, 학교, 도서관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인간이 걸터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구이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대와, 안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좌판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엉덩이를 좌판대에 안착시킨 후 등받이에 등을 기댐으로써 편리하게 업무 및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자의 공급이 증가하며, 컴퓨터의 사용이 대중화됨에 따라 인간이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 또한 매우 증가하였고, 특히 직장인이나 학생들과 같은 경우에는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지 않는 경우, 특히 책상에 상체를 기대거나 또는 책상을 향해 상체를 기울이는 경우 허리에 하중이 집중되어 허리의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만성적인 허리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연구되고 있고, 특히 사용자의 가슴이 책상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침 의자가 다양하게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공개특허 제 10-2010-0093862호(명칭:가슴받이 의자)에 개시된 가슴받이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103)와, 안착부(103)를 지지하는 다리부(105)와,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대(101)로 이루어진다.
가슴받이대(101)는 안착부(103)의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몸이 앞쪽으로 치우쳤을 때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슴받이대(101)는 사용자가 안착부(103)의 좌판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가슴받이대(101)는 사용자가 안착부(103)의 좌판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좌측 가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111)와 사용자의 우측 가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대(1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재(113)의 상단부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고정바(115)가 결합된다. 이 고정바(115)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바(115)에 제1지지대(111) 및 제2지지대(11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는 사용자의 가슴이 제1지지대(111) 및 제2지지대(11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상체가 책상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한 채 의자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는 사용자가 안착부(103)에 앉을 때 지지봉(113)이 오른손의 진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를 현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배치된 모든 의자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는 부피와 중량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슴받이 의자(100)가 사용된 장소에서만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100)는 지지봉(113)의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허리를 지속적으로 수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써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기 설치된 책상 및 의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결합과정을 통해 기 설치된 책상에 결합되는 가슴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가슴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안착부의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는 가슴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클립(Clip)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판의 일측변에 탈부착되는 브라켓(Bracket);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슴이 안착되는 가슴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은 판재로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단부들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책상판의 일측변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책상판의 일측변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슴받침대는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 대접되어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대접부에 연결되어 타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라켓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대향되는 측벽들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측벽들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측벽들을 관통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각도조절 공들;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상기 내측면들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되 상단부로 연결되는 축삽입홈들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측면들에 일체로 관통되는 고정축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봉으로 형성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로 상기 제2 결합부재의 하부가 안착될 때 상기 고정축 삽입공들은 상기 각도조절 공들 중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대접판재와, 상기 대접판재에 연결되는 연결판재와,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재에 연결되며 상기 책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되 단부에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결합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재는 "
Figure pat00001
"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슴안착대에 상기 사용자가 안착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책상을 향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슴받침대는 상기 가슴안착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 홈들; 상하부가 개구되어 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일단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타단부는 상기 함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연결봉; 상기 높이조절 홈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봉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어 일단부는 함체의 내면에, 타단부는 상기 삽입돌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개구된 상하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높이조절 홈들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함체의 외면에는 상기 외면으로부터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가슴안착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
Figure pat00002
"자 형상의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슴안착대가 상기 브라켓보다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가 탄성력을 갖는 개구부로 형성되어 책상의 일측 단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책상들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슴받침대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조절부와 높이조절홈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공개특허 제 10-2010-0093862호(명칭:가슴받이 의자)에 개시된 가슴받이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슴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2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브라켓이 책상판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브라켓 결합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부가 절개된 도 2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높이조절부가 도 9의 연결부의 전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안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슴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2와 3의 가슴받침대(1)는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어 상부에 각종 도구들이 안착되는 책상의 책상판의 변들 중 일측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책상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가슴받침대(1)는 책상판의 일측변에 탈부착되는 고정부(3)와, "
Figure pat00003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3)에 결합되는 연결부(5)와, 연결부(5)에 결합되어 후술되는 안착부(9)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7)와, 높이조절부(7)에 결합되어 안착된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시키는 안착부(9)로 이루어진다.
고정부(3)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책상판의 변들 중 사용자와 인접한 지지판의 일측변에 탈부착되는 브라켓(31)과, "
Figure pat00004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브라켓(3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결부(5)에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33)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브라켓이 책상판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브라켓(31)은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길이를 갖는 판체로 형성되어 책상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1 지지판(311)과, 제1 지지판(311)의 길이를 갖는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고정판(313)과, 고정판(313)의 단부에 연결되되 제1 지지판(311)에 대접되게 연결되는 수평면(315)과, 일단부가 수평면(315)에 연결되되 일단부에서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를 향할수록 상기 제1 지지판(311)에 인접되는 제1 경사면(316)과, 제1 경사면(316)에 연결되되 제1 지지판(311)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가압면(317)과, 일단부가 가압면(317)에 연결되되 일단부에서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를 향할수록 지지판(31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경사면(31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면(315), 제1 경사면(316), 가압면(317) 및 제2 경사면(318)들을 제2 지지판이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지지판들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경사면(316)은 수평면(315)에 일단부가 연결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할수록 상향 절곡되고, 가압면(317)은 제1 지지판(311)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311)과 가압면(317) 사이의 틈으로 두께를 갖는 책상판의 일측변(A)이 삽입되면 가압면(317)은 제1 지지판(311)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게 됨으로써 브라켓(31)이 책상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또한 제2 경사면(318)은 가압면(317)에 연결되는 일단부에서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를 향할수록 제1 지지판(311)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책상판(A)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7은 도 2의 브라켓 결합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7과 8의 브라켓 결합부(33)는 "
Figure pat00005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브라켓(31)의 지지판(31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330)와, 제1 결합부재(3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340)와, 고정축(350)으로 이루어진다.
제1 결합부재(330)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1)의 지지판(311)의 상면에 대접되는 대접판재(332)와, "
Figure pat00006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접판재(332)에 연결되는 연결판재(333)와, 연결판재(333)에 연결되되 브라켓(31)의 지지판(311)으로 상방으로 연결되는 결합판재(3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판재(333)는 "
Figure pat00007
"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이 안착부(9)에 안착될 때 안착부(9)에서 책상을 향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슴안착대(1)는 안착부(9)에 사용자의 가슴이 안착되더라도 책상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결합판재(334)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판재(333)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브라켓(3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결된다.
또한 결합판재(334)의 상부면에는 상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335)와 제2 돌출부(336)들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돌출부(335)와 제2 돌출부(336)들은 서로 대향되게 상기 결합판재(334)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들의 사이로 제2 결합부재(340)의 하부가 삽입 안착하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부(335)와 제2 돌출부(336)들의 대향되는 내면들에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되 상단부로 연결되는 축삽입홈(337), (337')들이 형성되고, 축삽입홈(337), (337')들에는 후술되는 제2 결합부재(340)의 회전축(345)이 삽입 안착된다.
또한 제1 돌출부(335)와 제2 돌출부(336)들에는 측벽들을 일체로 관통하는 고정축 삽입공(338), (338')들이 형성된다.
제2 결합부재(34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삽입홈(342)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341)와, 몸체(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출부(345)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341)의 삽입홈(342)으로는 후술되는 도 9의 연결부(5)가 삽입되게 된다.
결합돌출부(345)는 연결부재(330)의 삽입홈(342)으로 하부가 삽입된다.
또한 결합돌출부(345)의 하부의 대향되는 측면들에는 봉 형상의 회전축(346)이 관통되고, 회전축(346)의 양 단부는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회전축(346)이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345)의 측면들에는 회전축(346)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측면들을 관통하는 각도조절 공(347)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부재(330)의 제1 돌출부(335)와 제2 돌출부(336)들의 사이로 결합부재(340)의 결합돌출부(345)의 하부가 삽입될 때 고정축 삽입공(338), (338')들은 각도조절 공(347)들 중 하나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고정축(350)이 이들을 관통함으로써 연결부(5) 및 안착부(9)의 각도가 고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슴받침대(1)는 사용자가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부(3)와 연결부(5)가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350)과 복수개의 각도조절 공(347)들을 이용하여 안착부(9)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각조조절 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각도조절 장치들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의 연결부(5)는 "
Figure pat00008
"자 형상을 갖는 판체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브라켓 결합부(33)의 수직면(334)의 삽입홈(336)에 삽입되어 고정부(3)에 결합된다. 이때 일단부는 삽입홈(336)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홈(336)에 억지끼움 된다.
또한 연결부(5)는 "
Figure pat00009
"자 형상을 이루며, 타단부가 브라켓 결합부(33)에 결합되는 일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착부(9)에 가슴을 안착시키더라도 사용자의 몸이 책상으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둘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3) 결합 시 사용자를 향하는 연결부(5)의 전면부(51)의 외부면에는 외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는 복수개의 높이조절홈(510)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높이조절홈(510)은 후술되는 도 11의 높이조절부(7)의 삽입돌부(731)와 동일하거나 조금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조절홈(510)에는 높이조절부(7)의 삽입돌부(731)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부(5)와 높이조절부(7)들이 결합하게 된다.
도 11은 일부가 절개된 도 2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조립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높이조절부가 도 9의 연결부의 전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과 12의 높이조절부(7)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연결부(5)의 전면부가 관통되는 함체(71)와, 함체(7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면부(51)의 높이조절홈(510)들 중의 하나로 삽입되는 삽입부(73)와, 스프링(75)으로 이루어진다.
함체(71)는 상하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5)의 전면부(51)의 단부가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다.
또한 함체(71)의 일면(710)에는 후술되는 삽입부(73)의 연결봉(733)이 관통되는 관통공(711)과, 일면(710)으로부터 직육면체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출부(713)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출부(713)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결합홈(715)이 형성되고, 결합홈(715)에는 후술되는 도 13의 안착부(9)가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삽입부(73)는 높이조절홈(5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삽입돌부(731)와, 삽입돌부(731)의 일면으로부터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연결봉(733)과, 연결봉(733)의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7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73)는 함체(71)의 관통공(711)으로 연결봉(733)이 관통되어 손잡이(735)는 함체(71)의 외측에, 삽입돌부(731)는 함체(7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75)은 연결봉(733)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함체(71)의 내주면에 타단부가 삽입돌부(731)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높이조절부(7)와 연결부(5)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삽입부(7)의 손잡이(735)를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함체(71)의 개구부를 통해 연결부(5)의 전면부(51)를 삽입시킨 후 특정 높이조절홈(510)에 삽입돌부(731)를 일체로 위치시킨 후 손잡이(735)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돌부(731)가 높이조절홈(510)으로 삽입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높이에 가슴을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2의 안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안착부(9)는 일정면적의 판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슴이 안착되는 가슴안착판(91)과, 가슴안착판(91)의 일면에 결합되어 단부가 결합돌출부(713)의 결합홈(715)으로 삽입되는 삽입부(93)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3에서는 가슴안착판(91)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슴안착판(91)은 다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3에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가슴안착판(91)에는 쿠션, 스펀지 등과 같이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1:가슴받침대 3:고정부 5:연결부
7:높이조절부 9:안착부 31:브라켓
33:브라켓 결합부 71:함체 73:삽입부
75:스프링

Claims (10)

  1. 클립(Clip)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판의 일측변에 탈부착되는 브라켓(Bracket);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슴이 안착되는 가슴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2. 청구항 1에서, 상기 브라켓은
    판재로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단부들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책상판의 일측변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책상판의 일측변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3. 청구항 1에서, 상기 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4. 청구항 3에서, 상기 가슴받침대는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 대접되어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대접부에 연결되어 타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라켓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5. 청구항 4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대향되는 측벽들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측벽들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측벽들을 관통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각도조절 공들;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상기 내측면들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되 상단부로 연결되는 축삽입홈들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측면들에 일체로 관통되는 고정축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봉으로 형성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로 상기 제2 결합부재의 하부가 안착될 때 상기 고정축 삽입공들은 상기 각도조절 공들 중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대접판재와, 상기 대접판재에 연결되는 연결판재와,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재에 연결되며 상기 책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되 단부에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결합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재는 "
    Figure pat00010
    "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슴안착대에 상기 사용자가 안착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책상을 향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7. 청구항 1에서, 상기 가슴받침대는 상기 가슴안착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8. 청구항 7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 홈들;
    상하부가 개구되어 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일단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타단부는 상기 함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연결봉;
    상기 높이조절 홈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봉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어 일단부는 함체의 내면에, 타단부는 상기 삽입돌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개구된 상하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높이조절 홈들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9. 청구항 8에서, 상기 함체의 외면에는 상기 외면으로부터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가슴안착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
    Figure pat00011
    "자 형상의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슴안착대가 상기 브라켓보다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받침대.
KR1020120006204A 2012-01-19 2012-01-19 가슴받침대 KR20130085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04A KR20130085212A (ko) 2012-01-19 2012-01-19 가슴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04A KR20130085212A (ko) 2012-01-19 2012-01-19 가슴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12A true KR20130085212A (ko) 2013-07-29

Family

ID=4899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204A KR20130085212A (ko) 2012-01-19 2012-01-19 가슴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21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8073A (zh) * 2014-04-23 2014-07-09 郑光茂 坐姿调节装置
CN104523029A (zh) * 2015-01-20 2015-04-22 苗炜杰 一种学生用坐姿矫正装置
CN104921465A (zh) * 2015-07-09 2015-09-23 苏州市瑞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坐姿矫正架
CN105054594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坐姿校正器
CN105394943A (zh) * 2015-11-30 2016-03-16 许伟 一种矫正坐姿的防近视课桌
CN105996469A (zh) * 2016-06-02 2016-10-12 李林峰 一种视力保护器
CN108991749A (zh) * 2018-08-16 2018-12-14 曹月阳 一种防佝偻的学生座椅辅助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8073A (zh) * 2014-04-23 2014-07-09 郑光茂 坐姿调节装置
CN104523029A (zh) * 2015-01-20 2015-04-22 苗炜杰 一种学生用坐姿矫正装置
CN104921465A (zh) * 2015-07-09 2015-09-23 苏州市瑞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坐姿矫正架
CN105054594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坐姿校正器
CN105394943A (zh) * 2015-11-30 2016-03-16 许伟 一种矫正坐姿的防近视课桌
CN105996469A (zh) * 2016-06-02 2016-10-12 李林峰 一种视力保护器
CN105996469B (zh) * 2016-06-02 2018-09-14 李林峰 一种视力保护器
CN108991749A (zh) * 2018-08-16 2018-12-14 曹月阳 一种防佝偻的学生座椅辅助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5212A (ko) 가슴받침대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KR20100116152A (ko)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20120101931A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460837Y1 (ko) 책상용 자세 교정대
KR20120018889A (ko) 테이블 상판에 착탈가능한 팔걸이의자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CN112156000A (zh) 符合人体工程学的艾熏腰枕
JP2011120934A (ja) 椅子
JP5928009B2 (ja) 椅子
KR20160148159A (ko) 의자 결합구조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CN213076540U (zh) 符合人体工程学的艾熏腰枕
KR102339291B1 (ko) 의자용 발받침 장치
AU2014101569A4 (en) Backrest with Adjustable Lateral Supports
CN220403544U (zh) 一种靠背连接结构及座椅
KR101420096B1 (ko) 의자용 가슴받이부의 각도 변위구조
KR101375785B1 (ko) 흔들의자 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JP2019025282A (ja) 立ち仕事用補助机
JP7343292B2 (ja) 什器システム及び天板付什器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JP3188611U (ja) 折畳み式腰痛治療具
JP2006141859A (ja) 腰支持部を有す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