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98Y1 -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 Google Patents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98Y1
KR200494698Y1 KR2020210001137U KR20210001137U KR200494698Y1 KR 200494698 Y1 KR200494698 Y1 KR 200494698Y1 KR 2020210001137 U KR2020210001137 U KR 2020210001137U KR 20210001137 U KR20210001137 U KR 20210001137U KR 200494698 Y1 KR200494698 Y1 KR 200494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ap
lid
wate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의창
박훈경
Original Assignee
고의창
박훈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창, 박훈경 filed Critical 고의창
Priority to KR2020210001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편향물통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물통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된 편향뚜껑본체(110)와;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의 하부에 상기 편향물배출구(115)에 끼움결합되는 배출관실링관(125)이 형성되며,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실링관(125)과 일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연장단(123)이 구비된 편향캡(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Deflection bottle cap to prevent water outlet contamination}
본 고안은 편향물통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사용자가 물통뚜껑를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접촉하더라도 물배출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편향물통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통은 시원한 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통에 식수를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고, 보관 중이던 물통에 담긴 식수를 마시기 위하여 뚜껑를 열어 물 배출구를 개방하게 된다.
종래 물통뚜껑의 일례가 실용신안공고 제1995-0010512호(출원번호 제20-1993-0005738호) "물통 뚜껑"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443925호(출원번호 제20-2007-0007456호) " 물통 뚜껑" 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물통뚜껑(1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물통뚜껑(10)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물통뚜껑(10)은 물통(20)의 상부에 결합된다. 물통뚜껑(10)은 물통(20)에 결합되는 뚜껑본체(11)와, 뚜껑본체(11)의 물배출구(12)를 개폐하는 회동캡(15)을 포함한다.
회동캡(15)의 하부에는 물배출구(12)의 주변을 감싸 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하는 배출구실링관(17)이 형성된다. 회동캡(15)은 힌지축(18)이 회동힌지(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가 회동캡(15) 단부의 가압단(16)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뚜껑본체(11)로부터 회동되며 물배출구(12)를 개폐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물통뚜껑(10)은 물배출구(12)와 배출구실링관(17)이 가압단(16)과 접하게 물통뚜껑(10)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가압단(16)의 밑 부분을 접촉하며 상방향으로 가압할 때 손가락(F)이 뚜껑본체(11)의 표면을 접촉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캡(15)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물배출구(1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통(20)을 기울여 물을 따르면 물배출구(12)를 통해 물(W)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물배출구(12)를 통해 물(W)이 배출되는 경로가 사용자이 손가락(F)이 회동캡(15)을 개방하기 위해 뚜껑본체(11)를 접촉한 접촉영역과 겹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오염된 경우, 물배출구(12)로 배출되는 물(W) 또한 오염되게 된다.
특히, 손을 통해 오염 및 감염되어 전파되는 수많은 각종질병, 감기나 독감, 코로나19 등과 같이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가 뭍은 손을 사용하는 경우 자신들도 모르게 사용자간에 연쇄 및 교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오염된 손을 사용한 사용자의 경우 물통을 통해 식수가 오염 및 감염되어 본인 뿐 아니라 타인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캡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뚜껑본체를 만지더라도 식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편향물통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편향물통뚜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편향물통뚜껑은, 물통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된 편향뚜껑본체(110)와;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의 하부에 상기 편향물배출구(115)에 끼움결합되는 배출관실링관(125)이 형성되며,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실링관(125)과 일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연장단(123)이 구비된 편향캡(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뚜껑본체(110)는,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측면캡수용블럭(113)과;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편향캡(120)을 지지하는 후방캡지지면(116)과; 상기 후방캡지지면(116)의 전방에 상기 후방캡지지면(116)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되는 뚜껑상면(114)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캡(120)은, 상면이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에서 상부위치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캡수용블럭(113)과 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된 직선측면(121a)과, 상기 배출관실링관(125)이 결합된 곡선측면(121b) 및 상기 가압연장단(123)에 의해 둘러쌓이게 형성되며,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곡선측면(121b)까지의 길이는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압연장단(123)까지의 길이는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편향캡(120)이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경로는 상기 가압연장단(123)을 가압하는 사용자의 손의 접촉영역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은 편향물배출구가 물통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위치되고, 사용자가 편향캡을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접촉하는 가압연장단은 편향물배출구와 일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편향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향캡을 개방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뚜껑상면을 접촉하더라도 물배출경로와 겹쳐지지 않아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물통뚜껑의 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물통뚜껑의 캡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뚜껑의 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통뚜껑의 캡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물통뚜껑과 종래 물통뚜껑의 구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100)의 편향캡(12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편향물통뚜껑(100)의 편향캡(120)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종래 물통뚜껑(10)과 본 고안의 편향물통뚜껑(100)의 구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100)은 물통(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물통(20)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편향물통뚜껑(100)은 물통(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편향뚜껑본체(110)와, 편향뚜껑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편향캡(1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100)은 사용자가 편향캡(120)을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가압하는 가압연장단(123)과 편향물배출구(115)가 이격되게 분리배치되어 물배출경로가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며 접촉된 접촉영역과 겹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편향물배출구(115)가 사용자에 사용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편향뚜껑본체(110)는 물통(20)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편향뚜껑본체(110)는 물통(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통결합관(111)과, 물통결합관(11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편향캡(120)의 회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과,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의 사이에 구비되며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된 뚜껑상면(114)과, 뚜껑상면(114)의 후방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회동된 편향캡(120)을 지지하는 후방캡지지면(116)을 포함한다.
뚜껑상면(114)은 물통결합관(111)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편향물배출구(115)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은 뚜껑상면(114)의 양측에 편향물배출구(115)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편향캡(120)의 양측이 내부에 접촉되며 끼워져 위치가 구속될 수 있게 지지한다.
후방캡지지면(116)은 뚜껑상면(114)의 후방에 뚜껑상면(114) 보다는 높고 측면캡수용블럭(113) 보다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캡(12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편향캡(120)의 양측이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 사이에 위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후방캡지지면(116)의 높이는 측면캡수용블럭(113)의 높이에서 편향캡(120)의 두께를 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상면(114)은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 및 후방캡지지면(116)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된 물이 주변으로 흘러가지 않고 뚜껑상면(114) 표면을 따라 흘러 가게 안내한다.
편향물배출구(115)는 뚜껑상면(114)에 관통형성되어 물통(20)을 기울이면 물통(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은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된 후 뚜껑상면(114)을 따라 흘러내려 배출된다.
여기서, 편향물배출구(115)는 뚜껑상면(114)에서 한 쌍의 측면캡수용블럭(113) 중 일측(도 3에서 왼쪽)을 향해 편향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편향물배출구(115)는 후방캡지지면(116)의 높이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된다.
후방캡지지면(116)의 하부에는 편향캡(1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힌지(117)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편향캡(120)은 편향뚜껑본체(110)의 편향물배출구(115)를 개폐하여 물통(20)의 물이 오염되지 않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편향캡(120)은 판상의 캡본체(121)와, 캡본체(121)의 하부에 편향뚜껑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연장단(123)과, 편향물배출구(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편향물배출구(115)를 감싸게 형성되는 배출관실링관(125)과, 편향뚜껑본체(110)의 상부에 회동힌지(117)에 결합되게 구비되어 편향뚜껑본체(110)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27)을 포함한다.
캡본체(121)는 힌지축(127)에 의해 편향뚜껑본체(110)에 회동되며 평향물배출구(115)를 닫아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거나, 편향물배출구(115)를 개방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캡본체(12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회동캡(15)은 뚜껑본체(11)의 가운데 영역에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회동캡(15)은 사각형 형상에 하부 가압단(16)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가압단(16)과 물배출구(12)가 동축상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더욱이, 가압단(16)과 물배출구(12)가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F)이 회동캡(15)을 개방하기 위해 가압단(16)의 하부를 접촉하면 인접한 물배출구(12)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경로인 뚜껑상면을 접촉하게 된다.
특히, 가압단(16)의 외경(R2)는 뚜껑본체(11)의 외경(R1)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단(16)을 접촉하면 뚜껑본체(11)의 표면을 항상 접촉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캡본체(12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연장단(123)과 배출관실링관(125)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위치되어 사용자가 가압연장단(123)을 접촉하며 가압하더라도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한 물배출경로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캡본체(121)는 상단이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측면캡수용블럭(113)과 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된 직선측면(121a)이 형성된다. 상단과 직선측면(121a)이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반대방향으로 가압연장단(123)과 곡선측면(121b)이 서로 이격되게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연장단(123)은 직선측면(121a)의 하단에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R1) 보다 큰 반경(R3)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가압연장단(123)은 편향뚜껑본체(1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가압연장단(123)의 하부를 접촉하여 상부로 가압할 때 편향뚜껑본체(110)와 접촉하지 않고 가압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연장단(123)은 편향물배출구(115)의 높이만큼 뚜껑상면(114)으로부터 일정높이(h)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뚜껑상면(114)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가압연장단(123)의 하부를 상부로 가압하여 뚜껑상면(114)에 손가락(F)이 닿지 않게 편향캡(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손가락(F)이 뚜껑상면(114)에 닿더라도 가압연장단(123)과 편향물배출구(115)가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물배출경로와 손가락이 닿은 영역이 겹쳐지지 않아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선측면(121b)은 캡본체(121)의 타측에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곡선측면(121b)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R1) 보다 짧은 반경(R4)을 갖도록 형성된다.
곡선측면(121b)와 가압연장단(123)은 하부연결면(121c)에 의해 직선 연결된다.
곡선측면(121b)의 내측에는 배출관실링관(125)이 형성되어 편향물배출구(115)를 막아 물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배출관실링관(125)은 내경이 편향물배출구(115)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편향물배출구(115)에 억지끼워맞춤되며 편향캡(120)이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구속한다.
동시에 편향물배출구(115)의 외부를 감싸 편향캡(120)이 닫힌 상태에서 물통(20)을 뒤집더라도 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막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121)가 개방되면,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물(W)이 배출된다. 이 때,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의 배출경로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영역과 이격되므로 물(W)이 오염되지 않고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27)은 캡본체(121)의 수평한 상단에 구비되어 회동힌지(117)에 결합된다. 힌지축(127)에 의해 편향캡(120)이 회동되며 편향뚜껑본체(110)를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캡본체(121)의 상면에는 캡본체(121)가 회동될 때 회동힌지(117)가 삽입되는 힌지삽입공(122)이 형성되어 편향캡(1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캡지지면(116)에 접촉되게 180도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100)의 사용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물통(20)에 물을 채우고 편향물통뚜껑(100)을 결합시킨다. 편향뚜껑본체(110)는 물통(2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때, 편향캡(120)은 회동힌지(117)에 회동되어 편향물배출구(115)를 막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편향캡(120)이 닫혀지면 가압연장단(123)은 편향뚜껑본체(1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위치된다.
사용자가 물을 먹기 위해 편향캡(120)을 개방하고자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F)을 가압연장단(123)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가압연장단(123)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편향캡(120)을 회동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캡(120)이 후방캡지지면(116) 측으로 회동되면, 사용자는 물통(20)을 기울여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물(W)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 때, 편향물배출구(115)와 가압연장단(123)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한 손접촉영역과 물배출경로가 겹쳐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손접촉영역이 오염되더라도 물(W)은 손접촉영역을 피해서 배출되므로 물(W)의 오염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물통뚜껑은 편향물배출구가 물통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위치되고, 사용자가 편향캡을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접촉하는 가압연장단은 편향물배출구와 일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편향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향캡을 개방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뚜껑상면을 접촉하더라도 물배출경로와 겹쳐지지 않아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편향물통뚜껑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물통뚜껑 11 : 뚜껑본체
12 : 물배출구 13 : 회동힌지
15 : 회동캡 16 : 가압단
17 : 배출구실링관 18 : 힌지축
20 : 물통 100 : 편향물통뚜껑
110 : 편향뚜껑본체 111 : 물통결합관
113 : 측면캡수용블럭 114 : 뚜껑상면
115 : 편향물배출구 116 : 후방캡지지면
117 : 회동힌지 120 : 편향캡
121 : 캡본체 121a : 직선측면
121b : 곡선측면 121c : 하부연결면
122 : 힌지삽입공 123 : 가압연장단
125 : 배출관실링관 127 : 힌지축
F : 손가락 H : 손
h : 일정높이 W : 물

Claims (2)

  1. 물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편향물통뚜껑에 있어서,
    물통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된 편향뚜껑본체(110)와;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의 하부에 상기 편향물배출구(115)에 끼움결합되는 배출관실링관(125)이 형성되며,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실링관(125)과 일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연장단(123)이 구비된 편향캡(120)을 포함하되,
    상기 편향뚜껑본체(110)는,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측면캡수용블럭(113)과;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편향캡(120)을 지지하는 후방캡지지면(116)과;
    상기 후방캡지지면(116)의 전방에 상기 후방캡지지면(116)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편향물배출구(115)가 형성되는 뚜껑상면(114)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캡(120)은,
    상면이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에서 상부위치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일단에서 상기 측면캡수용블럭(113)과 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된 직선측면(121a)과, 상기 배출관실링관(125)이 결합된 곡선측면(121b) 및 상기 가압연장단(123)에 의해 둘러쌓이게 형성되며,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곡선측면(121b)까지의 길이는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압연장단(123)까지의 길이는 상기 편향뚜껑본체(110)의 반경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편향캡(120)이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편향물배출구(115)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경로는 상기 가압연장단(123)을 가압하는 사용자의 손의 접촉영역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물통뚜껑.
  2. 삭제
KR2020210001137U 2021-04-12 2021-04-12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KR200494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37U KR200494698Y1 (ko) 2021-04-12 2021-04-12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37U KR200494698Y1 (ko) 2021-04-12 2021-04-12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98Y1 true KR200494698Y1 (ko) 2021-12-02

Family

ID=7889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137U KR200494698Y1 (ko) 2021-04-12 2021-04-12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512U (ko) * 1993-09-04 1995-04-24 가정용 전기제품의 지지다리
KR200443925Y1 (ko) * 2007-05-07 2009-03-24 여동수 물병 뚜껑
US20170158384A1 (en) * 2013-09-10 2017-06-08 Florian Enghard Lid Comprising Drinking Closure for a Drinking Vessel
KR20190002150A (ko) * 2017-06-29 2019-01-08 서지웅 음료용기의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512U (ko) * 1993-09-04 1995-04-24 가정용 전기제품의 지지다리
KR200443925Y1 (ko) * 2007-05-07 2009-03-24 여동수 물병 뚜껑
US20170158384A1 (en) * 2013-09-10 2017-06-08 Florian Enghard Lid Comprising Drinking Closure for a Drinking Vessel
KR20190002150A (ko) * 2017-06-29 2019-01-08 서지웅 음료용기의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524B2 (en) Bottle with multi-fold protective cover and leak-proof closure device
KR200495170Y1 (ko) 오염이 방지되는 텀블러뚜껑
JPH11278523A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KR200494698Y1 (ko)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US10077143B2 (en) Lid for container with rotatable reclosable spout
JP2007176555A (ja) 飲料用容器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JP2001294252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JP2004194968A (ja) 電気湯沸かし器
KR200432217Y1 (ko) 내용물 사용이 용이한 튜브용기뚜껑
KR101373637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JP2002211613A (ja) 液体容器の吸い口付き栓
JP2007091299A (ja) ヒンジキャップ
CN206006917U (zh) 电热水壶
JP2020179886A (ja) 飲料容器
CN214711875U (zh) 一种具有双饮水口的杯子
CN217792407U (zh) 一种水杯开合盖的反馈结构
JP7190536B2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片手操作ボトル
KR102416533B1 (ko) 원터치 개폐 장치
JP2002165708A (ja) 真空ジャケット容器の飲み物注入・注出装置
TWI674993B (zh) 飲水瓶防漏結構
CN216822667U (zh) 双饮杯盖及杯子
CN211767499U (zh) 一种防漏瓶盖
TWM626010U (zh) 隨行杯
JP2011010962A (ja) ピ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