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50A - 음료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50A
KR20190002150A KR1020170082643A KR20170082643A KR20190002150A KR 20190002150 A KR20190002150 A KR 20190002150A KR 1020170082643 A KR1020170082643 A KR 1020170082643A KR 20170082643 A KR20170082643 A KR 20170082643A KR 20190002150 A KR20190002150 A KR 20190002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hole
hinge
thin film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웅
남상민
Original Assignee
서지웅
남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웅, 남상민 filed Critical 서지웅
Priority to KR102017008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50A/ko
Publication of KR2019000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결착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용수가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채, 상기 입구부를 포위하는 포위부, 상기 포위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닉되도록 하는 회동부 및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포위부에 연결되되, 외력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박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로 관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뚜껑{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료를 보관하고 유통시키기 위해 유리병 또는 PET 병(polyester bottle)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는 우리 주변에서 음료수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손 쉽게 접할 수 있다.
유리병 또는 PET 병은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몸체와 내용물이 병에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유리병 뚜껑 또는 PET 뚜껑은 표준의 규격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병 또는 PET 병에 보관된 음료를 사용자가 섭취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 몸체인 용기의 입구부에 입을 대어 부어 마시거나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이 때, 뚜껑이 제거된 용기를 입에 대어 마시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에 대어 기울이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또는 옷 등에 쏟아져 사용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뚜껑이 제거된 용기에 스트로우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뚜껑이 제거된 용기 내에 스트로우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 스트로우 자체의 부력에 의해 스트로우가 상승하며, 또한 음료용기 내의 음료가 남아 있는 경우,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유리병 뚜껑 또는 PET 병 뚜껑을 제거하지 않은 채, 유리병 뚜껑 또는 PET 병 뚜껑에 스트로우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주는 뚜껑 펀치기가 출시(http://www.ensnare.co.kr/, 인스네어, 드링크 펀치)되어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다만, 출시된 뚜껑 펀치기는, 사용자가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섭취하지못하여 보관 또는 휴대를 원하는 경우, 스트로우가 삽입되기 위해 펀칭된 뚜껑의 일부분을 통해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펀칭된 뚜껑의 일부분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재차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음료용기 내의 뚜껑을 제거하지 않은 채, 스트로우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섭취하지 못하여 보관 또는 휴대를 원하는 경우, 음료용기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 내의 뚜껑을 제거하지 않은 채, 스트로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섭취하지 못한 음료용기의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결착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용수가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채, 상기 입구부를 포위하는 포위부, 상기 포위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닉되도록 하는 회동부 및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포위부에 연결되되, 외력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박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로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포위부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에 상기 원형돌기와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는 원형돌기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의 측면을 포위하는 측면부 및 상기 관통공을 제외한 상기 측면부의 상기 중공을 폐쇄하는 폐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폐쇄부는, 상기 회동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회동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관통공이 은닉되도록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와 접촉되는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상기 회동부와 상기 함입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폐쇄부의 상면과 상기 회동부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회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공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박막부는, 상기 함입부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와 접촉이 해제된 경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박막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함입부를 규정하는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함입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상기 회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함입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연통부와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뚜껑은, 기존의 유리병 뚜껑 또는 PET 병 뚜껑을 대체하여 호환성을 높였다.
또한, 음료용기 내의 음용수를 음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로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음료용기 내의 음용수를 모두 섭취하지 못한 음료용기의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이 결합된 음료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박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이 결합된 음료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1)은 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통상의 음료용기(B)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기존의 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음용수를 수용하는 음료용기(B)의 뚜껑을 본 발명의 음료용기 뚜껑(1)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1)은 음료용기의 입구부(B1)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결착되어 상기 음료용기(B)에 수용된 음용수가 상기 입구부(B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음료용기의 입구부(B1)란, 통상의 음료용기(B)에 수용된 음용수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중공으로 음료용기(B)의 몸체로부터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일종의 병목일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의 입구부(B1)에 형성된 원형돌기(B2)란, 음료용기의 뚜껑(1)과 체결되어 음용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뚜껑(1)을 회전시켜 원형돌기(일종의 나사산)와의 체결을 해제하도록 하거나 병따개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뚜껑(1)을 해제하기 위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뚜껑(1)은 포위부(10), 회동부(20) 및 박막부(30)를 포함한다.
포위부(10)는, 관통공(H)이 형성된 채, 음료용기의 입구부(B1)를 포위한다. 포위부(10)는, 원기둥 형상의 일 밑면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거되지 않은 일 밑면에 관통공(H)이 형성된다.
포위부(10)는, 측면부(12) 및 폐쇄부(14)를 구비한다.
측면부(12)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에 음료용기의 입구부(B1)에 형성된 원형돌기(B2)와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는 원형돌기대응부(121)를 구비하며, 음료용기의 입구부(B1)의 측면을 포위한다.
폐쇄부(14)는, 관통공(H)을 제외한 측면부(12)의 중공을 폐쇄한다.
폐쇄부(14)는, 회동부(20)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141) 및 회동부(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회동부(20)가 관통공(H)이 은닉되도록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는 경우, 회동부(20)와 접촉되는 함입부(143)를 구비한다.
힌지부(141)는, 회동부(20)가 폐쇄부(14)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20)의 적어도 일부분과 힌지 결합된다.
또한, 회동부(20)는 힌지부(141)와 힌지 결합하도록 힌지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힌지부(141)와 회동부(20)는,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이면,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함입부(143)는, 폐쇄부(14)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함입되되, 폐쇄부(14)에 형성된 관통공(H)이 함입부(143)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함입부(143)는 회동부(2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함입부(143)에 접촉되는 경우, 회동부(20)를 수용한다.
이 때, 폐쇄부(14)의 상면과 회동부(2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폐쇄부(14)의 함입부(143) 내에 수용되면, 회동부(20)의 상면과 폐쇄부(14)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회동부(20)에 의해 함입부(143)는 은닉되게 된다.
함입부(143) 내에 형성된 관통공(H) 또한, 회동부(20)와 함입부(143)의 접촉에 따라 회동부(20)에 의해 은닉되며, 반대로 회동부(20)와 함입부(143)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동부(20)에 의해 은닉되었던 관통공(H)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때 함입부(143)도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회동부(20)는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함입부(143)에 접촉되는 경우, 관통공(H)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구비한다.
삽입부(22)는, 관통공(H)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관통공(H)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채, 관통공(H)에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삽입부(22)는 관통공(H)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의 높이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통공(H)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적이 원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관통공(H)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관통공(H)의 형상이 각기둥, 호를 포함한 각기둥 또는 비규칙적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2)의 높이가 관통공(H)의 높이와 같은 경우,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합입부와 접촉되면, 삽입부(22)의 밑면은 박막부(30)와 접촉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박막부(30)가 스트로우 등을 통해 관통된 채, 음료용기(B)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남아, 사용자가 보관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박막부(30)에 삽입된 스트로우를 제거하고,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부(20)를 회동시켜, 함입부(143)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때, 회동부(20)에 형성된 삽입부(22)가 관통공(H)에 삽입된 채, 박막부(30)와 접촉되어 관통된 박막부(30)의 일부분을 통해 음료용기(B) 내의 음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삽입부(22)의 단면적의 크기가 관통공(H)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에는, 삽입부(22)의 높이가 관통공(H)의 높이보다 작아도, 삽입부(22)의 관통공(H)으로의 삽입으로 박막부(30)의 관통된 일부분으로의 음용수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측면부(12)는 함입부(143)를 규정하는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함입부(143)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123)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함입부(143)는 포위부(1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므로, 포위부(10)의 폐쇄부(14) 및 측면부(12)에 의해 그 크기 및 형상이 규정된다.
연통부(123)는 함입부(143)를 에워싸는 측면부(12)의 적어도 일부분이 탈락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측면부(12)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입된다.
또한, 연통부(123)를 통해 함입부(143)는 외부로 노출되며, 이는 힌지부(141)를 통한 회동부(20)의 회동과 무관하게 노출이 유지된다.
연통부(123)는, 사용자가 회동부(2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함입부(143)와 접촉된 경우, 회동부(20)는 함입부(143)에 수용된 채, 포위부(10)와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회동부(20)를 재차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시켜 함입부(143)와의 접촉을 해제한 채, 박막부(30)에 스트로우를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뚜껑(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통부(123)를 통해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을 삽입한 채,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회동부(20)의 회동을 구현하도록 한다.
한편, 회동부(20)는, 힌지부(141)를 통해 함입부(143)에 접촉되도록 회동되는 경우, 함입부(143)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24)를 구비한다.
오목부(24)는, 상술한 연통부(123)와의 기능적인 측면과 연결이 닿아있으며, 구체적으로,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함입부(143)에 접촉되는 경우, 함입부(143)와 대향하는 대향면 특히, 연통부(123)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연통부(123)의 기능적인 측면을 배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24)와 연통부(123)에 의해 사용자가 회동부(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확대되어 사용자는 더욱 더 용이하게 회동부(20)를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부(20)가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되어 함입부(143)와 접촉된 경우, 회동부(20)는 함입부(143)에 수용된 채, 포위부(10)와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회동부(20)를 재차 힌지부(141)를 통해 회동시켜 함입부(143)와의 접촉을 해제시킨 뒤, 박막부(30)에 스트로우 등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오목부(24)와 연통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박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1)의 박막부(30)는, 박막 즉, 얇은 막으로 형성되며, 얇은 알루미늄 또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제작된 비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박막부(30)는 스트로우(S) 등으로 가압되었을 경우, 쉽게 관통되는 재질이라면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박막부(30)는, 함입부(143)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회동부(20)가 힌지부(141)로부터 회동되어 함입부(143)와 접촉이 해제된 경우, 관통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박막부(30)는 관통공(H)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채, 함입부(143)의 하측면에접착되며, 이는, 관통공(H)을 제외한 함입부(143)의 하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스트로우(S) 등을 통한 외력에 함입부(143)로부터 이탈되어 관통공(H)을 커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박막부(30)는, 함입부(143)의 하측면의 면적보다는 작고 관통공(H)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박막부(30)는, 외력이 인가되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로 관통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스트로우(S)를 통해 음료용기(B)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음용하기 위해서, 박막부(30)의 일부분을 스트로우(S)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경우, 가압된 박막부(30)는 스트로우(S)의 단면적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관통될 수 있다.
즉, 스트로우(S)의 단면적의 크기만큼 관통된 박막부(30)에 삽입된 스트로우(S)를 통해서 음료용기(B)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관통되지 않은 박막부(30)의 나머지부분을 통해서는 음료용기(B)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박막부(13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1)과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박막부(1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박막부(130)는, 측면부(112)가 형성하는 중공에 삽입된 채, 중공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측면부(112)를 기준으로 회전된다.
박막부(130)는, 중공의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부(112) 내에 형성된 별도의 홈(미도시) 등에 삽입되어 측면부(112)를 기준으로 회전된다.
사용자는, 음료용기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스트로우를 통해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회동부(120)를 회동시켜 외부로 노출된 박막부(130)에 스트로우 등을 삽입하여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음료용기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보관하기 위해 회동부(120)를 재차 회동시켜 박막부(130)가 회동부(120)에 은닉되도록 하는 경우, 스트로우 등에 의해 관통된 박막부(130)가 관통홀(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시킨 채, 회동부(120)에 의해 박막부(130)가 은닉되도록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일 사용을 위해 관통된 박막부(130)가 관통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부(112)를 기준으로 박막부(130)를 회전시켜 관통되지 않은 박막부(130)가 관통공(H)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관통된 박막부(130)를 통해 음료용기 내에 수용된 음용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박막부(130)는, 측면부(112)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음용을 위해 여러 번 스토로우에 의한 관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회동부 및 박막부가 복수 개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은, 제1 함입부(1143) 및 제2 함입부(2143), 제1 회동부(220) 및 제2 회동부(320), 제1 박막부(230) 및 제2 박막부(3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함입부(1143) 및 제2 함입부(2143)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함입부(143)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며, 제1 회동부(220) 및 제2 회동부(32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회동부(20)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고, 제1 박막부(230) 및 제2 박막부(33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박막부(30)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다.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제1 회동부(1143) 및 제1 박막부(230)를 통해 음료용기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회동부(2143) 및 제2 박막부(330)를 통해 음료용기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뚜껑의 회동부(420, 520) 및 회동부가 수용되는 함입부(3143, 4143)의 형상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음료용기 뚜껑
10: 포위부
H: 관통공
12: 측면부
14: 폐쇄부
20: 회동부
30: 박막부

Claims (10)

  1.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결착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용수가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채, 상기 입구부를 포위하는 포위부;
    상기 포위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닉되도록 하는 회동부; 및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포위부에 연결되되, 외력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박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에 상기 원형돌기와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는 원형돌기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의 측면을 포위하는 측면부 및 상기 관통공을 제외한 상기 측면부의 상기 중공을 폐쇄하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상기 회동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회동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관통공이 은닉되도록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와 접촉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와 상기 함입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폐쇄부의 상면과 상기 회동부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공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부는,
    상기 함입부의 하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와 접촉이 해제된 경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박막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함입부를 규정하는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함입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함입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되어 상기 함입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연통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뚜껑.
KR1020170082643A 2017-06-29 2017-06-29 음료용기의 뚜껑 KR20190002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43A KR20190002150A (ko) 2017-06-29 2017-06-29 음료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43A KR20190002150A (ko) 2017-06-29 2017-06-29 음료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50A true KR20190002150A (ko) 2019-01-08

Family

ID=6502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43A KR20190002150A (ko) 2017-06-29 2017-06-29 음료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98Y1 (ko) * 2021-04-12 2021-12-02 고의창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KR102511418B1 (ko)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식음료 병뚜껑
KR102558379B1 (ko) * 2022-02-15 2023-07-24 주식회사 피앤지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KR20240013560A (ko) 2022-07-22 2024-01-30 장명준 식음료 병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98Y1 (ko) * 2021-04-12 2021-12-02 고의창 물배출구 오염이 방지되는 편향물통뚜껑
KR102511418B1 (ko)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식음료 병뚜껑
KR102558379B1 (ko) * 2022-02-15 2023-07-24 주식회사 피앤지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KR20240013560A (ko) 2022-07-22 2024-01-30 장명준 식음료 병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150A (ko) 음료용기의 뚜껑
US10512347B1 (en) Dual-dispensing lid
US6705491B1 (en)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JP2007039039A (ja) 先漏れ防止容器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JP2008094455A (ja) 複数の開口形態を選択できるキャップ
JP3075175B2 (ja) 液体容器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JP2004123143A (ja) 開閉蓋付き粉体容器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JP4184048B2 (ja) 塗布栓
KR200282192Y1 (ko)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KR200279695Y1 (ko) 용기의 가스배출 방지구
JP2019018886A (ja) 蓋取り機能付簡易開閉キャップ
JP3147191U (ja) 潤滑剤用容器
JP3291120B2 (ja) 振り出し容器
JP3270624B2 (ja) 振り出し容器
JP2001278313A (ja) 飲料缶用キャップ
JP2002034643A (ja) 回転開閉式液状物容器
KR20030027931A (ko) 음료용기의 마개
KR100411732B1 (ko) 용기의 가스배출 방지구
JP2008133018A (ja) 包装容器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WO2006054322A1 (en) Plastic bottles and containers with cups incorpor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