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12Y1 - 다용도 수납장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12Y1
KR200162812Y1 KR2019970030168U KR19970030168U KR200162812Y1 KR 200162812 Y1 KR200162812 Y1 KR 200162812Y1 KR 2019970030168 U KR2019970030168 U KR 2019970030168U KR 19970030168 U KR19970030168 U KR 19970030168U KR 200162812 Y1 KR200162812 Y1 KR 200162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member
case
straight rail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11U (ko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전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2019970030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Vertically-oriented drawers, i.e. drawers where the height exceeds the wid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4Adjustment of position of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또는 사물실 때로는 주방등에 설치하여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납대에 복층의 선반이 지지되어 도어 개방시 상기 수납대가 케이스에서 인출 될수 있는 구조로 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도어 인출시 함께 상하 직선형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인출되어지는 수납대를 상기 도어 배면부의 일측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납대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레일이 상측으로는 측판에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하판 상면 일측단에 고정되도록 하여 선반의 물품 수납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같은 케이스 용적에 비하여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 할 수 있도록 물품 수납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수납장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또는 사물실 때로는 주방등에 설치하여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납대에 복층의 선반이 지지되어 도어 개방시 상기 수납대가 케이스에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 등지에서 사용되는 물품등이 많아짐에 따라 일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물품을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납장의 사용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등에서는 옷가지나 식기 등을 수납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수납장을 이용하고 있으며, 사무실등에서는 주로 케비넷류의 수납장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5는 종래 수납장중 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의 수납장을 보인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많은 양의 물품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개폐가능한 조립내부에 종류와 크기별로 보관하여야 하는바,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케이스내(10)에 복층으로 각종 물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선반(50)이 수납대(40) 측방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60)에 지지되면서 상기 수납대(40)가레일(20)(30)에 지지되고, 상기 수납대(40)는 도어(70)에 고정 결합되어 물품을 수납 또는 사용할 때 상기 도어(7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개방 시킨 후, 상기 도어(70)와 함께 인출되는 수납대(40)의 돌기(60)에 지지되어 있는 복층의 선반(50)에 필요로 하는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또는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생산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일반적인 수납장의 경우, 주로 도어(70) 배면의 중앙에 수납대(40)가 브라켓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하판 및 양측판과 배면판으로 구성된 케이스(10)의 상판 저면과 하판 상면에 형성된 레일(20)(30)에 상기 수납대(40)의 상측, 하측 지지대가 결합되어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70)를 인출시키면 수납대(40)가 함께 인출되어 물품의 수납, 또는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양측방으로 사용자가 이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물품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수납대(40)가 중앙으로 형성되고 선반(50)이 상기 수납대(40) 양측으로 형성된 돌기(60)에 걸려지게 되는바, 상기 물품을 수납 또는사용하고자 할 경우 양측방으로 물품등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선반(50)의 크기가 줄어들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협소해져 많은 양의 물품 등을 수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도어 인출시 함께 상하 직선형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인출되어지는 수납대를 상기 도어 배면부의 일측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납대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레일이 상측으로는 측판에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하판 상면 일측단에 고정되도록 하여 선반의 물품 수납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같은 케이스 용적에 비하여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 할 수 있도록 물품 수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판(110), 하판(120), 측판(130), 배면판(140)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용적을 갖으며 전면의 도어(200)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하판(120) 상면의 일측단으로 측판(130)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측 직선형 레일(330)과;
상기 케이스(100)의 측판(130) 상측으로 고정되는 브라켓트(310)에 상기 하측 직선형 레일(330)과 마주보도록 끼워지는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하측 직선형 레일(330)에 상단과 하단 지지부재(410)(420)가 각각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 양단을 결합시키는 전방지지부재(430)와 후방지지부재(440)가 결합되면서 상기 전방지지부재(430) 및 후방지지부재(440)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된 돌기(450)에 다수의 선반(500)이 복층으로 배치되는 수납대(40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인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지지부재(430)와 도어(200)의 배면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선반(500)의 일단만이 상기 수납대(400)의 돌기(440)에 걸려지도록 하여 종래의 같은 용적의 케이스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식기기를 수납 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100) 측판(130) 상측에 양단의 일부를 절곡시켜 틈(340)을 형성한 브라켓트(310)를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트(310)에 끼워져 지지되는 'ㄱ' 형상의 걸림편(320)이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의 양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걸림편(320)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310)양단에 형성된 틈(340)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한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 2도는 상측 직선형 레일의 결합 단면도이며,
제 3도는 전방지지부재와 도어간의 결합단면도이고,
제 4도는 상단지지부재와 도어간의 결합을 보인 단면도이며,
제 5도는 종래 수납장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측판
200 : 도어 300 : 상측 직선형 레일
310 : 브라켓트 320 : 걸림편
330 : 하측 직선형 레일 400 : 수납대
410 : 상단지지부재 420 : 하단지지부재
430 : 전방지지부재 440 : 후방지지부재
450 : 돌기 500 : 선반
600 : 틈새 조절구 610, 720 : 결합공
620 : 볼트 630, 710 : 나사
660 : 장공 700 : 도어 고정구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측 직선형 레일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전방지지부재와 도어간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상단지지부재와 도어간의 결합을 보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일반 사무실등에 사용되어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 수납장으로써,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양측판(130)과 배면판(140) 및 도어(200)를 제작한 후 이들을 결합시킨 후 상기 도어(200)가 인출될 경우 도어(20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대(40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대(400)가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이송수단인 레일(300)(33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300)(330)은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하측 직선형 레일(33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상측 직선형 레일(300)은 측판(130)의 상측 일부에 브라켓트(310)를 대어 고정시킨 후 상기 브라켓트(310)에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의 상단으로 용접 등에 의해 지지되는 'ㄱ' 형상의 걸림편(320)의 일단을 끼워 탈착이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트(310)의 양단은 상기 측판(130)과 밀착되어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지지되면서, 틈(340)이 형성되도록 상기 양단의 일부를 절곡시켜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의 상단 양단에 고정형성된 걸림편(320)이 상기 양측단부의 틈(340)에 결합되어 탈거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여 수납대(400)의 상단지지부재(410)와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이 결합될 수 있어 이송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하측 직선형 레일(330)은 하판(120) 상면에 설치되는바, 상기 하측 직선형 레일(3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마주보도록 하면서 하판(120)의 측단으로 치우쳐져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 설치되는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하측 직선형 레일(330)의 설치 위치는사용되어지는 설치장소의 구조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케이스(100)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판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하측 진선형 레일(330)의 설치 위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측판과 밀착되면서 설치되는바, 이렇게 설치된 각각의 레일(300)(330)과 결합되는 수납대(400) 상단과 하단 지지부재(410)(420) 및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지지부재(430)(440)가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전방지지부재(430)는 도어(200) 배면에 편심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지지 되어진다.
이때 수납대(400)를 이루는 각각의 지지부재는 중공형상의 'ㅁ'자 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생산비용의 절감과 무게의 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전방지지부재와 도어간의 견고한 장착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방지지부재(430)와 접하도록 도어(200) 배면부를 밀착 시킨후 상기 전방지지부재(430)를 감싸면서 도어(200) 배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도어 고정구(700)를 대고 상기 도어 고정구(700) 양측에 형성된 적당한 부위의 결합공(720)에 나사(710)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도어(200)와 상기 전방지지부재(430)가 결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납대(400)의 전방지지부재(430)와 후방지지부재(440)의 측단부에 돌기(450)가 복층으로 복수개 돌설되어 있어 상기 돌기(450)에 선반(500)이 걸려 지도록 하여 도어(200) 인출시 상기 선반(500)이 함께 인출되어 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반(500)은 일정 굵기의 철사를 굴곡시키고 용접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 여러개의 선반(500)을 수납대(400)의 돌기(450)에 복층으로 걸어 놓음으로써 물품 등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어(200)와 맞닿는 케이스(100) 면과 밀접한 결합이 요구되는바, 상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이 'ㅁ'자 형상의 중공형상을 갖는 상단지지부재(410) 끝단부(도어의 배면과 접하는 부분)에 다수의 결합공(610)을 형성한 삽입편(640)과 일체로 되면서 수직 형성된 직선바(650)로 구성된 틈새 조절구(600)의 상기 삽입편(640)이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편(640)에 복수개 형성된결합공(610)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상단지지부재(410) 끝단부에 장공(660)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660)과 상기 삽입편(640)의 결합공(610)을 볼트(620) 등의 결합부재로 관통한 후 가결합하여 상기 도어(200)와 케이스(100)면이 밀착되는 위치에서 조여 결합시킨다.
미설명부호 611은 틈새 조절구(600)와 도어(200)간의 장착을 위한 체결공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등에서 주로 사용자가 물품등을 수납장에 보관하거나 또는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어(20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면, 상기 도어(200)의 인출과 함께 도어(200) 배면의 도어 고정구(700)와 함께 결합된 수납대(400)가 연동하여 함께 인출되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대(4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수단인 하측 직선형 레일(330)과 상측 직선형 레일(300)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대(400)를 구성하는 전방 및 후방지지부재(430)(440)와 결합되어 있는 상단 및 하단지지부재(410)(420)가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와 함께 인출된 수납대(400)에 복수개의 선반(500)이 복층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선반(500)에 필요로 하는 물품등을 꺼내 쓰거나 또는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케이스(100)내 수납대(40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조 변경을 할 수 있는바, 상기 다용도 수납장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구조물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수납대(400)는 케이스(100)내의 오른쪽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다용도 수납장의 도어(200)를 개방 한 후 수납대(400)가 걸리적 거리지 않게 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가 왼쪽이라면 상기 수납대(400)이 위치를 반대로 하여 선반의 위치를 바꿔 설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은 수납대의 위치를 케이스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착 설치하여 상측 직선형 레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생산공정에 의한 조립이 단순화 되어 제작 공정의 단축을 가져옴과 동시에 상측 직선형 레일의 측판에의 결합에 따른 수납대의 규격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원자재를 줄일 수 있어 생단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수납장에 각종 물품등을 수납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면 수납대가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선반의 용적이 같은 수납장의 케이스에 비하여 커지므로 같은 용적의 장소에 많은 양의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상판(110), 하판(120), 측판(130), 배면판(140)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용적을 갖으며 전면의 도어(200)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하판(120) 상면의 일측단으로 측판(130)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측 직선형 레일(330)과;
    상기 케이스(100)의 측판(130) 상측으로 고정되는 브라켓트(310)에 상기 하측 직선형 레일(330)과 마주보도록 끼워지는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과 하측 직선형 레일(330)에 상단과 하단 지지부재(410)(420)가 각각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 양단을 결합시키는 전방지지부재(430)와 후방지지부재(440)가 결합되면서 상기 전방지지부재(430) 및 후방지지부재(440)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된 돌기(450)에 다수의 선반(500)이 복층으로 배치되는 수납대(40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인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지지부재(430)와 도어(200)의 배면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선반(500)의 일단만이 상기 수납대(400)의 돌기(440)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측판(130) 상측에 양단의 일부를 절곡시켜 틈(340)을 형성한 브라켓트(310)를 고정하고 상기 부라켓트(310)에 끼워져 지지되는 'ㄱ' 형상의 걸림편(320)이 상기 상측 직선형 레일(300)의 양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걸림편(320)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310) 양단에 형성된 틈(340)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측 단부에 장공(660)이 형성된 상단지지부재(410) 끝단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공(610)을 형성한 삽입편(640)과 일체로 되면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611)을 형성한 직선바(650)가 도어(200) 배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삽입편(640)과 상기 상단지지부재(410)의 장공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의 위치를 조정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도어(200)와 케이스간의 틈새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
KR2019970030168U 1997-10-24 1997-10-24 다용도 수납장 KR200162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68U KR200162812Y1 (ko) 1997-10-24 1997-10-24 다용도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68U KR200162812Y1 (ko) 1997-10-24 1997-10-24 다용도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11U KR19990016711U (ko) 1999-05-25
KR200162812Y1 true KR200162812Y1 (ko) 1999-12-15

Family

ID=1951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168U KR200162812Y1 (ko) 1997-10-24 1997-10-24 다용도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096U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봉적 멀티 무빙 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405B1 (ko) * 2022-02-28 2023-05-12 장영환 이동식 말 안장 캐비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096U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봉적 멀티 무빙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1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856B1 (en) Modular display case
US6942306B2 (en) Modular storage system
US7959241B2 (en) Pullout structure for cabinet
US20070080614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20050168115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KR200162812Y1 (ko) 다용도 수납장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KR20230143366A (ko) 실내의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장
JPH026837Y2 (ko)
US11278118B2 (en) Support component for a storage system
KR20200074722A (ko) 다용도 거치대
JPH11127994A (ja) 補助棚付引出し
JPH09154644A (ja) 小物品整理棚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US20240164516A1 (en) Storage system
JP4662646B2 (ja) 組立式キャビネット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JP5289988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KR200363441Y1 (ko) 서브테이블을 갖춘 주방가구
JPH03553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