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07Y1 - 독서용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독서용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07Y1
KR200495307Y1 KR2020200002931U KR20200002931U KR200495307Y1 KR 200495307 Y1 KR200495307 Y1 KR 200495307Y1 KR 2020200002931 U KR2020200002931 U KR 2020200002931U KR 20200002931 U KR20200002931 U KR 20200002931U KR 200495307 Y1 KR200495307 Y1 KR 200495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head part
height
bars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25U (ko
Inventor
고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밈
Priority to KR2020200002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07Y1/ko
Priority to PCT/KR2021/006347 priority patent/WO2022035022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적인 재질인 목재를 이용하여 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높낮이로 독서할 수 있고, 책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이 안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면에 세워지는 스탠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헐겁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탠드부와 헐겁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일단부에 틸팅 각도 조절 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가 1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에 높낮이 조절 나사가 설치되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서용 스탠드 장치{Stand apparatus for reading desk}
본 고안은 독서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재질인 목재를 이용하여 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높낮이로 독서할 수 있고, 책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독서대나 책 거치대들은 각종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기가 용이한 인공적인 부품들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제작하기는 쉬우나, 반면에 금속 및 플라스틱이 갖고 있는 차갑고 비자연적인 느낌 때문에 정신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독서를 할 수 없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기존의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이용한 독서대나 책 거치대는 사용자에게 포름알데히드 등의 환경호르몬이나 기타 금속 산화물로 인한 독성 물질이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자라나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물론이고, 어른들까지도 건강에 좋지 않았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독서개나 책 거치대를 제작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이러한 목재를 이용한 독서대나 책 거치대는 비교적 직선의 단순한 막대 형상으로만 제작되는 목재의 특성상, 책의 높낮이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려워서 사용이 불편하고, 목재의 내구성이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의 사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신적 및 정서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고, 각종 독성 물질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목재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 등의 천연 치유 성분으로 인하여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는 방식이나 T자 막대 구조나 경사 막대나 조절 나사 등의 다양한 막대 고정 구조 및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책을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책의 각도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 기능을 통해 의자나 침대 등 다양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두 손이 자유로워 보다 편안하게 독서나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는, 책이 안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면에 세워지는 스탠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헐겁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탠드부와 헐겁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일단부에 틸팅 각도 조절 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가 1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에 높낮이 조절 나사가 설치되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가 2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링크부의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의 나사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하강 안내홈이 형성되고, 전방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책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부 탭이 형성되는 수직 부재; 및 상기 책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부재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책의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가 설치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설치면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의 1개의 좌우 막대에 전후 방향의 2개의 전후 막대가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발부; 및 2개의 상기 전후 막대 사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경사 막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발부로부터 세워지고, 1개의 하부 막대와 1개의 상부 막대 사이에, 상기 경사 막대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2개의 수직 막대가 설치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링크부는, 상기 다리부의 1개의 상기 상부 막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의 링크 막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연결 링크부는, 전체적으로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는 친환경 목재 재질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목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신적 및 정서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고, 각종 독성 물질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목재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 등의 천연 치유 성분으로 인하여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는 방식이나 T자 막대 구조나 경사 막대나 조절 나사 등의 다양한 막대 고정 구조 및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책을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책의 각도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 기능을 통해 의자나 침대 등 다양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두 손이 자유로워 보다 편안하게 독서나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패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를 나타내는 전방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는, 크게 헤드부(10)와, 스탠드부(20) 및 연결 링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헤드부(10)는 책(1)이 안착되는 구조체로서, 상기 책(1)을 지지하는 동시에, 안착된 상기 책(1)의 책장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홀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헤드부(10)의 높낮이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링크부(30)의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의 나사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하강 안내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책(1)의 크기(높이)에 따라 전방 레일(11b)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책(1)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부 탭(T)이 형성되는 수직 부재(11) 및 상기 책(1)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부재(11)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책(1)의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P1)과 탄성 회동핀(P2)으로 이루어지는 홀더(H)가 설치되고,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중앙홈이 형성되는 수평 부재(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책(1)은 밑면이 상기 수평 부재(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홀더(H)에 의해 책장의 전면이 상기 고정핀(P1)에 의해 고정되고, 책장의 후면이 상기 탄성 회동핀(P2)에 의해 상기 고정핀(P1) 방향으로 가압 및 밀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면이 상기 수직 부재(11)의 상기 상부 탭(T)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부재(12)의 상기 중앙홈과 상기 상부 탭(T)에 있는 홈 사이에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을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책(1)은 물론이고,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패드나,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 각종 스마트 기기들을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부(20)는, 상기 헤드부(10)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면에 세워지는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부(20)는, 상기 설치면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의 1개의 좌우 막대(21-1)에 전후 방향의 2개의 전후 막대(21-2)가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발부(21) 및 2개의 상기 전후 막대(21-2) 사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경사 막대(2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발부(21)로부터 세워지고, 1개의 하부 막대(22-1)와 1개의 상부 막대(22-2) 사이에, 상기 경사 막대(23)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2개의 수직 막대(22-3)가 설치되는 다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부(2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10)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고, T자 형상의 상기 발부(21)를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22)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세워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 막대(23)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10)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부(30)는,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10)와 헐겁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탠드부(20)와 헐겁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1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일단부에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에 높낮이 조절 나사(N2)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부(30)는, 상기 다리부(22)의 1개의 상기 상부 막대(22-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의 링크 막대(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0), 상기 스탠드부(20) 및 상기 연결 링크부(30)는, 전체적으로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는 편백나무, 향나무, 잣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전나무, 삼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호두나무, 상수리나무, 비자나무, 주목, 대나무, 구상나무, 미선나무, 버드나무, 정향나무, 금강목, 닥나무, 박달나무, 물푸레나무, 밤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당단풍나무, 대추나무, 벚나무, 돌배나무, 먹감나무, 물오리나무, 은행나무 등 각종 친환경 목재 재질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독서용 스탠드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에 상기 책(1)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N2)를 풀러서 상기 연결 링크부(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헤드부(10)의 높낮이를 조정한 다음, 상기 높낮이 조절 나사(N2)를 조여서 상기 헤드부(10)의 높낮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를 풀러서 상기 헤드부(10)의 틸팅 각도를 조정한 다음,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를 조여서 상기 헤드부(10)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를 조이기 전에, 상기 헤드부(10)의 상기 승하강 안내홈(11a)을 따라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N1)의 나사축을 이동시켜서 상기 수직 부재(11)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부(10)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목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신적 및 정서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고, 각종 독성 물질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목재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 등의 천연 치유 성분으로 인하여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는 방식이나 T자 막대 구조나 경사 막대나 조절 나사 등의 다양한 막대 고정 구조 및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책을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책의 각도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 기능을 통해 의자나 침대 등 다양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두 손이 자유로워 보다 편안하게 독서나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책
10: 헤드부
11: 수직 부재
12: 수평 부재
11a: 승하강 안내홈
11b: 전방 레일
T: 상부 탭
H: 홀더
P1: 고정핀
P2: 탄성 회동핀
20: 스탠드부
21: 발부
21-1: 좌우 막대
21-2: 전후 막대
22: 다리부
22-1: 하부 막대
22-2: 상부 막대
22-3: 수직 막대
23: 경사 막대
30: 연결 링크부
N1: 틸팅 각도 조절 나사
N2: 높낮이 조절 나사
31: 링크 막대
100: 독서용 스탠드 장치

Claims (5)

  1. 책이 안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면에 세워지는 스탠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헐겁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탠드부와 헐겁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일단부에 틸팅 각도 조절 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가 1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에 높낮이 조절 나사가 설치되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높낮이가 2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링크부의 상기 틸팅 각도 조절 나사의 나사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하강 안내홈이 형성되고, 전방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책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부 탭이 형성되는 수직 부재; 및
    상기 책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부재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책의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과 탄성 회동핀으로 이루어지는 홀더가 설치되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중앙홈이 형성되는 수평 부재;
    를 포함하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설치면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의 1개의 좌우 막대에 전후 방향의 2개의 전후 막대가 T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발부; 및
    2개의 상기 전후 막대 사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경사 막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발부로부터 세워지고, 1개의 하부 막대와 1개의 상부 막대 사이에, 상기 경사 막대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2개의 수직 막대가 설치되는 다리부;
    를 포함하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부는,
    상기 다리부의 1개의 상기 상부 막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의 링크 막대들로 이루어지는, 독서용 스탠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연결 링크부는, 전체적으로 2개의 막대 사이에 1개의 막대를 삽입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는 친환경 목재 재질인, 독서용 스탠드 장치.
KR2020200002931U 2020-08-11 2020-08-11 독서용 스탠드 장치 KR200495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31U KR200495307Y1 (ko) 2020-08-11 2020-08-11 독서용 스탠드 장치
PCT/KR2021/006347 WO2022035022A1 (ko) 2020-08-11 2021-05-21 독서용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31U KR200495307Y1 (ko) 2020-08-11 2020-08-11 독서용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25U KR20220000425U (ko) 2022-02-18
KR200495307Y1 true KR200495307Y1 (ko) 2022-04-25

Family

ID=8024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31U KR200495307Y1 (ko) 2020-08-11 2020-08-11 독서용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5307Y1 (ko)
WO (1) WO20220350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401Y1 (ko) 2000-03-14 2001-01-15 박창용 액자독서대
US6764055B1 (en) 2003-01-23 2004-07-20 David S Lee Book holding device with multi-positional support arma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580A (ja) * 1998-11-09 2000-05-23 Torao Kobayashi 仰臥用書見装置
KR19990035024U (ko) * 1999-05-27 1999-09-06 이남주 책버팀대장치
KR20090012783U (ko) * 2008-06-11 2009-12-16 권민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401Y1 (ko) 2000-03-14 2001-01-15 박창용 액자독서대
US6764055B1 (en) 2003-01-23 2004-07-20 David S Lee Book holding device with multi-positional support arm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022A1 (ko) 2022-02-17
KR20220000425U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9378B2 (en) Adjustable table
US20110219988A1 (en) Adjustable table and method
ATE508665T1 (de) Hochstuhl für kinder mit einfacher verstellung
CN204015713U (zh) 一种可整体倾斜调节的电动床
KR200495307Y1 (ko) 독서용 스탠드 장치
ES2192476B2 (es) Sillon reclinable.
CN214594971U (zh) 一种教学管理用分体式书桌的调节机构
CN200938942Y (zh) 可调式课桌
US3141701A (en) Foot supports
CN209932087U (zh) 一种美术教学用绘画座椅
CN203506111U (zh) 可拆卸侧桌
CN208446883U (zh) 一种桌面倾斜度调节装置及由其构成的桌子
KR20120002824U (ko)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 팔걸이
CN112315241A (zh) 一种多功能椅子
KR200334197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KR200451782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N219249514U (zh) 一种可调式组合课桌椅
CN201854946U (zh) 移动脚架
KR20230000967U (ko) 독서대
CN213428923U (zh) 一种可调节角度的书桌
CN209825618U (zh) 安装有可折叠台灯的桌子
TWM290393U (en) Table with adjustable pitch-angle of secondary table board
CN219848094U (zh) 一种台球桌的扶手调节机构
CN203041210U (zh) 一种床桌
CN209825985U (zh) 一种可以旋转调节角度的儿童餐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