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36Y1 -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 Google Patents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36Y1
KR200495136Y1 KR2020190004153U KR20190004153U KR200495136Y1 KR 200495136 Y1 KR200495136 Y1 KR 200495136Y1 KR 2020190004153 U KR2020190004153 U KR 2020190004153U KR 20190004153 U KR20190004153 U KR 20190004153U KR 200495136 Y1 KR200495136 Y1 KR 200495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econdary battery
conn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72U (ko
Inventor
임병철
Original Assignee
임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철 filed Critical 임병철
Priority to KR2020190004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3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전류 측정 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OBD-Ⅱ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장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로서,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OBD-Ⅱ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 및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스위치는 상기 OBD-Ⅱ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 접속부가 접속된 상태에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이차전지에서 상기 전장구성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A DEVICE FOR PROTECTING THE ELECTRICAL DEVICE CONFIGURATION}
본 고안은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 탈거 시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점프용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차량의 각종 전장구성들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모듈, 즉, 각종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에는 데이터 기록유지, 주기적인 상태 체크, 통신 상태 확인 등의 목적으로 배터리(B+) 전원(상시 전원)이 키 오프(key off) 상태에서도 계속 공급된다. 이때, 키 오프 상태에서 각종 전자 모듈에 의해 소비되는 전류를 암전류라고 하며, 암전류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비된다. 따라서, 암전류의 소비량이 적을수록 엔진 시동성 및 배터리의 수명에 유리하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암전류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개발 및 시도를 통해 각각의 전자모듈에서 소비되는 암전류를 최소화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고급화 및 전자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은 전자모듈이 탑재되고,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전자모듈의 고장 및 이상 동작에 의해서 과다한 암전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전자모듈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캔 통신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자모듈이 주체가 되어 서로 다른 전자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렇게 캔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하나의 전자모듈에 문자가 발생되어 슬립(sleep) 상태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면, 다른 전자모듈들도 그에 연동되어 슬립 상태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많은 암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배터리의 방전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접지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기 전에 점프용 케이블을 설치한다. 그 다음,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점프용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를 탈거한다. 그 다음, 점프용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전류계를 직렬로 연결한다. 끝으로, 점프용 케이블을 제거한 후 전류계를 사용하여 암전류를 측정한다.
여기서, 점프용 케이블을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연결하지 않고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를 탈거한 후 전류계를 설치하게 되면, 각종 전자모듈의 설정값이 초기화되어 직접적인 암전류의 원인 파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점프용 케이블을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먼저 연결한 다음 전류계를 설치해야 된다. 하지만, 이러한 암전류 측정방법에서는 암전류 측정 시 매번 점프용 케이블을 사전에 설치해야 하므로, 암전류를 측정하는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순서를 착각하여 점프용 케이블을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를 탈거함으로 인해 각종 전자모듈의 설정값 초기화를 무심코 유발할 수도 있다.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모듈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면, 운전자나 작업자는 암전류 측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전자모듈의 상태를 재설정해주어야 하는데, 대부분 전자모듈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었는지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가 측정인 경우에는 이를 기억해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위탁 측정인 경우에는 고객 불만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4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05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 탈거 시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점프용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차량의 각종 전장구성들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암전류 측정 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OBD-Ⅱ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장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로서,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OBD-Ⅱ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 및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스위치는 상기 OBD-Ⅱ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 접속부가 접속된 상태에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이차전지에서 상기 전장구성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점멸되는 LED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충전 케이블의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 충전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차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OBD-Ⅱ 커넥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 각각에 일대일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차전지의 (+)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복수 개의 접속핀 중 어느 하나의 접속핀을 연결하는 제1 전선과, 상기 이차전지의 (-)단자와, 상기 복수 개의 접속핀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접속핀을 연결하는 제2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핀은 상기 복수 개의 접속단자 중에서 배터리 연결용 접속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접속핀은 상기 복수 개의 접속단자 중에서 접지용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충전단자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격벽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차전지의 설치 영역을 구획하며 상기 제1 전선과 제2 전선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홈을 구비하는 가이드격벽부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체결돌기 중에서 상기 충전단자의 길이 방향 단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충전단자의 길이 방향 단부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충전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길이 방향 단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 시 상기 이차전지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누름돌기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 시 상기 제1 체결돌기의 나사홈과 단일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암전류 측정 시 배터리 대신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통해 각종 전장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 탈거 시 배터리의 (-)단자와 접지 케이블 단자에 점프용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차량의 각종 전장구성들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간편하게 암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암전류 측정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를 탈거하더라도 별도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장구성들의 설정값이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값의 초기화로 인해 전장구성들의 상태를 다시 설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LED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암전류 측정 시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를 탈거하는 오작업을 최대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장구성들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암전류 측정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충전단자가 장착되는 지지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충전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전단자에 충전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이차전지의 장착 공간을 구획하며 전선들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부케이스 내에 이차전지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고, 전선들을 쉽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단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누름돌기를 구비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로 덮을 때, 하부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누름 고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차전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열린 상태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가 접속되는 OBD-Ⅱ 커넥터 및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전장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열린 상태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가 접속되는 OBD-Ⅱ 커넥터 및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전장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는 암전류 측정 시, 차량(10)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11)에 접속된다.
이러한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는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탈거한 후부터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할 때까지 차량용 배터리(13)를 대신하여 OBD-Ⅱ 커넥터(11)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장구성들(12), 예컨대, ECU, TCU, ISG, 조명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암전류 측정을 위해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가 탈거되더라도 각종 전장구성(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탈거하더라도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장구성들(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값의 초기화로 인해 전장구성들(12)의 상태를 다시 설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고, 종래에 전장구성들(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던 점프용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암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암전류 측정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는 암전류를 측정하는 테스터기를 연결하기 전과, 암전류 측정 후 테스터기를 분리하기 전에 전장구성들(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암전류 측정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는 케이스부(110)와, 커넥터 접속부(120)와, 전원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케이스부(110)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의 외관을 이룬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부(110)는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는 결합 시 내부에 장착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110a)는 상단(도면기준)이 개구되어 있는 육면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10a)의 일측벽에는 커넥터 접속부(120)의 장착을 위한 제1 단턱(111)이 형성된다. 제1 단턱(111)은 하부케이스(110a)의 일측벽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단턱(111)은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단턱(116)과 상하로 정렬되어 케이스부(110)의 일측벽에 사각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부에 커넥터 접속부(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10a)의 타측벽에는 접속홀(112)이 구비된다. 접속홀(112)은 하부케이스(110a)의 타측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홀(112)은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에 장착되는 충전단자(133)의 접속구를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의 충전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충전단자(133)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접속홀(112)은 충전단자(133)와 외부 충전 케이블의 연결 통로를 제공한다.
하부케이스(110a)는 내측면에 지지격벽부(113)를 구비한다. 지지격벽부(113)는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격벽부(113)는 충전단자(133)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 가능한 형태 혹은 구조로 형성된다. 충전단자(133)는 이러한 지지격벽부(113)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충전단자(133)의 유동은 방지되고, 그 결과, 충전단자(133)에 충전 케이블의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부케이스(110a)는 내측면에 가이드격벽부(114)를 구비한다. 가이드격벽부(114)는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가이드격벽부(114)는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에 장착되는 이차전지(131)의 설치 영역을 구획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격벽부(114)는 이차전지(1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에 대략 사각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10a)는 이러한 가이드격벽부(114)를 구비함으로써, 이차전지(131)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격벽부(114)는 복수 개의 슬릿홈(114a)을 구비한다. 슬릿홈(114a)은 가이드격벽부(114)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양측부는 개구된다. 이러한 슬릿홈(114a)에는 이차전지(131)와 연결되는 각종 전선들(135, 136, 137, 138, 139)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격벽부(114)에 복수 개의 슬릿홈(114a)이 형성되면, 각종 전선들(135, 136, 137, 138, 139)을 쉽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각종 전선들(135, 136, 137, 138, 139)에 대한 배선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10a)는 제1 체결돌기(115)를 구비한다. 제1 체결돌기(115)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제1 체결돌기(115)는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1 체결돌기(115)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홈(115b)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115b)은 상부케이스(110b)에 구비되는 제2 체결돌기(119)의 나사홀(119a)과 단일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일 유로에는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되고, 이를 통해,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복수 개의 제1 체결돌기(115) 중에서,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에 장착되는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단부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115)는 고정바(115a)를 구비한다. 고정바(115a)는 제1 체결돌기(115)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체결돌기(115)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바(115a)는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단부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충전단자(133)를 고정한다. 실제로는, 충전단자(133)를 지지격벽부(113)에 장착할 때, 제1 체결돌기(115)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115a)의 외주면에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단부를 끼워 결합하게 된다.
상부케이스(110b)는 상단(도면기준)이 개구되어 있는 육면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케이스(110b)의 일측벽에는 커넥터 접속부(120)의 장착을 위한 제2 단턱(116)이 형성된다. 제2 단턱(116)은 상부케이스(110b)의 일측벽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단턱(116)은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단턱(111)과 상하로 정렬되어,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의 상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110)의 일측벽에 사각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부에 커넥터 접속부(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상부케이스(110b)의 바닥면 일측에는 스위치장착홀(117)이 구비된다. 스위치장착홀(117)은 상부케이스(110b)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장착홀(117)에는 전원부(130)의 전원스위치(132)가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b)는 누름돌기(118)와 제2 체결돌기(119)를 더 구비한다. 누름돌기(118)는 상부케이스(110b)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누름돌기(118)는 상부케이스(110b) 바닥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누름돌기(118)의 길이 방향 단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누름돌기(118)는 하부케이스(110a)에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하부케이스(110a)에 장착되어 있는 이차전지(131)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이를 누름 고정시키고, 그 결과, 이차전지(13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체결돌기(119)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제2 체결돌기(119)는 상부케이스(110b)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하부케이스(110a)에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115)와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는 제2 체결돌기(119)는 상하로 접촉되어 하나의 기둥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기둥은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이들의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전원부(130)는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이때, 제2 체결돌기(119)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홀(119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홀(119a)는 상부케이스(110b)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연통시킨다. 이러한 나사홀(119a)은 하부케이스(110a)에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제1 체결돌기(115)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115b)과 단일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일 유로에는 나사홀(119a) 측에서 나사홈(115b)으로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되고, 이를 통해, 하부케이스(110a)에 상부케이스(110b)가 결합된다.
커넥터 접속부(120)는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11)에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 접속부(120)는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커넥터 접속부(120)는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단턱(111)과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단턱(116)이 이루는 사각형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넥터 접속부(120)는 소켓(121)과 접속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121)은 케이스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또한, 접속핀(122)은 소켓(121)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접속핀(122)은 OBD-Ⅱ 커넥터(11)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11a) 각각에 일대일 접속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접속핀(122)은 16개로 구비되며, 8개씩 상하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쪽열 왼쪽부터 1번 내지 8번, 아래쪽열 왼쪽부터 9번 내지 16번 접속핀(122)으로 구분한다. 암전류 측정 시, 16번 접속핀(C(16))과 4번 접속핀((C(4))이 이차전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각각은 OBD-Ⅱ 커넥터(11)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11a) 중에서 16번 배터리 연결용 접속단자(V(16))와 4번 접지용 접속단자(V(4))에 접속되어, 차량용 배터리(13) 대신 각종 전장구성(12)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원부(130)는 케이스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OBD-Ⅱ 커넥터(11)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120)를 통해, OBD-Ⅱ 커넥터(11)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장구성들(1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이차전지(131)와 전원스위치(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차전지(131)는 케이스부(110)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차전지(131)는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는 가이드격벽부(114)에 의해 수평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고,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돌기(118)에 의해 누름 고정되어 수직 방향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차전지(131)는 리튬이온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본 고안에서 이차전지(131)를 반드시 리튬이온전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131)는 충, 방전이 가능한 다양한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132)는 OBD-Ⅱ 커넥터(11)에 커넥터 접속부(120)가 접속된 상태에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이차전지(131)에서 전장구성(12)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러한 전원스위치(132)는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장착홀(11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전원스위치(132)는 제1 전선(135)을 통해, 이차전지(131)의 (+)단자 및 16번 접속핀(C(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이차전지(131)의 (-)단자와 4번 접속핀(C(4))은 제2 전선(136)으로 연결된다.
전원부(130)는 LED램프(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램프(134)는 전원스위치(132)와 커넥터 접속부(120), 보다 상세하게는 16번 접속핀(C(1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LED램프(134)는 전원스위치(132)와 16번 접속핀(C(1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선(135)으로부터 분기된 제5 전선(139)에 설치된다. 이러한 LED램프(134)는 상부케이스(110b)에 형성되어 있는 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전원스위치(132)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점멸된다. 이와 같이, 전원스위치(132)에 연동되는 LED램프(134)를 구비하면, 작업자가 전원 공급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오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전장구성들(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탈거하여, 전장구성들(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문제를 방지 혹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부(130)는 충전단자(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는 전원으로 이차전지(131)를 구비함에 따라,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33)가 구비된다. 충전단자(133)는 외부 충전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10)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외부 충전 케이블에 의한 이차전지(131)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차전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단자(133)의 (+)단자는 제1 전선(135)에서 분기된 제3 전선(1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단자(133)의 (-)단자는 제2 전선(136)에서 분기된 제4 전선(13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충전단자(133)는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격벽부(113)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지지되고,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하부케이스(110a)의 제1 체결돌기(115)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115a)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접속구는 하부케이스(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홀(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접속구에 외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각 구성들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암전류 측정방법은 전술한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암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암전류 측정방법은 차량(10)의 시동을 끄고 차량(10)의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암전류 측정방법에서는 먼저,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를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11)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131)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접속부(120)의 16번 접속핀(C(16))을 OBD-Ⅱ 커넥터(11)의 16번 배터리 연결용 접속단자(V(16))에 접속시키고, 이차전지(131)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접속부(120)의 4번 접속핀(C(4))을 OBD-Ⅱ 커넥터(11)의 4번 접지용 접속단자(V(4))에 접속시킨다. 그 다음, 전원스위치(132)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한다. 전원스위치(132)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하게 되면, 차량용 배터리(13)를 대신하여 이차전지(131)로부터 각종 전장구성들(12)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전원스위치(132)에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LED램프(134)가 점등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전원 공급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LED램프(134)를 통해,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탈거하는 오작업을 최대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원스위치(132)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한 상태에서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분리한다. 그 다음, 전류계인 테스터기를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와 접지 케이블 단자(13b)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테스터기의 COMMON 단자에는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를 연결하고, 테스터기의 암페어 단자에는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연결한다. 여기서, 테스터기로는 통상의 멀티 테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터기를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와 접지 케이블 단자(13b)에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132)를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한 후 암전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암전류 측정 시 차량용 배터리(13) 대신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131)를 통해 각종 전장구성들(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 탈거 시 배터리(13)의 (-)단자(13a)와 접지 케이블 단자(13b)에 점프용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지 않고도 차량의 각종 전장구성들(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간편하게 암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암전류 측정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암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13)의 (-)단자(13a)로부터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탈거하더라도 별도로 구비되는 이차전지(13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장구성들(12)의 설정값이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값의 초기화로 인해 전장구성들(12)의 상태를 다시 설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한편, 암전류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전원스위치(132)를 온(on) 상태로 스위칭한 상태에서 상기 테스터기를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와 접지 케이블 단자(13b)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차량용 배터리(13)의 (-)단자(13a)에 접지 케이블 단자(13b)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전원스위치(132)를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한 상태에서 OBD-Ⅱ 커넥터(11)에 대한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의 접속을 해제하면, 다시 말해, 커넥터 접속부(120)의 16번 접속핀(C(16))과, 커넥터 접속부(120)의 4번 접속핀(C(4))을 OBD-Ⅱ 커넥터(11)의 16번 배터리 연결용 접속단자(V(16))와, OBD-Ⅱ 커넥터(11)의 4번 접지용 접속단자(V(4))로부터 분리시키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암전류 측정방법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110; 케이스부
110a; 하부케이스 110b; 상부케이스
113; 지지격벽부 114; 가이드격벽부
115; 제1 체결돌기 115a; 고정바
118; 누름돌기 119; 제2 체결돌기
120; 커넥터 접속부 121; 소켓
122; 접속핀 130; 전원부
131; 이차전지 132; 전원스위치
133; 충전단자 134; LED램프
11; OBD-Ⅱ 커넥터 12; 전장구성
13; 차량용 배터리

Claims (6)

  1. 암전류 측정 시 차량(10)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OBD-Ⅱ 커넥터(11)에 접속되어 상기 OBD-Ⅱ 커넥터(11)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장구성(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로서,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10a)와 상부케이스(110b)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부(110)와,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OBD-Ⅱ 커넥터(11)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120)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이차전지(131)와 상기 이차전지(131) 및 상기 커넥터 접속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132)를 포함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접속부(12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10)에 결합되는 소켓(121)과, 상기 소켓(12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OBD-Ⅱ 커넥터(11)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11a) 각각에 일대일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속핀(122)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스위치(132)는 상기 OBD-Ⅱ 커넥터(11)에 상기 커넥터 접속부(120)가 접속된 상태에서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이차전지(131)에서 상기 전장구성(12)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부(130)는 외부 충전 케이블의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 충전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차전지(131)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차전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이차전지(131)의 (+)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치(132)와, 상기 복수 개의 접속핀(122) 중 어느 하나의 접속핀(C(16))을 연결하는 제1 전선(135)과, 상기 이차전지(131)의 (-)단자와, 상기 복수 개의 접속핀(122)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접속핀(C(4))을 연결하는 제2 전선(13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a)의 일측벽에는 커넥터 접속부(120)의 장착을 위한 오목한 제1 단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일측벽에는 오목한 제2 단턱(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턱(111)은 제2 단턱(116)과 상하로 정렬되어 케이스부(110)의 일측벽에 사각형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 접속부(120)는 제1 단턱(111)과 제2 단턱(116)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a)는 충전단자(133)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격벽부(113)와, 상기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차전지(131)의 설치 영역을 구획하며 상기 제1 전선(135)과 제2 전선(136)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홈(114a)을 구비하는 가이드격벽부(114)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a)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홈(115b)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돌기(115)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체결돌기(115) 중에서 상기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단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체결돌기(115)는 제1 체결돌기(115)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바(115a)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격벽부(113)는 충전단자(133)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단자(133)는 지지격벽부(113)에 장착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바(115a)의 외주면이 충전단자(133)의 길이 방향 단부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충전단자(133)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전원스위치(132)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1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스위치(132)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점멸되는 LED램프(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핀(C(16))은 상기 복수 개의 접속단자(11a) 중에서 배터리 연결용 접속단자(V(16))에 접속되며,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접속핀(C(4))은 상기 복수 개의 접속단자(11a) 중에서 접지용 접속단자(V(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b)는,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길이 방향 단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110a)에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상기 이차전지(131)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누름돌기(118)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내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a)에 상기 상부케이스(110b)의 결합 시 상기 제1 체결돌기(115)의 나사홈(115b)과 단일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홀(119a)을 구비하는 제2 체결돌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100).
KR2020190004153U 2019-10-15 2019-10-15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KR200495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53U KR200495136Y1 (ko) 2019-10-15 2019-10-15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53U KR200495136Y1 (ko) 2019-10-15 2019-10-15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2U KR20210000872U (ko) 2021-04-23
KR200495136Y1 true KR200495136Y1 (ko) 2022-03-11

Family

ID=7573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53U KR200495136Y1 (ko) 2019-10-15 2019-10-15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3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855B2 (ja) * 1992-04-06 2001-07-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海洋作業船
KR100969193B1 (ko) * 2009-12-30 2010-07-09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 기구
JP2017022916A (ja)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テクトム 車載器用の接続ユニット
KR102045782B1 (ko) * 2019-07-29 2019-11-18 임병철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862U (ja) * 2007-11-05 2008-01-24 株式会社テクトム 電装機器並びに充電装置
JP3182855U (ja) * 2013-02-01 2013-04-11 Sfj株式会社 車両用補助給電装置
KR20150012476A (ko) 2013-07-25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비정상적인 암전류 발생 모듈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39050B1 (ko) 2013-08-21 2014-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암전류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855B2 (ja) * 1992-04-06 2001-07-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海洋作業船
KR100969193B1 (ko) * 2009-12-30 2010-07-09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 기구
JP2017022916A (ja)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テクトム 車載器用の接続ユニット
KR102045782B1 (ko) * 2019-07-29 2019-11-18 임병철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3886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2U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6889B (zh) 电池组
US7229320B2 (en) Battery connection plate with voltage detection element
KR101736200B1 (ko) 전지팩
EP2738863A1 (en) Battery status notification unit, bus bar module, assembled battery, and battery status observation system
KR20010014485A (ko) 배터리 팩, 배터리 장착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전자기기
CN104081559A (zh) 电池连接器系统
KR101799540B1 (ko)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장치용 전지모듈
US20150194656A1 (en) Battery wiring module
CN109415028A (zh) 车辆通信系统、蓄电池的管理装置、电路基板、蓄电池、通信标准的切换方法
CN102768910A (zh) 用于电气系统的联锁器
US20020012831A1 (en) Battery pack, battery charger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battery pack
CN110342434B (zh) 一种叉车电气集成控制盒
JP201614358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
KR102704203B1 (ko) 전해액 교환이 가능한 차량용 배터리
KR102045782B1 (ko)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암전류 측정방법
KR102174288B1 (ko) 배터리 교체주기가 표시되는 리튬 전지팩 구조
KR200495136Y1 (ko) 전장구성 보호용 기구
CN109148803B (zh) 导体模块装接结构
US1101974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190056171A (ko)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873065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odule unit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cluding the same
KR20170092740A (ko) 전지팩의 일체형 센싱보드
CN210710592U (zh) 一种叉车电气集成控制盒
KR101597317B1 (ko) 배터리 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배터리 구조
CN106895344B (zh) 可供移动设备充电的应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