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56Y1 -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56Y1
KR200495156Y1 KR2020200000816U KR20200000816U KR200495156Y1 KR 200495156 Y1 KR200495156 Y1 KR 200495156Y1 KR 2020200000816 U KR2020200000816 U KR 2020200000816U KR 20200000816 U KR20200000816 U KR 20200000816U KR 200495156 Y1 KR200495156 Y1 KR 200495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ilter
housing
wat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77U (ko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권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준 filed Critical 권혁준
Priority to KR202020000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5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B01D63/0241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being U-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여과 특성의 이중 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결합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빈 공간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빈 공간으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제1필터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필터부에 의해 정수된 물을 재정수하는 제2필터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어셈블리{FILTER ASSEMBLY}
본 고안은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여과 특성의 이중 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상수도 보급률은 93% 이상으로 일부 도서산간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가정에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며, 수돗물은 생활용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상수원(강, 호수, 저수지 등)의 물을 정화하여 만들어지며, 각종 수질검사를 거쳐 사용처에 공급된다.
그런데 수질검사를 통과한 수돗물이라 하더라도, 노후화된 배관을 따라 이동하며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이를 바로 샤워 또는 목욕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돗물의 정화 과정에서 투입된 염소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돗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염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돗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염소를 제거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결합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빈 공간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빈 공간으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제1필터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제1필터부에 의해 정수된 물을 재정수하는 제2필터부을 포함하고, 제1필터부는 U자 형태로 절곡된 복수의 중공사 필터와, 중공사 필터의 양단부를 외표면끼리 결합시킴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제2필터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 필터와, 원통형 필터의 하단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면에 제1필터부와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캡과, 원통형 필터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공과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캡을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상면에는 배출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출구를 둘러싸며, 연통관이 삽입 가능한 빈 관체 형상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돌출부재와 연통관 사이에 하나 이상의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딩 홈을 갖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부캡의 외주연에는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은 측면에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물의 흐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유출공을 개폐하는 차단부가 배치되고, 차단부는 유입구에서 배출구 측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상승 이동하여 유출공을 폐쇄하고, 유입구에서 배출구 측으로 물의 흐름이 중단되는 경우, 하강 이동하여 유출공을 개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유출공을 차단하는 고무 재질의 외피 및 일단이 외피의 내측에 고정되되 일부가 외피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밴드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피가 둥글게 말려 내려가며 유출공이 개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이중 필터 구조를 통해 수돗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염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터부의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부 내부에 고인 물이 제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고인 물에 의해 필터부에 박테리아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단면도이다.
필터 어셈블리(1)는 수도꼭지와 호스 사이 또는 호스와 배출도구(샤워헤드 또는 호스)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하우징부(10), 제1필터부(20) 및 제2필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는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제1필터부(20) 및 제2필터부(30)가 수용 가능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은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내부공간(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유입구(1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21)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내부공간(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배출구(1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하우징(12)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상부 하우징(12)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 사이에 둘 사이를 밀폐하는 하나 이상의 오링(13)이 개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하우징(11)은 내부공간(111)의 하면에 유입구(1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유입구(112)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제1돌출부재(113) 및 제1돌출부재(113)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돌출부재(113)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제2돌출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출부재(113)는 제1필터부(20)와 인접한 측의 끝단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1)에 위치한 제1필터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내부공간(121)의 상면에 배출구(12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출구(122)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제3돌출부재(123) 및 제3돌출부재(123)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3돌출부재(123)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제4돌출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돌출부재(123)의 내측으로 제2필터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1)은 하면에 유입구(112) 둘레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유입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관(115)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수도꼭지 또는 호스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상면에 배출구(122) 둘레를 둘러싸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의 배출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관(125)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호스 또는 배출도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부(20)는 하부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구(112)를 통해 하부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 물을 정수해,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1필터부(20)는 U자 형태로 절곡된 복수의 중공사 필터(21) 및 중공사 필터(21)의 양단부를 외표면끼리 결합시킴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1)에 고정시키는 접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22)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기반의 접착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중공사 필터(21)는 접착부(22)에 의해 U자 형태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필터부(30)는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20)를 통해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을 정수해, 배출구(122)로 배출할 수 있다.
제2필터부(3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311)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 필터(31), 원통형 필터(31)의 하단부를 덮는 하부캡(32) 및 원통형 필터(31)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캡(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필터(31)는 탄소 필터일 수 있다.
하부캡(32)은 하면에 제1필터부(2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재(321)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 원통형 필터(31)의 중공(311)으로 삽입되는 로드(322)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33)은 중공(311)과 배출구(122)를 연통시키는 연통관(331)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관(331)은 제3돌출부재(123)로 삽입될 수 있으며, 연통관(331)과 제3돌출부재(123) 사이에 둘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34)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하부캡(32) 및 상부캡(33)은 물에 대해서 불투과성을 보이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2)를 통해 하부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 물은 제1필터부(20)를 통해서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은 제2필터부(30)를 통해서 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필터 어셈블리(1)는 두 번의 필터링 과정을 거쳐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관(115)의 내부에는 십자 형상의 리브(1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1151)는 유입관(115)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115)의 내부에는 거름체(11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거름체(116)는 유입관의 내주연에 밀착 삽입되는 원형관(1161) 및 원형관(1161)의 내부에 결합되어 불순물을 거르는 거름망(1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필터부(20)에 의해 정수되기 전 물에 부유하는 비교적 큰 크기의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기 때문에, 제1필터부(2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부가되거나 변경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하우징(12)은 내주연에 슬라이딩 홈(1261)을 갖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이드(126)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가이드(126)는 하부 하우징(11)의 상단과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의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부캡(33)은 외주연에 슬라이딩 홈(1261)과 대응되는 형상의 슬라이딩 돌기(3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돌기(332)는 상부캡(33)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3321) 및 제1돌기(3321)에서 수직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돌기(3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캡(32)에도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부캡(33)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3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필터부(30)는 상부 하우징(12)의 내주연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통관(331)이 제3돌출부재(123)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캡(32)의 하면에 형성된 이격부재(321)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격부재(321)에 갈고리를 걸거나 신체 일부를 걸어 하측 방향으로 당겨, 제2필터부(30)를 용이하게 상부 하우징(12)의 내부공간(12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부가되거나 변경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11)은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공(117)이 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필터부(20)의 하단은 제3돌출부재(123)와 접촉하지 않으며, 유출공(17)은 내부공간(111)의 하면과 제1필터부(2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돌출부재(113)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1)은 내부공간(111)에 물의 흐름 여부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유출공(117)을 개폐하는 차단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118)는 복수의 유로공(1181)이 관통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물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도 차로 인해, 차단부(118)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차단부(118)는 유출공(117)보다 아래 위치하며 유출공(117)을 개방할 수 있다.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22)측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차단부(118)는 유출공(117)보다 아래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22)측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차단부(118)는 상승 이동하여 유출공(117)을 폐쇄할 수 있으며,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22)측으로 물의 흐름이 중단되는 경우, 차단부(118)는 하강 이동하여 유출공(117)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하우징(11)의 내주연에는 차단부(118)가 유출공(117)을 폐쇄하는 높이에서 더 이상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돌기(119)가 내주연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단부(118)의 외주연에는 내측방향으로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공간(111)의 내주연과 차단부(118)의 외주연 사이를 밀폐하는 오링(마도시)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는 물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유출공(117)이 개방되며 내부에 고인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고인 물에 의해 필터부(20, 30)에 박테리아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부가되거나 변경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11)은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공(117)이 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때, 제1필터부(20)의 하단은 제3돌출부재(123)와 접촉하지 않으며, 유출공(117)은 내부공간(111)의 하면과 제1필터부(2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1)은 하단부 외주연을 감싸되, 외력에 따라 둥굴게 말리거나 펴지며 유출공(117)을 개폐하는 커버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0)는 하부 하우징(11)의 하단부 외주연을 감싸 유출공(117)을 폐쇄하는 고무 재질의 외피(41) 및 외피(41)의 내측에 고정되되 일부가 외피(41)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밴드(42)를 외측 방향으로 당기는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피(41)는 둥글게 말려 내려가며 유출공(117)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감겨진 외피(41)는 둥글게 말려진 부분을 밀어 올리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다시 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필터 어셈블리(1)의 사용 중에는 유출공(117)을 폐쇄하여 외부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출공(117)을 폐쇄하여 내부에 고인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내부에 고인 물에 의해 필터부(20, 30)에 박테리아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제3실시시예의 유출공(117)과 차단부(118) 및 제4실시예의 유출공(117)과 커버부(40)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제4실시예의 커버부(4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의 사용 상태도이다.
하부 하우징(11)의 유입관(115)에는 호스(h)가 결합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2)의 배출관(125)에는 샤워 헤드(s)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스(h)를 통해 하우징부(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1필터부(20)에 의해 불순물과 유기물 등이 걸러지며 정수되고, 제1필터부(20)에 의해 정수된 물은 제2필터부(30)에 의해 악취, 염소, 미생물 등이 걸러지며 재정수되어 샤워 헤드(s)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필터 어셈블리
10 : 하우징부
20 : 제1필터부
30 : 제2필터부

Claims (5)

  1.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결합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빈 공간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빈 공간으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정수된 물을 재정수하는 제2필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부는,
    U자 형태로 절곡된 복수의 중공사 필터와,
    상기 중공사 필터의 양단부를 외표면끼리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필터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 필터와,
    상기 원통형 필터의 하단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면에 상기 제1필터부와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캡과,
    상기 원통형 필터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딩 홈을 갖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며, 상기 연통관이 삽입 가능한 빈 관체 형상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연통관 사이에 하나 이상의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측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물의 흐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차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상승 이동하여 상기 유출공을 폐쇄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물의 흐름이 중단되는 경우, 하강 이동하여 상기 유출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주연을 감싸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유출공을 차단하는 고무 재질의 외피 및 일단이 상기 외피의 내측에 고정되되 일부가 상기 외피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밴드로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외피가 둥글게 말려 내려가며 상기 유출공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KR2020200000816U 2020-03-10 2020-03-10 필터 어셈블리 KR200495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16U KR200495156Y1 (ko) 2020-03-10 2020-03-10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16U KR200495156Y1 (ko) 2020-03-10 2020-03-10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77U KR20210002077U (ko) 2021-09-23
KR200495156Y1 true KR200495156Y1 (ko) 2022-03-16

Family

ID=7791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16U KR200495156Y1 (ko) 2020-03-10 2020-03-10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5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0218A (ja) *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44A (ko)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용 복합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0218A (ja) *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77U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201B2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20090014382A1 (en) Filtration faucet system
US3883428A (en) Filter
KR200495156Y1 (ko) 필터 어셈블리
KR101974523B1 (ko) 필터세척이 용이한 정수기
KR101131672B1 (ko)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JP4815722B2 (ja) 浄水器
RU223628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1412890B1 (ko) 정수기용 감압밸브
TWI295583B (en) Water purifier
CN110870994B (zh) 一种水龙头及净水机
JPH11253936A (ja) 浄水器
KR20130002659A (ko) 필터 조립체
US966181A (en) Filtering device.
JP3876782B2 (ja) 浄水器
KR102436117B1 (ko)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221034169U (zh) 一种去除地下水氟污染的家用过滤水龙头
CN218281290U (zh) 反冲洗中空纤维膜滤芯
CN112624366B (zh) 双出水的筒型一体式净水器
CN219209217U (zh) 一种多重滤芯便捷替换的净水器
KR200399248Y1 (ko) 정수기용 필터
US20240050879A1 (en) Self-locking filter cartridge and assembly
KR100571100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JPH11253934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