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11Y1 - 멀티 무빙 수납장 - Google Patents

멀티 무빙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11Y1
KR200495211Y1 KR2020200000852U KR20200000852U KR200495211Y1 KR 200495211 Y1 KR200495211 Y1 KR 200495211Y1 KR 2020200000852 U KR2020200000852 U KR 2020200000852U KR 20200000852 U KR20200000852 U KR 20200000852U KR 200495211 Y1 KR200495211 Y1 KR 200495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rage
unit
open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96U (ko
Inventor
김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200000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1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무빙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102)가 형성된 본체(10);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된 여닫이문(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인-아웃되는 제1수납부(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과 함께 회동하도록 여닫이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수납부(40);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는 제2링크부(60); 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닫이문(20)의 개방에 따라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깊숙이 수납되는 제1수납부(30)가 인출됨과 동시에 제2수납부(40)가 여닫이문(20)과 함께 회동하면서 다수의 제1수납함(302)과 제2수납함(402)이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인출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의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무빙 수납장{multi-moving cabinet}
본 고안은 멀티 무빙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개방에 따라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깊숙이 수납되는 제1수납부가 인출됨과 동시에 제2수납부가 여닫이문과 함께 회동하면서 다수의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이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인출되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다양한 물건의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케 한 멀티 무빙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다양한 물건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을 가진 수납용 가구를 말하는데, 서랍 형태로 열리는 수납공간을 가진 서랍장과는 달리, 도어와 오픈형 수납공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물건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납장은 일반 가정의 거실, 다용도실, 욕실, 주방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생활용품을 보관, 정리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수납장은 설치장소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다량의 물건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기본 형태는 육면체 형태로 되며,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고, 전면에는 수납공간의 개폐를 위하여 여닫이문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수납장은 깊이가 깊은 규격으로 제작된 경우에, 수납공간 내부 깊숙한 곳에 물품이 수납되면, 여닫이문을 열어 내부 수납공간을 개방하더라도, 내부 깊숙한 곳에 수납된 물건을 확인하거나, 배출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깊숙한 수납공간에 물건을 반복적으로 재수납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서랍장과 같이 수납장 내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수납장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내면에는 수납장의 깊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선반이 복층으로 구성된 수납대를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밀면 수납대가 레일을 따라 수납장 안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수납장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고, 도어를 당기면 수납대가 레일을 따라 수납장 밖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수납장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으로써 노출된 수납대에 다양한 물건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장의 깊이가 깊게 형성되더라도, 수납대가 수납장 외부로 완전 노출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공간이 깊게 형성된 수납장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케 슬라이딩 수납장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슬라이딩 수납장은, 수납장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 경우에, 수납장의 깊이에 대응하는 수납대의 길이도 길어지기 때문에, 수납대를 수납장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키기 위한 수납대의 인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수납장 앞으로 수납대를 완전히 찾기 위한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납대의 인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수납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었을 때, 수납장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기 때문에 수납장이 앞으로 넘어질 우려가 커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납장을 설치장소에 견고하게 고정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설치 작업의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장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야 함으로써 제조원가 인상의 요인이 되는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812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여닫이문의 개방에 따라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깊숙이 수납되는 제1수납부가 인출됨과 동시에 제2수납부가 여닫이문과 함께 회동하면서 다수의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이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인출되게 한 멀티 무빙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길이 조절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다양한 깊이 및 크기로 제작되는 수납함에 대응 가능케 한 멀티 무빙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은,
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102)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된 여닫이문(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인-아웃되는 제1수납부(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과 함께 회동하도록 여닫이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수납부(40);
상기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
상기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는 제2링크부(6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납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수단(301a)이 구비된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301);
후면에 제1거치수단(302a)을 구비하여 제1프레임(3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
상기 제1프레임(301)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수단(301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수단(301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서 가로 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거치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딩수단(303)은,
제1프레임(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더(303a);
상기 본체(10) 내부의 바닥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더(303a)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 외측과 상하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레일(30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납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2지지수단(401a)이 구비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단부 내측에 힌지부(401b)가 형성되어, 본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401);
후면에 제2거치수단(402a)을 구비하여 제2프레임(4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
상기 여닫이문(20)의 개폐에 따라 제2프레임(401)이 회동되게 하는 안내수단(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수단(403)은,
상기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여닫이문(20) 내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하로 관통된 안내장공(403b)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재(403a);
상기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장공(403b)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장공(403b) 내부에 투입되는 안내봉(403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부(50)는,
상기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501);
상기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502);
상기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501)와 제2연결부재(502) 간에 피벗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5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501)는,
제1연결부재(50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프레임(301)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1프레임(30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위치조절부(501a);
상기 제1프레임(3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볼트(501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502)는,
제2연결부재(502)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2프레임(401)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프레임(40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2위치조절부(502a);
상기 제2프레임(4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2고정볼트(502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50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암 형태로 되되, 인너암이 삽입되는 아웃터암의 단부에는 인너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503)는,
제1링크부재(503)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되되, 제1, 2연결부재(501, 502)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1, 2연결부재(501, 502)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종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링크조절부(503a);
상기 제1링크조절부(503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1, 2연결부재(501, 502)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링크볼트(503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링크부(60)는,
상기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연결부재(601);
상기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301)의 슬라이더(303a)와 제3연결부재(601) 간에 피벗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6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링크부재(60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암 형태로 되되, 인너암이 삽입되는 아웃터암의 단부에는 인너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링크부재(602)는,
제2링크부재(60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되되, 제3연결부재(601)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3연결부재(60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종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2링크조절부(602a);
상기 제2링크조절부(602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3연결부재(6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2링크볼트(602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납부(30)는 제1프레임(301)이 인-아웃되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301)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지지수단(7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지지수단(70)은,
상기 제1프레임(30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조롤러(701);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보조롤러(70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7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은 조명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80)는,
상기 제1프레임(301)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명수단(801);
상기 가이드레일(303b)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03a)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명수단(801)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8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라이딩식 제1수납부와 회동식 제2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여닫이문의 개방에 따라 본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깊숙이 수납되는 제1수납부가 인출됨과 동시에 제2수납부가 여닫이문과 함께 회동하면서 다수의 제1수납함과 제2수납함이 구분되게 인출됨으로써 깊게 형성되는 수납장 내부의 수납공간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장 본체의 깊이와 관계없이 여닫이문의 개방에 따라 제1수납부가 슬라이딩 인출됨으로써 제1수납부의 완전 노출을 위한 수납장 전방의 공간 확보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닫이문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제2수납부가 여닫이문과 함께 회동하며 본체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본체 내부에는 제1수납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수납장의 개방 과정에서 수납장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개방된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수납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링크부 설치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링크부 설치 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 평면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열린 상태 평면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개방된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수납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수납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링크부 설치 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링크부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 평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문이 열린 상태 평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은 본체(10), 여닫이문(20), 제1수납부(30), 제2수납부(40), 제1링크부(50), 제2링크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102)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체(10)는 좌우측패널, 상하측패널 및 후측패널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된다.
상기 여닫이문(20)은 본체(10)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10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여닫이문(20)의 일측 단부가 본체(10)의 좌우측패널 중 어느 일측의 패널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여닫이문(20)의 크기는 본체(10) 정면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와 같거나 일측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수납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인-아웃되도록 제1프레임(301), 제1수납함(302), 슬라이딩수단(3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301)은 견고한 구조적 강도 유지를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되되 사각파이프를 이용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프레임(3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수단(301a)이 구비된다.
일 예로서 제1지지수단(301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지지수단(301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서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거치망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납함(302)은, 제1프레임(301)의 제1지지수단(301a)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제1거치수단(302a)이 구비된다.
일 예로서 제1거치수단(302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 지지장공이 형성된 경우에, 지지장공에 투입되는 직각 형태의 거치돌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거치수단(302a)은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 거치망이 형성된 경우에, 거치망에 걸 수 있는 대략 직각 형태의 거치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프레임(301)의 전면에 다수의 제1수납함(302)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수납함(302) 간의 상하 설치 간격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수단(303)은, 제1프레임(301)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더(303a), 가이드레일(303b)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303a)는 제1프레임(301)이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인-아웃되도록 제1프레임(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프레임(301)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하여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303b)은 슬라이더(303a)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본체(10)의 하측패널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슬라이더(303a)의 정밀하고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위하여 슬라이더(303a)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 외측과 상하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슬라이더(303a)와 가이드레일(303b)로 구성되는 슬라이딩수단(303)은 제1프레임(301)의 가로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수납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의 내측에서 여닫이문(20)과 함께 회동하도록 제2프레임(401), 제2수납함(402), 안내수단(403)을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401)은 상하단부 내측에 힌지부(401b)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패널의 내면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2프레임(401)은 견고한 구조적 강도 유지를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되되 사각파이프를 이용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금속재로 된 제2프레임(401)은 본체(10)에 경첩으로 개폐 가능케 설치되는 여닫이문(20)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강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본체(10)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2수납부(40)를 구성하는 제2수납함(402)에 다량의 물건이 수납되더라도, 그에 따른 하중부하를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수납함(402)에 수납되는 물건들에 의한 하중부하가 여닫이문(20)에 전가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10)에 경첩으로 설치된 여닫이문(20)의 처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프레임(4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2지지수단(401a)이 구비된다.
일 예로서 제2지지수단(401a)은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지지수단(401a)은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서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거치망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함(402)은, 제2프레임(401)의 제2지지수단(401a)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제2거치수단(402a)이 구비된다.
일 예로서 제2거치수단(402a)은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 지지장공이 형성된 경우에, 지지장공에 투입되는 직각 형태의 거치돌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거치수단(402a)은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 거치망이 형성된 경우에, 거치망에 걸 수 있는 대략 직각 형태의 거치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프레임(401)의 전면에 다수의 제2수납함(402)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수납함(402) 간의 상하 설치 간격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수단(403)은 여닫이문(20)의 개폐에 따라 제2프레임(401)이 회동되도록 안내부재(403a), 안내봉(403c)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403a)는 안내봉(403c)을 안내하기 위하여 안내장공(403b)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 내측면에 설치된다.
즉, 안내부재(403a)는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여닫이문(20) 내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안내장공(403b)은 안내부재(403a)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안내부재(40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봉(403c)은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장공(403b)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장공(403b) 내부에 투입된다.
따라서,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로 돌출 형성된 안내봉(403c)이 안내장공(403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여닫이문(20)은 경첩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반면, 제2프레임(401)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경첩의 회전축과 힌지축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상하부로 돌출 형성된 안내봉(403c)이 안내장공(403b)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여닫이문(20)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케 됨과 동시에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이 여닫이문(2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제2수납함(402)에 다양한 물건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50)는,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501), 제2연결부재(502), 제1링크부재(5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501)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501)는 제1프레임(30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즉, 제1연결부재(501)는 위치 조절을 위하여 제1위치조절부(501a), 제1고정볼트(501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조절부(501a)는 제1연결부재(50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프레임(301)이 제1위치조절부(501a)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1프레임(30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볼트(501b)는 제1위치조절부(501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1프레임(3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3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1수납함(302)에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로 인해 제1수납함(302)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해야 하고, 그로 인해 제1연결부재(501)의 위치 조절이 불가피할 때, 제1연결부재(501)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502)는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연결부재(502)는 제2프레임(40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즉, 제2연결부재(502)는 위치 조절을 위하여 제2위치조절부(502a), 제2고정볼트(50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조절부(502a)는 제2연결부재(502)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2프레임(401)이 제2위치조절부(502a)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프레임(40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볼트(502b)는 제2위치조절부(502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4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2프레임(4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2수납함(402)에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로 인해 제2수납함(402)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해야 하고, 그로 인해 제2연결부재(502)의 위치 조절이 불가피할 때, 제2연결부재(50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503)는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501)와 제2연결부재(502) 간에 피벗 결합된다.
따라서, 제1링크부재(503)는 제1연결부재(501)와 제2연결부재(502) 간에 설치되되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제2프레임(401)의 회전력을 제1프레임(30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제1링크부재(50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암 형태로 되되, 인너암이 삽입되는 아웃터암의 단부에는 인너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을 풀고 아웃터암에서 인너암을 원하는 길이만큼 배출한 후, 고정수단을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제1링크부재(503)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텔레스코픽암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카메라 삼각대용 다리, 등산지팡이 등 텔레스코픽암 구조를 채택한 기술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여러 방식은 주지된바,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링크부재(503)는 양단부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제1링크조절부(503a), 제1링크볼트(50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조절부(503a)는 제1링크부재(503)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되되, 제1, 2연결부재(501, 502)가 제1링크조절부(503a)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1, 2연결부재(501, 502)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종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볼트(503b)는 제1링크조절부(503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1, 2연결부재(501, 502)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1링크부재(503)는 길이 조절 및 제1링크부재(503)의 양단부 위치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의 깊이와 그에 따른 제1프레임(301)의 인-아웃 거리 및 여닫이문(20)의 개폐 각도에 따라 제1링크부재(503)의 길이 및 양단부 결합 위치 조절을 통해 다양한 깊이 및 크기로 제작되는 수납함에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납함의 생산성 향상 및 설치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된다.
상기 제2링크부(60)는,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3연결부재(601), 제2링크부재(602)를 포함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601)는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3연결부재(601)는 제2프레임(40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2링크부재(602)는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301)의 슬라이더(303a)와 제3연결부재(601) 간에 피벗 결합된다.
따라서, 제2링크부재(602)는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제2프레임(401)의 회전력을 제1프레임(30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제2링크부재(60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암 형태로 되되, 인너암이 삽입되는 아웃터암의 단부에는 인너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을 풀고 아웃터암에서 인너암을 원하는 길이만큼 배출한 후, 고정수단을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제2링크부재(602)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링크부재(602)는 일단부에 위치 조절을 위하여 제2링크조절부(602a), 제2링크볼트(60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조절부(602a)는 제2링크부재(60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되되, 제3연결부재(601)가 제2링크조절부(602a)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3연결부재(60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종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볼트(602b)는 제2링크조절부(602a)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3연결부재(6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제2링크부재(602)는 길이 조절 및 제2링크부재(602)의 일단부 위치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의 깊이와 그에 따른 제1프레임(301)의 인-아웃 거리 및 여닫이문(20)의 개폐 각도에 따라 제2링크부재(602)의 길이 및 양단부 결합 위치 조절을 통해 다양한 깊이 및 크기로 제작되는 수납함에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납함의 생산성 향상 및 설치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은 본체(10)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본체(10)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꺼내기 위하여 여닫이문(20)을 당겨서 개방하면, 여닫이문(20)과 함께 제2프레임(401)이 회동함에 따라 제1프레임(301)과 제2프레임(401) 간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50) 및 제2링크부(60)에 의해 제1프레임(301)이 본체(10)의 개방부(102)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여닫이문(20)을 개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1프레임(301)이 가이드레일(303b)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제1프레임(301)에 설치된 제1수납함(302)도 본체(10)의 개방부(102)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수납함(302)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거나, 제1수납함(302)에 수납된 다양한 물건들의 확인,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여닫이문(20)이 개방됨에 따라 여닫이문(20)과 함께 회전하는 제2프레임(401)에도 제2수납함(40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수납함(302)과 제2수납함(402)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렬됨에 따라 다양한 물건의 수납에 따른 편의성 및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물건의 수납 후, 여닫이문(20)을 밀어서 닫으면, 여닫이문(20)과 함께 제2프레임(401)이 회동함에 따라 제1프레임(301)과 제2프레임(401) 간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50) 및 제2링크부(60)에 의해 제1프레임(301)이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여닫이문(20)을 개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1프레임(301)이 가이드레일(303b)을 따라 본체(10) 내부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제1프레임(301)에 설치된 제1수납함(302)도 본체(10)의 수납공간 깊은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여닫이문(20)과 함께 회전하는 제2프레임(401)에 설치된 제2수납함(402)이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제1수납함(302)과 제2수납함(402) 간의 간섭이 방지되면서 제1수납부(30) 및 제2수납부(40)가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원만하게 정열 배치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수납부(30)는 제1프레임(301)이 인-아웃되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301)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지지수단(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수단(70)은 보조롤러(701), 보조가이드(70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롤러(701)는 제1프레임(30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보조가이드(702)는 본체(10)의 좌우측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널 내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보조롤러(70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롤러(701)가 보조가이드(70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제1프레임(301)이 본체(10)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거나,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서 인-아웃되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301)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제1프레임(301)의 안정적인 위치 및 자세 유지가 가능케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멀티 무빙 수납장은 조명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80)는 조명수단(801), 센서부(802)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수단(801)은 제1프레임(30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802)는 가이드레일(303b)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03a)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명수단(801)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프레임(301)이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개방부(102) 쪽으로 아웃되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303a)에 구비된 롤러 중 어느 하나가 센서부(802)에 의해 감지되면 센서부(802)는 조명수단(801)의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조명수단(801) 제어부에 제공한다.
반면, 제1프레임(301)이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303a)에 구비된 롤러를 감지하는 센서부(802)와, 센서부(802)에 감지되는 롤러가 멀어지면 센서부(802)는 조명수단(801)의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조명수단(801) 제어부에 제공한다.
한편, 센서부(802)의 의한 롤러의 감지는, 제1프레임(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303a)가 최대한 아웃된 상태에서 감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본체 20: 여닫이문
30: 제1수납부 301: 제1프레임
301a: 제1지지수단 302: 제1수납함
302a: 제1거치수단 303: 슬라이딩수단
303a: 슬라이더 303b: 가이드레일
40: 제2수납부 401: 제2프레임
401a: 제2지지수단 401b: 힌지부
402: 제2수납함 402a: 제2거치수단
403: 안내수단 403a: 안내부재
403b: 안내장공 403c: 안내봉
50: 제1링크부 501: 제1연결부재
501a: 제1위치조절부 501b: 제1고정볼트
502: 제2연결부재 502a: 제2위치조절부
502b: 제2고정볼트 503: 제1링크부재
503a: 제1링크조절부 503b: 제1링크볼트
60: 제2링크부 601: 제3연결부재
602: 제2링크부재 602a: 제2링크조절부
602b: 제2링크볼트 70: 보조지지수단
701: 보조롤러 702: 보조가이드
80: 조명부 801: 조명수단
802: 센서부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부(102)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된 여닫이문(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에서 인-아웃되는 제1수납부(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구비하여 여닫이문(20)과 함께 회동하도록 여닫이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수납부(40);
    상기 여닫이문(20)을 여닫는 과정에서 본체(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
    상기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을 인-아웃시키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는 제2링크부(6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50)는,
    상기 제1수납부(30)의 제1프레임(3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501);
    상기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502);
    상기 여닫이문(20)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501)와 제2연결부재(502) 간에 피벗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503);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재(501)는,
    제1연결부재(50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프레임(301)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1프레임(30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위치조절부(501a);
    상기 제1프레임(301)의 외측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고정볼트(501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무빙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수단(301a)이 구비된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301);
    후면에 제1거치수단(302a)을 구비하여 제1프레임(3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납함(302);
    상기 제1프레임(301)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게 하는 슬라이딩수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무빙 수납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을 거치하기 위하여 제2지지수단(401a)이 구비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단부 내측에 힌지부(401b)가 형성되어, 본체(10)의 내측면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401);
    후면에 제2거치수단(402a)을 구비하여 제2프레임(40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납함(402);
    상기 여닫이문(20)의 개폐에 따라 제2프레임(401)이 회동되게 하는 안내수단(4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무빙 수납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60)는,
    상기 제2수납부(40)의 제2프레임(401)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연결부재(601);
    상기 여닫이문(20)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401)의 회전운동을 제1프레임(30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링크부(50)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301)의 슬라이더(303a)와 제3연결부재(601) 간에 피벗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6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무빙 수납장.

KR2020200000852U 2020-03-12 2020-03-12 멀티 무빙 수납장 KR200495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52U KR200495211Y1 (ko) 2020-03-12 2020-03-12 멀티 무빙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52U KR200495211Y1 (ko) 2020-03-12 2020-03-12 멀티 무빙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96U KR20210002096U (ko) 2021-09-27
KR200495211Y1 true KR200495211Y1 (ko) 2022-03-30

Family

ID=7791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52U KR200495211Y1 (ko) 2020-03-12 2020-03-12 멀티 무빙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1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100727021B1 (ko)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슬라이딩식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13U (ko) * 1993-08-27 1995-03-21 분전함 덮개의 결합구조
KR19990013293U (ko) * 1997-09-25 1999-04-15 전재권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0162812Y1 (ko) 1997-10-24 1999-12-15 전재권 다용도 수납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100727021B1 (ko)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슬라이딩식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96U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4980A1 (en) Hinge Bracket For a Pocket Door
US3822925A (en) Utility-door storage container
US20160000221A1 (en) Cabinet
US7959241B2 (en) Pullout structure for cabinet
US4836624A (en) Anti-tip device
US20090127986A1 (en) Furniture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US20070278914A1 (en) Closet pull-out organizer cabinet
KR200495211Y1 (ko) 멀티 무빙 수납장
KR101642464B1 (ko) 이동유닛을 구비한 옷장
RU23037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лки для духовок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130000299U (ko) 사물함 경첩
KR20100087547A (ko) 신발장
KR200492565Y1 (ko) 가구 결합형 옷장
US10405656B1 (en) Drawer sliding mechanism
US20110031854A1 (en) Medicine/cosmetic cabinet with pivoting mirror assembly
US20180209206A1 (en) Trackless Free-Swinging Bi-fold Door
KR101440091B1 (ko) 회전 개폐형 서랍장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CN214803327U (zh) 一种带内置挂衣杆架的衣柜
CN215076697U (zh) 一种家用式多功能床头柜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CN214483794U (zh) 一种防撞击的不锈钢衣柜
KR20140005997U (ko) 조립식 옷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