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53Y1 - 복공판 채광창 - Google Patents

복공판 채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53Y1
KR200494453Y1 KR2020200002204U KR20200002204U KR200494453Y1 KR 200494453 Y1 KR200494453 Y1 KR 200494453Y1 KR 2020200002204 U KR2020200002204 U KR 2020200002204U KR 20200002204 U KR20200002204 U KR 20200002204U KR 200494453 Y1 KR200494453 Y1 KR 200494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ylight
frame
plate
lower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460U (ko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네이버아이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80002658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91921Y1/ko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아이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아이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2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5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Abstract

복공판 채광창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을 통해 복공판 면적 전체에서 자연채광을 도입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임으로써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하여 조명비용(전기사용 포함)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공판 채광창{SKYLIGHT FOR LINING BOARD}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복공판 채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되거나, 빌딩 등의 철골구조를 갖는 대형 건물에서 철제 빔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노면을 복개하는 경우 하부구조물 위에 철제 빔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이 철제 빔 사이에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도록 시공되며, 그 위로 차량 등이 지나가게 되므로 강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한편, 환기를 위해 기존 복공판에 개공율을 높여 환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종래의 복공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0867호는 강제환기 기능을 갖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태로 제작하여 지하 굴착 시 도로면에 부설하는 가설재인 복공판을 통해서 지하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켜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토록 한 강제환기 기능을 갖는 복공판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판에 상하로 관통된 수개의 통기공과, 복공판의 내측에서 상판에 형성된 수개의 통기공 하측으로 위치토록 고정 설치된 환기팬이 포함되는 복공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공판이 포함하는 구멍들은 채광에 있어서는 작은 구멍에 불과하여, 지하공간 조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채광성능이 거의 없으며,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공사소음 및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구멍을 통해 작은 공사자재가 낙하하여 지하근로자에게 재해를 입히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복공판 면적 전체에서 자연채광을 도입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임으로써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하여 조명비용(전기사용 포함)을 절감할 수 있는 복공판 채광창을 제공한다.
자연채광을 통한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이고, 공사소음 및 먼지의 유출을 최소화하면서도 환기성능을 갖는 복공판 채광창을 제공한다.
자연채광을 통한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이면서도 개구로 인한 추락 및 낙하물 사고 방지가 가능한 복공판 채광창을 제공한다.
복공판 채광창에 있어서, 복공판의 표준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는 사각형의 하부 프레임; 기설정된 길이와 폭을 갖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 상기 상부면에 장착되는 상부 투명 판;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측면 투명 판을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 투명 판은 환기를 위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공판 채광창은 상기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을 통해 지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상기 구멍을 통해 지하로 공급하는 환기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환기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환기설비는 무동력 흡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공판 채광창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둘 이상 측면 각각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낙하물 방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낙하물 방지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투명 판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투명 판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공판 면적 전체에서 자연채광을 도입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임으로써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하여 조명비용(전기사용 포함)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자연채광을 통한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이고, 공사소음 및 먼지의 유출을 최소화하면서도 환기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구로 인한 추락 및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장착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프레임이 포함된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기설비를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기설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사시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100)은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제3 프레임(113) 및 제4 프레임(114)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은 기존 공사현장의 복공판을 대체하여 복공판 채광창(1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복공판의 표준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L)와 폭(D)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L)는 2,000 밀리미터, 폭(D)은 750 밀리미터와 같이 복공판의 표준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하부 프레임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높이(H)는 일실시예로, 1,400 밀리미터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지하시설로의 채광기능에 유리한 높이로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공판 채광창(100)은 제5 프레임(121), 제6 프레임(122), 제7 프레임(123) 및 제8 프레임(124)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면은 하부 프레임의 길이(L)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의 폭(D)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는 복공판 채광창(100)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진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때,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공판 채광창(100)은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31, 132, 133 및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면에는 상부 투명 판(2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들(131, 132, 133 및 134)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들에는 복수의 측면 투면 판들(220, 230, 240, 250)이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사현장의 상판을 이루게 되는 기존에 복공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100)으로 교체함에 따라 복공판 면적 전체(프레임들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에서 자연채광을 도입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임으로써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하여 조명비용(전기사용 포함)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복공판 채광창(100)의 기본적인 형태를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공판 채광창(100)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프레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프레임들은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11, 112, 113 및 114) 중 적어도 두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21, 122, 123 및 124) 중 적어도 두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측면 프레임들(131, 132, 133 및 134) 중 적어도 두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21, 122, 123 및 124) 중 적어도 하나와 측면 프레임들(131, 132, 133 및 134)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추가 프레임,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11, 112, 113 및 114) 중 적어도 하나와 측면 프레임들(131, 132, 133 및 134)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추가 프레임, 또는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21, 122, 123 및 124) 중 적어도 하나와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11, 112, 113 및 114)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추가 프레임이 활용될 수도 있다.
프레임은 복공판 채광창(100)의 경량화를 위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공판 채광창(100)의 경량화와 복공판 채광창(100)이 버틸 수 있는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속이 비어있는 스틸 각파이프를 통해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투명 판(210) 및 복수의 측면 투면 판들(220, 230, 240, 250)은 투명한 재질의 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파손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잘 깨지지 않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장착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에서는 앞서 설명한 복공판 채광창(100)의 설치를 위해, 공사현장의 상판을 이루게 되는 복수의 복공판들 중 하나(제5 복공판)를 들어내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제5 복공판을 들어낸 자리에 앞서 설명한 복공판 채광창(100)을 끼워 넣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공판 채광창(100)의 하부 프레임의 길이(L)와 폭(D)은 복공판의 표준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계되며, 경량의 모듈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인력을 통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사람이 복공판 채광창(100)을 들어 제5 복공판을 들어낸 자리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복공판 채광창(100)이 제5 복공판을 들어낸 자리에 끼워짐에 따라 복공판 채광창(100)을 통해 지하시설로 자연채광이 유입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자연채광이 유입되는 만큼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조명비용(전기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의 사진(600)은 복공판 대신 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 채광창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진(600)의 복공판 채광창은 아직 투명 판(상부 투명 판(210) 및 복수의 측면 투면 판들(220, 230, 240, 250))이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부 프레임이 복공판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됨에 따라 사람이 복공판의 자리에 쉽게 껴 넣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투명 판을 장착하지 않는 경우 사진(60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공판 채광창은 규격화된 복공판개구부 모듈형 안전난간대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공판 채광창의 프레임은 특정 복공판을 들어내야 하는 경우,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프레임이 포함된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복공판 채광창(100)에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프레임들(111 내지 114, 121 내지 124 및 131 내지 134)에 더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추가 프레임들(711 내지 714 및 721 내지 724)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H)는 앞서 설명한 예시에서와 같이 1,400 밀리미터이며, H1과 H2는 각각 600 밀리미터, H3는 200 밀리미터로 제작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추가 프레임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기설비를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복공판 채광창(100)에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면에 환기를 위한 구멍(810)이 뚫리고 구멍(810)에 환기설비(8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환기설비(820)는 하부 프레임으로 인입되는 지하로부터의 공기를 구멍(81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공기를 구멍(810)과 하부 프레임을 통해 지하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환기설비(820)를 복공판 채광창(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복공판 채광창(100)의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121, 122, 123 및 124)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추가 프레임으로서 추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8을 모두 참조하면, 제6 프레임(122)과 제8 프레임(124) 사이에 제1 지지 프레임(831) 및 제2 지지 프레임(832)의 추가 프레임들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환기설비(820)는 이러한 지지 프레임들(831 및 832)과 연결되어 복공판 채광창(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프레임은 환기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기설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통해 설명한 환기설비(820)의 예로서 무동력 흡출기(또는 벤틸레이터(ventilator))를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동력을 이용하여 직접 공기를 인입시키거나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설비(820)가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10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복공판 채광창(100)의 추가 프레임들(711 내지 714)을 통해 낙하물 방지 안전망(1010)이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낙하물 방지 안전망(1010)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복공판 채광창(100)의 다른 추가 프레임들(721 내지 724)을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환기설비(820)가 설치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낙하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도 9를 통해 설명한 무동력 흡출기가 포함하는 틈새를 통해 낙하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낙하물 방지 안전망(1010)은 이러한 낙하물이 지하시설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7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도 11은 측면 프레임(131 및 134)과 추가 프레임(711 및 721)을 통해 설치되는 제1 낙하물 방지 안전망(1110), 측면 프레임(131 및 132)과 추가 프레임(712 및 722)을 통해 설치되는 제2 낙하물 방지 안전망(1120), 측면 프레임(132 및 133)과 추가 프레임(713 및 723)을 통해 설치되는 제3 낙하물 방지 안전망(1130), 그리고 측면 프레임(133 및 134)과 추가 프레임(714 및 724)을 통해 설치되는 제4 낙하물 방지 안전망(1140)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1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들(1110 내지 1140)은 앞서 도 6에서와 같이 투명 판들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공판 채광창(100)이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10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1010)과 도 11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들(1110 내지 1140)이 모두 활용될 수도 있으며, 투명 판들과 도 11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들(1110 내지 1140)이 함께 활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공판 채광창(100)은 복수의 측면 중 둘 이상 측면 각각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낙하물 방지 프레임과 이러한 복수의 낙하물 방지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공판 면적 전체에서 자연채광을 도입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임으로써 지하공간의 조도를 개선하여 조명비용(전기사용 포함)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자연채광을 통한 채광효과를 극단적으로 높이고, 공사소음 및 먼지의 유출을 최소화하면서도 환기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구로 인한 추락 및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상판을 형성하는 복수의 복공판들 중 하나를 대체하는 복공판 채광창에 있어서,
    복공판의 표준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는 사각형의 네 개의 변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기설정된 길이와 폭을 갖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네 개의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
    상기 상부면에 장착되는 상부 투명 판;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측면 투명 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복공판 채광창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복공판들 각각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채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투명 판은 환기를 위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인입되는 지하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상기 구멍과 하부 프레임을 통해 지하로 공급하는 환기설비
    를 더 포함하는 복공판 채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환기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채광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설비는 무동력 흡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채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투명 판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투명 판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채광창.
KR2020200002204U 2018-06-15 2020-06-25 복공판 채광창 KR200494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04U KR200494453Y1 (ko) 2018-06-15 2020-06-25 복공판 채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58U KR200491921Y1 (ko) 2018-06-15 2018-06-15 복공판 채광창
KR2020200002204U KR200494453Y1 (ko) 2018-06-15 2020-06-25 복공판 채광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658U Division KR200491921Y1 (ko) 2018-06-15 2018-06-15 복공판 채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60U KR20200001460U (ko) 2020-07-01
KR200494453Y1 true KR200494453Y1 (ko) 2021-10-15

Family

ID=7152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04U KR200494453Y1 (ko) 2018-06-15 2020-06-25 복공판 채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5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107A (ja) * 1994-04-11 1995-10-24 Ohbayashi Corp 覆工板
KR200459525Y1 (ko) * 2011-07-23 2012-03-28 김태섭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60U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539B (zh) 单元式建筑物系统
KR200494453Y1 (ko) 복공판 채광창
KR200491921Y1 (ko) 복공판 채광창
JP2013147795A (ja) 避難用建物
JP2012067494A (ja) クリーンルームの天井施工方法
JP2008001461A (ja) 籠床照明装置、エレベータ、および籠床照明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414381B1 (ko) 방음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TW522136B (en) Working method for passenger conveyer and curing system for passenger conveyer
JP6112826B2 (ja) 既設共同住宅の改修方法および共同住宅
CN107152099A (zh) 一种不同标高层间隔震结构的设置方法
CN211714639U (zh) 一种架设在建筑外围的钢板网
JP2022180878A (ja) 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解体方法
JP7093023B2 (ja) 照明灯具の設置方法、照明セット、及び、取付板
CN207404662U (zh) 一体式紧凑型轿顶结构
CN207960167U (zh) 一种建筑施工围挡结构
JP2010163747A (ja) ユニット式建物
JP7265709B2 (ja) 設備架台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建物
JP6475999B2 (ja) 建物の天井構造
CN217920935U (zh) 用于装配式施工电梯的转换通道装置
JP2006299572A (ja) 駅のコンコース
CN214831948U (zh) 垂直钢塔斜拉桥安装支架平台
CN211007023U (zh) 一种人防地下室入口结构
CN212078631U (zh) 一种具有拼组缝防护结构的爬架
CN101672114B (zh) 厕所中的无门厕位
JP2018145724A (ja) 防水構造及び防水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84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8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01

Effective date: 202108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