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16Y1 -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16Y1
KR200495916Y1 KR2020210000303U KR20210000303U KR200495916Y1 KR 200495916 Y1 KR200495916 Y1 KR 200495916Y1 KR 2020210000303 U KR2020210000303 U KR 2020210000303U KR 20210000303 U KR20210000303 U KR 20210000303U KR 200495916 Y1 KR200495916 Y1 KR 200495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astic support
tray
tray body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914U (ko
Inventor
김운수
Original Assignee
김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수 filed Critical 김운수
Priority to KR2020210000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1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65D71/72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blanks, the articles being inserted in openings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는, 판상의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에 함몰 형성되어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수용부; 및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와 탄성 결합하여 상기 용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는, 펄프 입자가 자연경화되어 마련되는 탄력지지부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여 종래 대비 이송 및 보관 시 용기의 임의 이탈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탄력지지부 및 탄력지지부에 에어범프층이 형성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기 탈장착 과정이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PACKAGING TRAY HAVING AIR BUMP}
본 고안은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및 이송 중에 임의 이탈이 최소화되어 용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패키징 구조를 어떻게 설계 및 제작하느냐에 따라, 제작 공정의 제조 단가를 낮추고 또는 소비자에 이송 과정 중에 제품의 파손이 방지되고 보관이 편리할 수 있다. 더불어, 패키징 재질도 친환경적인 소재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패키징 대상이 되는 제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중 스킨이나 로션 등의 화장품이나, 향수, 방향제 등의 액체류, 그리고 손소독제 등의 방역제품, 참기름이나 식용유 등의 식자재에 이르기까지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높은 액상제품도 포장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액상제품이 수용된 용기는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품의 지지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패키징 대상제품이 트레이에 포장되어 이동이나 취급 중에 제품이 잘 빠진다면 흔들림, 진동에 취약할 수 밖에 없고 일측으로 기울어짐이나 뒤집어질 경우 제품이 빠져 제품의 파손이나 다칠 위험도 있기 때문에 잘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패키징은 단순히 용기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수납 및 수용되는 형태로 마련되다 보니 제품을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며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하여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송 및 보관 중에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키징에 별도의 지지 구성 및 억지끼움 결합구조를 마련하게 되면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용기 장착 시 작업자에 공수가 증가되고 탈착 과정에서 잘 빠지지 않아 소비자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펄프 입자가 자연경화되어 마련되는 탄력지지부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여 종래 대비 이송 및 보관 시 용기의 임의 이탈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탄력지지부 및 탄력지지부에 에어범프층이 형성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기 탈장착 과정이 편리할 수 있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는, 판상의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에 함몰 형성되어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수용부; 및 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와 탄성 결합하여 상기 용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는 상기 용기수용부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 돌기부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내부에 칩 형태의 다발성 에어범프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수용부의 좌굴 현상이 저지되도록, 상기 용기수용부의 저벽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강화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 용기수용부 및 탄력지지부는 펄프재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본체 및 상기 용기수용부는 상기 펄프재가 양쪽에서 압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펄프재가 일측에서만 압착되어 제작되고, 상기 에어범프층은 상기 펄프재가 자연 경화되면서 수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는, 펄프 입자가 자연경화되어 마련되는 탄력지지부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여 종래 대비 이송 및 보관 시 용기의 임의 이탈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탄력지지부 및 탄력지지부에 에어범프층이 형성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기 탈장착 과정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측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A-A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에서 돌기부의 뒤쪽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의 측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A-A라인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300)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에서 돌기부의 뒤쪽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300)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트레이본체(100); 상기 트레이본체(100)에 함몰 형성되어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수용부(200); 및 상기 용기수용부(200)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와 탄성 결합하여 상기 용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본체(1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판상 플레이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100)의 가장자리는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트레이본체(100)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100)에는 다수의 용기수용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수용부(200)는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액체용기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수용부(200)는 두께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수용부(200) 중앙에는 상기 용기수용부(200)의 좌굴 현상이 저지되도록, 상기 용기수용부(200)의 저벽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강화블록(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100), 용기수용부(200) 및 탄력지지부(300)는 펄프재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본체(100) 및 상기 용기수용부(200)는 상기 펄프재가 양쪽에서 압착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압착면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패키징은 단순히 용기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수납 및 수용되는 형태로 마련되다 보니 제품을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며 변화되는 무게중심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하여 이송 및 보관 중에 용기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탄력지지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300)는 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수용부(200)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돌기부(310)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기부(310)에는 내부에 칩 형태의 다발성 에어범프층(3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300)는 펄프재로 제작되며, 상기 돌기부(310)는 상기 펄프재가 일측에서만 압착되어 제작되고, 상기 에어범프층(320)은 상기 펄프재가 자연 경화되면서 수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탄력지지부의 반대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중앙 구역의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함몰 형성되는 압착면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착면의 반대면에는 돌기부(31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에어범프층(320)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범프층은 다발성 발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범프층(320)을 원기둥 형태의 칩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에어범프층(320)은 밀도가 낮아지고 쿠션감이 높아지며 회복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펄프 입자가 자연경화되어 마련되는 탄력지지부(300)가 탄성 복원이 가능해져 용기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대비 이송 및 보관 시 용기의 임의 이탈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탄력지지부(300) 및 탄력지지부(300)에 에어범프층(320)이 형성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기 탈장착 과정이 편리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탄력지지부의 성형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본체(100), 용기수용부(200) 및 탄력지지부(300)는 펄프재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본체(100) 및 상기 용기수용부(200)는 상기 펄프재가 양쪽에서 압착되어 도 6의 좌측과 우측에서의 압착면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탄력지지부(320)도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300)는 펄프재로 제작되며, 상기 돌기부(310)는 상기 펄프재가 일측에서만 압착되어 도 6의 중앙 구역의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함몰 형성되는 압착면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착면의 반대면에는 돌기부(310)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에어범프층(320)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범프층은 다발성 발포 형태로 마련될 상기 에어범프층(320)은 상기 펄프재가 자연 경화되면서 수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범프층(320)은 밀도가 낮아지고 쿠션감이 높아지며 회복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펄프 입자가 자연경화되어 마련되는 탄력지지부(300)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여 종래 대비 이송 및 보관 시 용기의 임의 이탈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탄력지지부(300) 및 탄력지지부(300)에 에어범프층(320)이 형성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기 탈장착 과정이 편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트레이본체 200 : 용기수용부
210 : 함몰강화블록 300 : 탄력지지부
310 : 돌기부 320 : 에어범프층

Claims (6)

  1. 판상의 트레이본체;상기 트레이본체에 함몰 형성되어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수용부; 및상기 용기수용부에 마련되어 용기와 탄성 결합하여 상기 용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탄력지지부는 상기 용기수용부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반구 형상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기부에는 내부에 칩 형태의 다발성 에어범프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수용부의 좌굴 현상이 저지되도록, 상기 용기수용부의 저벽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강화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트레이본체, 용기수용부 및 탄력지지부는 펄프재로 제작되며,상기 트레이본체 및 상기 용기수용부는 상기 펄프재가 양쪽에서 압착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펄프재가 일측에서만 압착되어 제작되고,
    상기 에어범프층은 상기 펄프재가 자연 경화되면서 수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KR2020210000303U 2021-01-29 2021-01-29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KR200495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03U KR200495916Y1 (ko) 2021-01-29 2021-01-29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03U KR200495916Y1 (ko) 2021-01-29 2021-01-29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14U KR20220001914U (ko) 2022-08-05
KR200495916Y1 true KR200495916Y1 (ko) 2022-09-19

Family

ID=8280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03U KR200495916Y1 (ko) 2021-01-29 2021-01-29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16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5Y1 (ko) * 2016-08-22 2018-06-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병입 상품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14U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9777B2 (ja) 梱包用緩衝体および包装体
US3445051A (en) Container
KR200495916Y1 (ko) 탄력지지부가 마련되는 포장제품용 트레이
CN100513271C (zh) 缓冲装置以及端帽缓冲装置
US3910411A (en) Package assembly
KR20070006665A (ko) 저 비용 웨이퍼 박스 개선
JP2016135688A (ja) 収容トレイ及びこれを有する包装容器
JP4311153B2 (ja) 梱包物及びコーナーパッド
KR200391925Y1 (ko) 포장용 완충재
JP3831992B2 (ja) 包装箱
KR20220055701A (ko) 완충 포장 상자
JP3233790U (ja) 集積容器
CN215045355U (zh) 缓冲包装结构以及包括它的缓冲包装套件
JP2020093805A (ja) 梱包装置
JP4612376B2 (ja) 梱包材
JP3104135U (ja) コンテナー
JP2020203700A (ja) 梱包体
JP2020117260A (ja) 集積容器
KR200429361Y1 (ko) 포장용 완충재
JP2002211649A (ja) コンテナー
JP2022089201A (ja) 輸送容器
JP2007210626A (ja) 梱包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梱包材
JP6874958B2 (ja)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の輸送方法
KR200368536Y1 (ko) 포장상자용 완충고정부재
KR100718870B1 (ko) 포장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