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93U -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93U
KR19990013293U KR2019970026549U KR19970026549U KR19990013293U KR 19990013293 U KR19990013293 U KR 19990013293U KR 2019970026549 U KR2019970026549 U KR 2019970026549U KR 19970026549 U KR19970026549 U KR 19970026549U KR 19990013293 U KR19990013293 U KR 199900132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rame
link
corner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전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2019970026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293U/ko
Publication of KR199900132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93U/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를 설치시 "ㄱ"가 형상으로 설치하게 될 경우 코너로 설치되는 싱크대의 구석진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부 등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코너에 설치된 싱크대내의 수납공간의 그릇 등을 꺼내거나 수납하기 위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벽 코너쪽으로 설치되는 싱크대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주방도구들을 손쉽게 꺼내거나 수납하기 위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싱크대내의 수납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본 고안은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를 설치시 "ㄱ"자 형상으로 설치하게 될 경우 코너로 설치되는 싱크대의 구석진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부 등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코너에 설치된 싱크대내의 수납공간의 그릇 등을 꺼내거나 수납하기 위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를 가정의 주방이나 식장 등의 주방에 설치할 경우 대부분 내벽을 따라 설치하고 있으며, 벽의 코너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설치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상기의 경우 싱크대를 코너에 붙여 설치를 한 후 다른 싱크대를 먼저 설치된 싱크대의 일면과 접하도록 하면서 타벽으로 설치되어지게 되는바, 이와 같이 설치되어지기 위해서 코너에 붙여 설치되는 싱크대를 설계 또는 제작할 때 다른 싱크대와 접하는 면은 도어가 필요치 않게 되므로 일면에만 도어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싱크대는 직사각형의 형상이고 일면만 도어가 장착되고 타면은 다른 싱크대와 접하게 되어 "ㄱ"자 형상으로 설치가 되는바, 사용자는 이와 같이 코너에 이용되는 싱크대에 각종 주방도구들을 수납하기 위해서 일면의 도어를 개방한후 몸을 구부려 팔이나 몸의 상체를 상기 싱크대 안쪽으로 넣은 후 상기 주방도구들을 수납할 수 밖에 없어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싱크대 안쪽에 수납된 주방도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싱크대 도어쪽의 수납된 주방도구들을 모두 꺼낸 후 안쪽의 사용하고자 하는 주방도구를 꺼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벽 코너쪽으로 설치되는 싱크대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주방도구들을 손쉽게 꺼내거나 수납하기 위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싱크대내의 수납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10) 인출시 싱크대(100) 내측벽으로 장착된 측면가이드(20)를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는 제1선반부(21)를 안착할 수 있도록 돌기(22)가 복수개 형성된 측방후레임(23)의 일단이 상기 도어(10) 내측의 연결브라켓트(24)와 연결 고정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측방후레임(23)이 상기 측면가이드(20)에서 인출된후 상기 측방후레임(23)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측방후레임(2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28)이 내설되며, 하부로 후방후레임의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링크를 연결할 수 있는 플레이트(25)가 고정되는 인출지지대(50)와;
싱크대(100) 내측 후측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후측벽면가이드(30)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제2선반부(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기(22)가 복수개 형성된 후방후레임(32)과;
상기 측방후레임(23) 타단이 완전인출되면 상기 인출지지대(50)에 형성된 축(28)을 중심으로 도어(10) 및 측방후레임(23)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연동하여 상기 후방후레임(32)이 좌우로 이송가능하도록 링크(40)를 형성하는 것;
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의 (가)(나)(다)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순서도이고,
도 3은 플레이트와 3링크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1링크 및 후방후레임의 결합 및 슬라이딩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20 : 측면가이드
21 : 제1선반부22 : 돌기
23 : 측방후레임24 : 연결브라켓트
25 : 플레이트28 : 축
30 : 후측벽면가이드31 : 제2선반부
32 : 후방후레임40 : 링크
41 : 제1링크42 : 제2링크
43 : 제3링크44 : 홈
45 : 바닥브라켓트46 : 고정축
50 : 인출지지대60 : 브라켓트
70 : 힌지
상기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는 제1선반부(21)가 장착되는 측방후레임(23)이 싱크대(100)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측방후레임(23)의 인출이 완료된 후 인출지지대(50)에 형성된 축(28)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싱크대(100) 내측 후측벽면에 장착되는 후측벽면 가이드(30)를 따라 좌우 이송이 가능한 제2선반부(31)가 장착되는 후방후레임(32)과, 상기 측방후레임(23)의 슬라이딩 및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후방후레임(32)이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링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방후레임(23)의 일단은 도어(10) 후면에 고정 장착된 연결브라켓트(24)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으로 상기 측방후레임(23)이 측면가이드(20)에서 완전 인출된 후 회전가능하도록 축(28)이 내설되는바, 상기 축(28)은 인출지지대(50) 일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인출지지대(50) 하단부와 측방후레임(23) 하단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측방후레임(23)이 싱크대(100)로부터 완전 인출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측방후레임(23) 하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플레이트(25)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25) 저부에서 돌출되는 로울러 축(26)에 로울러(27)가 형성되어 3링크(43) 홈(4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싱크대(100) 내측벽에 장착된 측면 가이드(20)는 상하로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측면 가이드(20)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측방후레임(23)으로부터 돌설된 로울러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측방후레임(23) 양측으로 돌설되는 돌기(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22)에 제1선반부(21)가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후방후레임(32)은 싱크대(100)내 후측벽면 상하로 고정 장착된 후측벽면가이드(30)를 따라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측벽면가이드(30)에 가이드홈(3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33)속에 삽입된 후방 후레임(32)으로부터 돌설된 로울러(34)가 상기 가이드홈(33)에 삽입되어 지는바, 상기 로울러(34)의 이송에 의해 후방후레임(32)이 좌우로 이송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후방후레임(32) 양측도 측방후레임(23)과 같이 돌기(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22)에 제2선반부(3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링크장치는 3절 링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1링크(41) 일단은 후방후레임(32) 하단부에 고정된 브라켓트(60)에 장착하여 상기 후방후레임(32) 이송시 같이 이송되도록 하며, 3링크(43)는 "凹"형상의 홈(44)을 이루면서 상기 플레이트(25) 일부위 하단에서 돌설된 로울러축(26) 끝단부에 형성된 로울러(34) 함께 상기 홈(44)에 삽입되어 상기 로울러축(26)이 이송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1링크(41) 타단과 3링크(43)를 연결하는 2링크(42)를 형성한다. 상기 2링크(42)의 일단은 1링크(41)의 타단과 힌지(70)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2링크(42) 타단은 3링크(42)와 고정 연결되도록 고정축(46)이 형성되는바, 상기 고정축(46)은 바닥브라켓트(45)에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바닥브라켓트(45)는 싱크대 바닥 표면과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싱크대(100)안에 주방도구 또는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싱크대(100) 전면에 장착된 도어(1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10) 내측으로 고정되는 연결브라켓트(24)에 일단이 장착된 후방후레임(23)이 연동되어 상기 싱크대(100) 내측벽면에 장착된 측면가이드(20)를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어진다.
상기 측방후레임(23)이 측면가이드(20)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축(28)에 의해 상기 측방후레임(23)이 회전을 하는바, 상기 측방후레임(23)과 고정된 플레이트(25)가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방후레임(23)에 복수개 형성된 돌기(22)에 장착된 제1선반부(21)도 함께 연동되어 인출이 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제1선반부(21)가 사용자 앞쪽으로 돌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28)에 의해 측방후레임(23)이 회전을 하면서 동시에 인출지지대(50)도 함께 회동을 하게 되고 상기 인출지지대(5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플레이트(25)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25) 저부 일부에 고정된 로울러축(26)이 체결된 3링크의 홈(44)을 따라 이송을 하게 되면서 3링크(43) 타단과 고정 연결된 2링크(42)를 싱크대(100) 바닥면에 고정된 바닥브라켓트(45)에 장설되어 있는 고정축(4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2링크(42)의 타단은 전진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2링크(42)의 타단이 상기 고정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진하게 되면 상기 2링크(42) 타단에 힌지(70) 결합되어 있던 1링크(41)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방후레임(23)쪽으로 전진하게 되면서 상기 1링크(41)타단에 고정된 후방후레임(32)이 후측벽면가이드(30)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측벽면가이드(30)를 따라 이송되는 후방후레임(32)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22)에는 제2선반부(31)가 장착되어 있게 되는바, 싱크대(100)구석에 위치한 수납물이 제2선반부(31)에 수납되어 있어 함께 달려 나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싱크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인 주부등이 구석진 장소에 싱크대를 설치하여 상기 싱크대의 한쪽면을 사용하지 못하고 일면에만 도어를 장착하여 사용되어지는 싱크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싱크대의 도어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와 함께 밖으로 인출되는 제1선반부와 상기 싱크대 구석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제2선반부도 구석진 곳에서 도어 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물을 쉽게 확인하여 꺼내 쓸수 있거나 또는 손쉽게 수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도어(10) 인출시 싱크대(100) 내측벽으로 장착된 측면가이드(20)를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는 제1선반부(21)를 안착할 수 있도록 돌기(22)가 복수개 형성된 측방후레임(23)의 일단이 상기 도어(10) 내측의 연결브라켓트(24)와 연결 고정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측방후레임(23)이 상기 측면가이드(20)에서 인출된후 상기 측방후레임(23)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측방후레임(2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이 내설되며, 하부로 후방후레임의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링크를 연결할 수 있는 플레이트(25)가 고정되는 인출지지대(50)와;
    싱크대(100) 내측 후측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후측벽면가이드(30)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는 제2선반부(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기(22)가 복수개 형성된 후방후레임(32)과;
    상기 측방후레임(23) 타단이 완전인출되면 상기 인출지지대(50)에 형성된 축(25)을 중심으로 도어(10) 및 측방후레임(23)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와 연동하여 상기 후방후레임(32)이 좌우로 이송가능하도록 링크(40)를 형성하는 것;
    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40)는 3절 링크로 구성하고 1링크(41)는 후방후레임(32) 하단부의 브라켓트(60)에 고정되도록 하며 3링크(43)는 측방후레임(23)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1링크(41)와 3링크(43)를 연결하는 2링크 일단은 1링크(41)와 힌지 결합을 함과 동시에 타단은 3링크(43)에 고정되어 측방후레임(23) 인출시 후방후레임(32)이 연동하여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19970026549U 1997-09-25 1997-09-25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199900132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49U KR19990013293U (ko) 1997-09-25 1997-09-25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49U KR19990013293U (ko) 1997-09-25 1997-09-25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93U true KR19990013293U (ko) 1999-04-15

Family

ID=6968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549U KR19990013293U (ko) 1997-09-25 1997-09-25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29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92Y1 (ko) * 2002-12-24 2003-03-29 명진실업 주식회사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210002096U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봉적 멀티 무빙 수납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92Y1 (ko) * 2002-12-24 2003-03-29 명진실업 주식회사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210002096U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봉적 멀티 무빙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4004B (zh) 缩进式洗碗机机架系统
EP2826403B1 (en)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EP0582642B1 (en) Cabinet equipment for a kitchen cabinet or the like
RU23037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лки для духовок
KR19990013293U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CN217547555U (zh) 一种可单独拉出的转角拉篮及其角柜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200288889Y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KR200214589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JP4029849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KR200148789Y1 (ko) 보조조리대장치
KR200277002Y1 (ko) 다용도 진열대
JP2828957B2 (ja) コーナー用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445234Y1 (ko) 코너 싱크대용 선반 인출구조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KR200309192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장치
JPH0970323A (ja) 引き出し式補助カウンター
KR20040038084A (ko) 싱크대 수납랙의 수납구조물
JP3485286B2 (ja) 流し台下収納具
JP2727501B2 (ja) 収納ユニット
US2471508A (en) Kitchen cabinet with table forming front
KR200285235Y1 (ko)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