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38Y1 -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 Google Patents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38Y1
KR200495638Y1 KR2020210003214U KR20210003214U KR200495638Y1 KR 200495638 Y1 KR200495638 Y1 KR 200495638Y1 KR 2020210003214 U KR2020210003214 U KR 2020210003214U KR 20210003214 U KR20210003214 U KR 20210003214U KR 200495638 Y1 KR200495638 Y1 KR 200495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shaft
lock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민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to KR2020210003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전기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케이스의 내측 바닥의 일측에 세워지고, 상부에 축홀과 일측면에 가이드 장공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 상부에 손잡이 몸통의 중심부에 축홀과 하부 돌출부에 축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축홀에 삽입된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된 노브;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방 바닥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접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탄력 설치된 기둥과 양날개(470)를 이루는 "Y"자 형상을 이루고 지주 부분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양날개의 가운데에 걸림편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된 트립코일;과 트립코일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자화의 의해 진퇴하는 가동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작동플레이트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된 한쌍의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접점의 상부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접점; 상기 바이메탈의 일측 하부에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요크;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날개에 접촉하고,중심부와 일측에 축통과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축통이 삽입되는 작동돌기; 상기 작동돌기의 축통과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에 직각을 이루는 대향판이 구비되어 상기 요크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작동암; 시이소오 형상으로 전방이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중간부에 형성된 축공이 형성된 걸림구; 상기 노부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과 걸림구의 축공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이중연결핀;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봉이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상기 가동접접이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에 의해 눌리면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는 누름블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축에 결합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기어결합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걸림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캠; 상기 캠에 눌리면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톱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특정 온도에 트립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릴레이와 통전 전류를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2 릴레이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An electricity circuit breaker for kitchen use with a function of returning}
본 고안은 복귀기능이 있는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용으로 사용되는 소화기를 포함한 전기기구의 배전기에 있어서, 감지부, 바이메탈과 트립코일을 포함한 작동부, 개폐부, 수동조작부, 모터, 감속기와 캠을 포함한 구성으로, 과전류와 고열을 탐지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조작부의 버튼으로 전기 공급, 중단과 차단된 수동조작부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난방과 음식조리를 위하여 가스를 사용하는 장치가 대세였으나 근래에 들어 가스누출로 인한 폭발사고증가와 가스연소시 다량의 일산화가스 발생으로 조리시 일산화가스 흡입으로 인한 위험이 알려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일부 소비자는 가스레인지 대신에 보다 안전한 전기레인지로 교체하고 있고, 최근에는 전열선으로 가열하는 핫플레이트에 비해 열효율이 40% 정도 높은 자기유도식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가 도입되어 주방용 전기장치를 사용하는 가정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존의 가스를 사용하던 주방에서 주방용 가열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었던 가스탐지기를 포함한 주방용 소화장치들은 기존 것을 그대로 유지하며 가스탐지기 대신에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고열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전기차단기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41427호의 누전차단기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대향되게 형성시킨 개폐부와, 개폐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수동으로 접촉시키는 수동조작부와, 개폐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개폐시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작동플레이트를 구비한 작동부와, 작동부의 작동플레이트를 컨트롤하는 바이메탈, 영상변류기, 트립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부를 구성하고, 감지부의 바이메탈에 요크를 결합하고 노브의 샤프트에 작동아암과 작동돌기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되게 하며, 작동아암의 하측은 요크에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작동돌기는 작동플레이트의 경사턱에 걸리도록 형성하여 누설전류와 과전류시 전류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기술은 누설전류나 과전류가 발생하면 누름블록이 작동플레이트의 걸림턱에서 벗어나 상승하여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떨어져 단전이 되도록 구성되었지만,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는 각가정에 전기가 도입되는 전기분배기에 이미 누설전기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설전기차단기가 중복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기사용을 중단할 때나 사용할 때 수동조작기인 노브(230)를 후퇴 또는 전진시켜야 하므로, 전기차단기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한 실용신안 등록 20-0482272호 주거용 주방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에서는 누설전기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를 생략하고, 온도 감지부와 제어부를 연결하여 특정 온도이상이면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제1, 2 릴레이를 설치하여 전기사용을 중단할 때나 사용할 때 노브를 후퇴 또는 전진시키지 않고도 조작부의 버튼만 간단히 조작하여 전류공급을 끄거나 켤 수 있도록 개선한 바 있다.
주방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는 조작부와 달리 크기가 커 주방의 미관상 노출시키기 거북하고, 사용시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으로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 꺼려하므로, 도 8과 같이, 전기차단기를 주방 환풍기 점검함의 내부에 설치하고, 볼트로 환풍기 점검함의 뚜껑을 밀봉하는 세대가 늘었다. 이와 같은 세대에서는 과전류로 인해 전기차단기의 노브가 후퇴한 경우, 주방기구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풍기 점검함을 개방해야 하므로 그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수용가는 전기 담당자의 긴급방문요청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4142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82272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를 환풍기 점검함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차단기가 과전류 등의 원인으로 노브가 후퇴한 경우에도 수요자가 직접 외부에 노출된 조작부의 조작만으로 후퇴한 노브를 직접 복귀시킬 수 있고, 주방용 가열장치 등에 문제로 과전류가 흐르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인식하여 전기를 미리 차단하는 안전성이 높은 주방용 전기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방용 가열장치의 화재시 작동되는 소화기(110), 주방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20), 전기레인지 과열 및 과전류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기차단기 작동상태 표시 및 버튼조작을 위한 조작부(150)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로 이루어진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100)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의 내측 바닥의 일측에 세워지고, 상부에 축홀(205)과 일측면에 가이드 장공(207)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200); 상부에 손잡이 몸통의 중심부에 축홀(205)과 하부 돌출부에 축공(235)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축홀(205)에 삽입된 샤프트(270)에 의해 힌지결합된 노브(2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후방 바닥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접점(3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전방에 탄력 설치된 기둥과 양날개(470)를 이루는 "Y"자 형상을 이루고 지주 부분에 걸림턱(350)이 형성되며, 양날개(470)의 가운데에 걸림편(360)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330);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전방에 설치된 트립코일(400);과 트립코일(400)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360)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자화의 의해 진퇴하는 가동핀(41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작동플레이트(330)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된 한쌍의 바이메탈(450); 상기 바이메탈(45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접점(300)의 상부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접점(310); 상기 바이메탈(450)의 일측 하부에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요크(460);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날개(470)에 접촉하고,중심부와 일측에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70)에 축통(510)이 삽입되는 작동돌기(500); 상기 작동돌기(500)의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560)과 고정판(560)에 직각을 이루는 대향판(570)이 구비되어 상기 요크(460)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작동암(550); 시이소오 형상으로 전방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턱(350)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중간부에 형성된 축공(235)이 형성된 걸림구(600); 상기 노부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235)과 걸림구(600)의 축공(235)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이중연결핀(610);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봉이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상기 가동접접이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600)에 의해 눌리면 가동접점(310)을 고정접점(300)에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접점(30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누름블록(6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650); 상기 모터(650)축에 결합된 웜기어(660); 상기 웜기어(660)에 기어결합되는 감속기(700); 상기 감속기(700)의 출력축(770)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230)의 걸림부(2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캠(800); 상기 캠에 눌리면 신호를 제어부(9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톱스위치(810); 및 상기 제어부(900)로부터 특정 온도에 트립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릴레이(840)와 통전 전류를 제어부(900)를 통해 제어하는 제2 릴레이(85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100)는 환풍기 점검함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차단기가 과전류 등으로 노브가 후퇴한 경우에도 외부에 노출된 조작부를 수요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후퇴한 노브를 복귀시킬 수 있고, 주방용 가열장치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과전류가 흐르거나 주방용 가열장치에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인식하여 전기를 즉시 차단하여 주방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차단기 작동부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트립코일과 작동플레이트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감속기와 노브의 결합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전기차단기를 환풍기 점검함에 넣고 밀봉한 주방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전기차단기(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하부 케이스의 바닥에 설치된 트립코일(400)이 있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고정접점(300)이 있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차단기 작동부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트립코일과 작동플레이트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감속기와 노브의 결합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차단기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전기차단기를 환풍기 점검함에 넣고 밀봉한 주방 사진이다.
본원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열기기나 기타 주방용 장치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전류를 차단하여 추가적인 화재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고안은 주방용 전기차단기는 크기가 커 주방의 미관상 노출시키는 것이 부담이 되고, 사용시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으로 일반 소비자들이 전기차단기를 사용하는데 거부감이 있어 전기차단기를 주방의 환풍기 점검함 등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더라도 조작부(150)의 버튼 조작만으로도 안전하게 주방용 전기차단기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차단기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커버의 일측 중간 부분에 지지플레이트(200)가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200)는 철판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중간부가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 축홀(205)이 형성되고 중간부의 일측에 가이드 장공(207)이 형성된 형태이다.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손잡이와 중심부에 축홀(205), 하부 돌출부에 축공(235)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200)의 축홀(205)에 삽입되는 노브(230)는 샤프트(27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00)에 결합되며, 노브(230)가 삽입되는 샤프트(270)에는 비틀림 스프링(240)이 삽입되어 손잡이가 90도가 넘어가면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후방 바닥에는 막대형상으로 한쌍의 고정접점(300)이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200)의 일정 거리 전방에 기둥과 상부의 양날개(470)로 구성되어 대략 "Y"자형상의 작동플레이트(330)가 바닥에 전후방으로 탄성이 유지되게 설치된다. 작동플레이트(330)의 기둥 후방에 걸림턱(350)이 형성되고, 날개(470) 사이에는 후술하는 트립코일(400)의 가동핀(410)을 걸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결림편이 부착되고 양측 날개(47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이메탈(450)과 접촉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볼트나 피스가 결합될 수 있다.
작동플레이트(330)의 일정 거리 전방에는 트립코일(400)과 가동핀(410)이 설치된다. 트립코일(400)은 전자석 코일로 전방에 세워진 판이나 막대에 부착되어 수평으로 세워지고 코일의 가운데에는 철심막대인 가동편이 삽입되어 그 후단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편(360)에 걸려 자성에 따라 작동플레이트(33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작동플레이트(330) 사이에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플레이트(330) 방향으로 휘어 작동플레이트(330)를 밀도록 구성된 한쌍의 바이메탈(45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바이메탈(45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접점(300)의 상부측으로 금속판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어 한쌍의 가동접점(310)이 구성된다. 상기 바이메탈(450)의 일측 하부에 과전류가 발생하면 자화되는 "ㄷ"자 형상의 요크(46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날개(470)에 접촉하고,중심부와 일측에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형성된 작동돌기(500)가 지지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샤프트(27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작동돌기(500)의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560)과 고정판(560)에 직각을 이루는 대향판(570)이 구비된 작동암(550)에 결합되며 상기 요크(460)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요크(460)가 자화되면 요크(460)에 순간적으로 당겨져 작동암(550)이 샤프트(27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작동암(550)에 고정된 작동돌기(500)가 작동플레이트(330)를 밀도록 구성된다.
호형태의 판 형상으로 양측면이 절곡된 돌출판에 축공(235)이 형성된 시이소오 형상의 걸림구(600)가 지지플레이트(20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207) 부분에서 그 전방측은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턱(350)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상기 걸림구(600)의 축공(235)과 노브(230)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235)에 "ㄷ"자 형상의 이중연결핀(610)이 삽입되어 노브(230)의 작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걸림구(600)를 상하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200)와 고정접접 사이, 즉 걸림구(600)의 후단 하부에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프링이 끼워진 봉이 결합된 누름블록(630)이 양측슬릿에 가동접점(310)이 끼워진 상태로 바닥에 탄성있게 설치되어 걸림구(600)에 의해 눌리면 가동접점(310)을 고정접점(300)에 접촉시킨다.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턱(350)에 걸린 걸림구(600)의 앞부분이 걸림턱(350)에서 벗어나면 걸림구(600)의 뒷부분이 들리고, 누름블록(630)이 탄성으로 튀어올라 가동접점(310)이 고정접점(300)과 분리되어 전류가 끊기게 되며, 이때 이중연결편에 연결된 노브(230)가 후퇴한다.
작동플레이트(330)는 제어부(900)에 연결된 트립코일(400)에 흐르는 전류가 강해져 트립코일(400)에 결합된 가동편이 당겨지거나,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450)이 앞으로 휘어 작동플레이트(330)를 밀게되고, 또는 요크(460)가 자화되어 작동암(550)이 순간적으로 요크(460)에 부착되어 이에 연결된 작동돌기(500)가 회전하면서 작동플레이트(330)를 밀어 걸림구(600)가 걸림턱(350)에서 벗어나고, 이에따라 누름블록(630)이 튀어올라 단전되도록 구성되고, 노브(230)를 전진시키면 이중연결편이 걸림구(600)를 누르면서 누름블록(630)과 가동접점(310)이 하강하여 통전이되고, 동시에 걸림구(600)의 앞부분이 들려 걸림턱(35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노브(230)의 작동을 위해 지지플레이트(200)의 측면에는 모터(650)가 설치되고 모터(650)의 회전축에는 웜기어(660)가 결합되며, 모터(650)의 빠르고 약한 동력을 느리고 강한 동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웜기어(660)에 감속기(700)가 결합된다.
감속기(700)는 납작한 상자형태의 내부에 반경이 큰 외측기어에 반경이 작은 내측기어가 부착된 형태의 내외측기어가 복수로 결합되어 감속을 하게 된다. 제1 내외측기어(710)는 반경이 큰 외측기어가 상자의 외측에 돌출되어 모터(650)축의 웜기어(660)에 치합되어 돌아가고, 상자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기어에 제2 내외측기어(720)의 외측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며, 제2 내외측기어(720)의 내측기어에는 반경이 큰 외측기어와 출력축(770)이 결합된 캠기어(740)가 치합되고 출력축(770)은 노브(230)가 있는 곳까지 연장되어 캠(800)이 결합된다.
회전속도가 높은 모터(650)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제2 내외측기어(720)의 내측기어에 제3 내외측기어(730)의 외측기어가 치합되고, 제3 내외측기어(730)의 내측기어에 캠기어(740)의 외측기어가 결합될 수도 있다.
노브(230)에는 캠(800)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캠(800)이 회전하면서 걸림부(250)를 걸어 아래로 내리면 노브(230)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고정접점(300)과 가동접점(310)이 접촉하는 곳까지 회전하고, 캠은 걸림부(250)를 벗어나 아래로 계속 돌다가 바닥에 설치된 스톱스위치(810)의 버튼을 누르게 되고, 버튼의 신호가 제어부(900)에 수신되면 제어부(900)는 모터(650)의 전원을 차단하여 캠은 항상 1회전만 하도록 구성된다.
모터(650)의 측면에는 제1 릴레이(840)와 제2 릴레이(85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830)이 설치된다. 제1 릴레이(840)는 온도 감지부(120)에 일정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900)의 설정에 의해 전기차단기의 제1 릴레이(840)를 통해 트립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립코일(400)이 자화되어 가동핀(410)을 당기면 작동플레이트(330)가 밀려 걸림구(600)가 걸림턱(350)에서 벗어나 누름블록(630)이 상승하고 가동접점(310)이 고정접점(300)에서 떨어져 전원이 차단된다.
제2 릴레이(850)는 스위칭 기능을 하는 릴레이로 고정접점(300)과 가동접점(310)의 접촉으로 통전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조전원차단기능을 수행하며, 인쇄회로기판(830)에 내장된 회로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900)를 통하여 조작부(150)에 전원공급유무를 표시하고, 인쇄회로기판(830) 설치된 전원표시등을 설치하여 전기차단기에 전원공급상태와 전기차단기의 정상작동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제1, 2 릴레이의 회로는 공지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일 실시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82272호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환풍기 점검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가 과전류 등으로 노브(230)가 후퇴한 경우에도 외부에 노출된 조작부(150)를 수요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후퇴한 노브(230)를 복귀시킬 수 있고, 주방용 가열장치 등에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주방용 가열장치에 화재가 발생하면 즉시 전기를 차단하여 주방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100 : 전기차단기 110 : 소화기
120 : 온도 감지부 150 : 조작부
200 : 지지플레이트 205 : 축홀
207 : 가이드 장공 230 : 노브
235 : 축공 250 : 걸림부
270 : 샤프트 300 : 고정접점
310 : 가동접점 330 : 작동플레이트
350 : 걸림턱 360 : 걸림편
400 : 트립코일 410 : 가동핀
450 : 바이메탈 460 : 요크
500 : 작동돌기 510 : 축통
520 : 고정돌기 550 : 작동암
560 : 고정판 570 : 대향판
600 : 걸림구 610 : 이중연결핀
630 : 누름블록 650 : 모터
660 : 웜기어 700 : 감속기
710 : 제1 내외측기어 720 : 제2 내외측기어
730 : 제3 내외측기어 740 ; 캠기어
770 : 출력축 800 : 캠
810 : 스톱스위치 830 : 인쇄회로기판
840 : 제1 릴레이 850 : 제2 릴레이
900 : 제어부

Claims (4)

  1. 주방용 가열장치의 화재시 작동되는 소화기(110), 주방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20), 전기레인지 과열 및 과전류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기차단기 작동상태 표시 및 버튼조작을 위한 조작부(150)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로 이루어진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의 내측 바닥의 일측에 세워지고, 상부에 축홀(205)과 일측면에 가이드 장공(207)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200);
    상부에 손잡이 몸통의 중심부에 축홀(205)과 하부 돌출부에 축공(235)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축홀(205)에 삽입된 샤프트(270)에 의해 힌지결합된 노브(2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후방 바닥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접점(3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전방에 탄력 설치된 기둥과 양날개(470)를 이루는 "Y"자 형상을 이루고 지주 부분에 걸림턱(350)이 형성되며, 양날개(470)의 가운데에 걸림편(360)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330);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전방에 설치된 트립코일(400);과 트립코일(400)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360)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자화의 의해 진퇴하는 가동핀(41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작동플레이트(330)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된 한쌍의 바이메탈(450);
    상기 바이메탈(45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접점(300)의 상부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접점(310);
    상기 바이메탈(450)의 일측 하부에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요크(460);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날개(470)에 접촉하고,중심부와 일측에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70)에 축통(510)이 삽입되는 작동돌기(500);
    상기 작동돌기(500)의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560)과 고정판(560)에 직각을 이루는 대향판(570)이 구비되어 상기 요크(460)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작동암(550);
    시이소오 형상으로 전방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턱(350)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중간부에 형성된 축공(235)이 형성된 걸림구(600);
    상기 노브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235)과 걸림구(600)의 축공(235)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이중연결핀(610);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봉이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상기 가동접접이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600)에 의해 눌리면 가동접점(310)을 고정접점(300)에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접점(30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누름블록(6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650);
    상기 모터(650)축에 결합된 웜기어(660);
    상기 웜기어(660)에 기어결합되는 감속기(700);
    상기 감속기(700)의 출력축(770)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230)의 걸림부(2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캠(800);
    상기 캠(800)에 눌리면 신호를 제어부(9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톱스위치(810); 및
    상기 제어부(900)로부터 특정 온도에 트립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릴레이(840)와 통전 전류를 제어부(900)를 통해 제어하는 제2 릴레이(85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속기(700)의 양측판에 설치되는 감속기(700)에는 상기 웜기어(660)에 외측기어가 맞물려 회전하고, 측면에 내측기어가 결합된 제1 내외측기어(710);
    상기 제1 내외측기어(710)의 내측기어에 맞물리는 외측기어와 측면에 내측기어가 결합된 제2 내외측기어(720); 및
    상기 제2 내외측기어(720)의 내측기어에 맞물리는 외측기어와 출력축(770)에 연결된 캠기어(7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2. 삭제
  3. 주방용 가열장치의 화재시 작동되는 소화기(110), 주방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20), 전기레인지 과열 및 과전류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기차단기 작동상태 표시 및 버튼조작을 위한 조작부(150)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로 이루어진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의 내측 바닥의 일측에 세워지고, 상부에 축홀(205)과 일측면에 가이드 장공(207)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200);
    상부에 손잡이 몸통의 중심부에 축홀(205)과 하부 돌출부에 축공(235)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축홀(205)에 삽입된 샤프트(270)에 의해 힌지결합된 노브(2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후방 바닥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접점(3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전방에 탄력 설치된 기둥과 양날개(470)를 이루는 "Y"자 형상을 이루고 지주 부분에 걸림턱(350)이 형성되며, 양날개(470)의 가운데에 걸림편(360)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330);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전방에 설치된 트립코일(400);과 트립코일(400)의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360)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자화의 의해 진퇴하는 가동핀(41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작동플레이트(330)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된 한쌍의 바이메탈(450);
    상기 바이메탈(45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접점(300)의 상부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접점(310);
    상기 바이메탈(450)의 일측 하부에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요크(460);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날개(470)에 접촉하고,중심부와 일측에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70)에 축통(510)이 삽입되는 작동돌기(500);
    상기 작동돌기(500)의 축통(510)과 고정돌기(5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560)과 고정판(560)에 직각을 이루는 대향판(570)이 구비되어 상기 요크(460)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작동암(550);
    시이소오 형상으로 전방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의 걸림턱(350)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중간부에 형성된 축공(235)이 형성된 걸림구(600);
    상기 노브의 하부에 형성된 축공(235)과 걸림구(600)의 축공(235)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이중연결핀(610);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봉이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상기 가동접접이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600)에 의해 눌리면 가동접점(310)을 고정접점(300)에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접점(300)과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누름블록(63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터(650);
    상기 모터(650)축에 결합된 웜기어(660);
    상기 웜기어(660)에 기어결합되는 감속기(700);
    상기 감속기(700)의 출력축(770)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230)의 걸림부(2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캠(800);
    상기 캠(800)에 눌리면 신호를 제어부(9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톱스위치(810); 및
    상기 제어부(900)로부터 특정 온도에 트립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릴레이(840)와 통전 전류를 제어부(900)를 통해 제어하는 제2 릴레이(85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속기(700)의 양측판에 설치되는 감속기(700)에는 상기 웜기어(660)에 외측기어가 맞물려 회전하고, 측면에 내측기어가 결합된 제1 내외측기어(710);
    상기 제1 내외측기어(710)의 내측기어에 맞물리는 외측기어와 측면에 내측기어가 결합된 제2 내외측기어(720);
    상기 제2 내외측기어(720)의 내측기어에 맞물리는 외측기어와 측면에 내측기어가 결합된 제3 내외측기어(730); 및
    상기 제3 내외측기어(730)의 내측기어에 맞물리는 외측기어와 출력축(770)에 연결된 캠기어(7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50)에는 전원 ON-OFF 버튼, 프로그램 리셋버튼, 경보정지버튼 및 전기차단기 복귀버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KR2020210003214U 2021-10-25 2021-10-25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KR200495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14U KR200495638Y1 (ko) 2021-10-25 2021-10-25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14U KR200495638Y1 (ko) 2021-10-25 2021-10-25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38Y1 true KR200495638Y1 (ko) 2022-07-14

Family

ID=8239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14U KR200495638Y1 (ko) 2021-10-25 2021-10-25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3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20110101610A (ko) * 2010-03-09 2011-09-16 임재훈 자동재폐로 누전차단기의 조작 레버 구동 장치
KR20140062370A (ko) * 2012-11-14 2014-05-23 (주)전원테크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전원차단장치
KR200482272Y1 (ko) 2016-03-15 2017-01-17 주식회사 하이텍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전기차단기
KR20200001179A (ko) * 2018-06-27 2020-01-06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자동복구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KR20110101610A (ko) * 2010-03-09 2011-09-16 임재훈 자동재폐로 누전차단기의 조작 레버 구동 장치
KR20140062370A (ko) * 2012-11-14 2014-05-23 (주)전원테크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전원차단장치
KR200482272Y1 (ko) 2016-03-15 2017-01-17 주식회사 하이텍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전기차단기
KR20200001179A (ko) * 2018-06-27 2020-01-06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자동복구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802B2 (ja) ボウルの存在及びボウルの温度を検出する電気調理機器に対する検出器
JP2009531827A (ja) 異常電流の遮断及びリセット機能を有する遮断器
US8895904B1 (en) Emergency shutoff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95638Y1 (ko) 복귀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자동소화기의 전기차단기
KR200482272Y1 (ko)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전기차단기
JP7023261B2 (ja) 遠隔操作可能な地絡回路遮断器
US2961941A (en) Grease extracting attachment for ventilators for kitchen ranges
US9214798B1 (en) Range infinite switch with integral GFCI subsystem
KR19980079889A (ko) 누전 차단기
CN210532465U (zh) 一种智能炒菜机燃气自动点火熄保系统
JPH08298053A (ja) 転倒時断電装置
CN203824105U (zh) 热水器安全保护开关装置
CN204970843U (zh) 一种改进温控装置的电热水壶
JP2021086835A (ja) 遠隔試験能力を有する地絡回路遮断器
CN201838530U (zh) 低压断路器脱扣器
US20170263095A1 (en) Appliances Built-in Safety Features
RU26562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тюг
KR102575739B1 (ko) 전선 열감지 기능이 있는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CN109148232B (zh) 断路器
CN202796793U (zh) 一种脱扣器中的传动机构
US2076968A (en) Burner control system
JPS6330066Y2 (ko)
CN2060194U (zh) 燃气灶意外熄火保安装置
US5790009A (en) Thermostat reset with additional electrical switch
US2734564A (en) Gas-burne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