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86Y1 -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86Y1
KR200494986Y1 KR2020190005298U KR20190005298U KR200494986Y1 KR 200494986 Y1 KR200494986 Y1 KR 200494986Y1 KR 2020190005298 U KR2020190005298 U KR 2020190005298U KR 20190005298 U KR20190005298 U KR 20190005298U KR 200494986 Y1 KR200494986 Y1 KR 200494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outside
lid
waste spra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36U (ko
Inventor
임익성
최광규
한상득
주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90005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8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용기인 폐스프레이 캔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는 천공작업이 용이하고 천공 후 가스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비산되더라도 수거함 내에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이 마련된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내부 바닥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단부에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하도록 쇄기부가 형성된 천공봉과, 상기 뚜껑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천공봉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수거함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작업 후 수거함의 내부로 비산되어 수집된 잔여 페인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수단과, 상기 뚜껑에 배치되고 수거함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수거함 내부와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설치하는 환풍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Device for treatmenting waste spray can}
본 고안은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용기인 폐스프레이 캔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는 천공작업이 용이하고 천공 후 가스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비산되더라도 수거함 내에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가구 등의 물건을 페인트로 도색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도색제를 붓이나 롤러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물체에 직접 도포하는 것과 에어브러시, 스프레이 건 또는 스프레이 캔 등을 사용해서 원거리에서 도포하는 것이 있는데, 이 중 제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일명 "페인트 락카"라 불리어지는 스프레이 캔을 사용하는 것이다.
페인트를 도색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레이 캔 안에는 페인트 용액과 함께 상기 페인트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는데 필요한 고압가스가 함께 밀봉되어 있다.
종래의 스프레이 페인트 캔은 스틸 혹은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 내에는 가스와 페인트 액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하는 가스는 페인트 액을 스프레이 형태로 캔 밖으로 방사하기 위해 필요한 고압가스로서 DME(dimethyl ether) 가스, 프로판가스 또는 냉매가스를 사용한다.
기존 스프레이 페인트 캔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천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압력을 제거한 후에 수거하고 있으나, 천공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과정에서 내용물인 페인트가 비산되면서 작업자가 내용물에 오염되거나 주변 장소에 내용물이 비산되면서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 폐스프레이 캔 수거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0246964호 "폐스프레이 캔 처리장치"(2001년09월05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폐스프레이캔이 투입되어 폐기작업이 이루어지는 일정크기의 케이스와, 케이스 중앙부에 설치되어 폐스프레이캔이 수직으로 세워져 놓여지는 수직관과, 수직관 상부에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수직실린더,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끝에 설치되어 폐스프레이캔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압축부와, 압축되는 폐스프레이캔의 일측면에 구멍을 뚫어 잔류액을 방출시키기 위한 타공부, 폐스프레이캔에서 방출되는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가스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위의 경우에는 폐스프레이캔을 실린더로 압착하여 폐기하는 설비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별도의 수직관과 압축부 및 실린더 등의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고 내부의 잔여물이 상기한 설비에 묻게 될 경우 설비 고장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중 폐스프레이캔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작동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공압이나 유압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오일이 누유될 경우 새로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0246964호 "폐스프레이 캔 처리장치"(2001년 09월 05일)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압력용기인 폐스프레이 캔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는 천공작업이 용이하고 천공 후 가스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비산되더라도 수거함 내에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이 마련된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내부 바닥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단부에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하도록 쇄기부가 형성된 천공봉과, 상기 뚜껑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천공봉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수거함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작업 후 수거함의 내부로 비산되어 수집된 잔여 페인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수단과, 상기 뚜껑에 배치되고 수거함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수거함 내부와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설치하는 환풍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수단은 상기 수거함의 중간 높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거함의 내부와 연통되는 드레인배관과, 상기 드레인배관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뚜껑 상측과의 결합을 위한 잠금장치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은 사용이 완료된 압력용기인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 압력에 의해 천공된 구멍을 통해 잔여 내용물인 페인트가 비산되더라도 수거함 내에서만 비산되어 외부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폐스프레이 캔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폐스프레이 페인트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200)이 마련된 수거함(100)과,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 바닥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단부에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하도록 쇄기부(310)가 형성된 천공봉(300)과, 상기 뚜껑(200)에 경첩(410)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천공봉(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400)와, 상기 수거함(10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작업 후 수거함(100)의 내부로 비산되어 수집된 잔여 페인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수단(500)과, 상기 뚜껑(200)에 배치되고 수거함(100)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수거함(100) 내부와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설치하는 환풍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거함(1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 통체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상부에 뚜껑(200)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천공봉(300)은 하부가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 바닥 중앙에 수직 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봉(300)은 수거함(100)의 내부 바닥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천공봉(300)은 상단에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원뿔형의 쇄기부(310)가 형성된 환봉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도어(400)는 상기 뚜껑(200)의 중앙 위치(즉 천공봉(300)의 상측 위치)에 뚜껑(200)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경첩(41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폐도어(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복수의 경첩(410)으로 뚜껑(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뚜껑(200)의 상측에 잠금 기능을 부여하도록 잠금장치(4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뚜껑(200)에는 수거함(100)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외부와 수거함(100) 내부가 연통되는 환풍구(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수단(500)은 상기 수거함(100)의 중간 높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드레인배관(510)과, 상기 드레인배관(5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밸브(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폐스프레이 캔을 처리하기 위해 개폐도어(400)를 열어서 수거함(100) 내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도어(400)의 개방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된 천공봉(300)의 쇄기부(310)를 이용하여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시킨다.
이때, 상기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작업은 폐스프레이 캔을 뾰족한 천공부의 쇄기부(310)에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폐스프레이 캔에 구멍을 뚫는 천공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천공된 폐스프레이 캔을 수거함(100)의 내부로 투입하고 개폐도어(400)를 닫아서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으로 인해 폐스프레이 캔의 내부 가스 압력에 의해 잔여 내용물인 폐인트가 비산되더라도 수거함(100) 내에 수집되도록 비산되며, 개폐도어(400)의 닫힘동작으로 인해 수거함(100)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비산되는 페인트에 의한 작업자의 오염 및 주변 환경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과정에서 수거함(100) 내에 수집된 잔여 페인트는 일정 수위가 될 경우, 드레인밸브(520)를 조작하여 드레인배관(510)의 유로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수거함(100) 내의 유증기는 환풍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잔여 페인트가 배출된 후의 폐스프레이 캔이 수거함(100) 내에 일정량 쌓이게 될 경우, 뚜껑(200)을 개방시켜 수거함(100)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에 폐스프레이 캔을 분리 수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이 완료된 압력용기인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봉(30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400)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 압력에 의해 천공된 구멍을 통해 잔여 내용물인 페인트가 비산되더라도 수거함(100) 내에서만 비산되어 외부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폐스프레이 캔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100 : 수거함 200 : 뚜껑
250 : 환풍구 300 : 천공봉
310 : 쇄기부 400 : 개폐도어
410 : 경첩 450 : 잠금장치
500 : 드레인수단 510 : 드레인배관
520 : 드레인밸브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200)이 마련된 수거함(100)과,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 바닥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단부에 폐스프레이 캔을 천공하도록 쇄기부(310)가 형성된 천공봉(300)과,
    상기 뚜껑(200)에 경첩(410)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천공봉(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400)와,
    상기 수거함(10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폐스프레이 캔의 천공작업 후 수거함(100)의 내부로 비산되어 수집된 잔여 페인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수단(500)과,
    상기 뚜껑(200)에 배치되고 수거함(100) 내의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수거함(100) 내부와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설치하는 환풍구(250)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수단(500)은 상기 수거함(100)의 중간 높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거함(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드레인배관(510)과,
    상기 드레인배관(5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밸브(520)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도어(400)는 상기 뚜껑(200) 상측과의 결합을 위한 잠금장치(4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천공봉(300)은 상단에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원뿔형의 쇄기부(310)가 형성된 환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폐스프레이 캔을 뾰족한 천공부의 쇄기부(310)에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천공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개폐도어(400)의 닫힘동작으로 인해 수거함(100)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비산되는 페인트에 의한 작업자의 오염 및 주변 환경 오염을 차단하고,
    상기 수거함(1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 통체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상부에 뚜껑(200)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며, 잔여 페인트가 배출된 후의 폐스프레이 캔이 수거함(100) 내에 일정량 쌓이게 될 경우, 뚜껑(200)을 개방시켜 수거함(100)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에 폐스프레이 캔을 분리 수거하여, 폐스프레이 캔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함(100) 내의 유증기는 환풍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5298U 2019-12-27 2019-12-27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KR200494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98U KR200494986Y1 (ko) 2019-12-27 2019-12-27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98U KR200494986Y1 (ko) 2019-12-27 2019-12-27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36U KR20210001536U (ko) 2021-07-07
KR200494986Y1 true KR200494986Y1 (ko) 2022-02-14

Family

ID=7686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98U KR200494986Y1 (ko) 2019-12-27 2019-12-27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831A (ja) * 2005-08-29 2007-03-15 Nakajima Jidosha Denso:Kk 缶潰し装置
JP2011194526A (ja) * 2010-03-19 2011-10-06 Shoji Misao Seisakusho:Kk スプレー缶簡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964Y1 (ko) 2001-05-29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폐스프레이캔 처리장치
KR101016769B1 (ko) * 2008-12-02 2011-02-25 최영찬 가스통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831A (ja) * 2005-08-29 2007-03-15 Nakajima Jidosha Denso:Kk 缶潰し装置
JP2011194526A (ja) * 2010-03-19 2011-10-06 Shoji Misao Seisakusho:Kk スプレー缶簡易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36U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4043A (en) Aerosol can emptying device
US4407341A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ents of damaged aerosol containers
US5181462A (en) Disposal compactor for aerosol cans
US5271437A (en) Aerosol can waste disposal device
US8561658B2 (en) Fu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20180127253A1 (en) Puncturing device for aerosol containers
EP3334680B1 (en) Puncturing device for aerosol containers
BR9713340A (pt) Processo para a determinação de parâmetros, como por exemplo nìvel de enchimento, pressão ou composição gasosa, em recipientes fechados.
KR200494986Y1 (ko) 폐스프레이 캔의 처리장치
KR102283491B1 (ko) 에어로졸 압축용기 잔류가스 제거용 천공기
KR200494985Y1 (ko) 폐스프레이 캔 용기의 처리지그
US4620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ercing a container
WO2009106522A1 (en) A plant for separate collection of compressible solids and glass refuse
JPH07323397A (ja) ゴミ圧縮装置
KR200246964Y1 (ko) 폐스프레이캔 처리장치
JP2011194526A (ja) スプレー缶簡易処理装置
WO1994011130A1 (en) Forming openings in pipes
US20140041749A1 (en) Fu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20210001492U (ko) 폐스프레이 캔 타공장치
KR102109204B1 (ko) 소화기의 손잡이 분리장치
KR200438869Y1 (ko) 가스캔 잔류 가스 배출 장치
DE4214930C1 (de) Sammelbehälter
JP3818159B2 (ja) 容器の減容圧縮装置
JP6081651B1 (ja) 容器減容装置
KR20110003708U (ko) 가연성 용기의 잔류가스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