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97Y1 -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 Google Patents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97Y1
KR200494297Y1 KR2020200004441U KR20200004441U KR200494297Y1 KR 200494297 Y1 KR200494297 Y1 KR 200494297Y1 KR 2020200004441 U KR2020200004441 U KR 2020200004441U KR 20200004441 U KR20200004441 U KR 20200004441U KR 200494297 Y1 KR200494297 Y1 KR 200494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mobile phon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휼
Original Assignee
박은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휼 filed Critical 박은휼
Priority to KR2020200004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메인 카메라;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메인화면 액정패널; 펼쳤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본체와 힌지 결합된 폴더체; 상기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을 포함하며, 휴대폰 본체로부터 펼쳐진 폴더체가 360도 회전 가능한 스위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Mobile phone with sub swive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으로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휴대단말로서, 인터넷 접속능력 및 데이터 처리속도가 우수하여 이동하면서 동영상 관람 및 인터넷 서핑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보다 넓은 면적의 화면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응하여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커지면서 대면적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반면에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대형화된 단말 크기가 사용에 불편을 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면적화된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의 소모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구동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 카메라 활용시에 1자형 평면 액정으로 인하여 아래에서 윗방향, 또는 위에서 아래 방향의 사물을 촬영할 때 화면이 잘 보이지 않고 낮은 쪽의 촬영 시에 몸을 쭈그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사진은 빛의 예술인만큼 카메라 각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작품의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8007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 뒷면에 보조 스위블 액정을 창착하여 필요시에 꺼내서 원하는 각도에 맞게 촬영 장면을 보며 찍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메인 카메라;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메인화면 액정패널; 펼쳤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본체와 힌지 결합된 폴더체; 상기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을 포함하며, 휴대폰 본체로부터 펼쳐진 폴더체가 360도 회전 가능한 스위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은, 촬영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을 상기 메인화면 액정패널,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 패널에 표시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은,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폴더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은, 주변의 밝기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폰에 스위블 액정을 장착하면 보다 퀄리티 높은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의 회전각 상태에 따라서 메인 영상 또는 보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별도의 조작없이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장착된 휴대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접혀져 있는 휴대폰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펼쳐져 있는 휴대폰을 도시한 그림.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스위블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장착된 휴대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접혀져 있는 휴대폰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펼쳐져 있는 휴대폰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스위블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스마트폰과 같이 3G, 4G, 5G 등의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휴대폰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3G, 4G, 5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장착된 휴대폰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메인 카메라(120)와,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메인화면 액정패널(110)과, 펼쳤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본체와 힌지 결합된 폴더체와,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이미지를 액정 패널에 표시하는 제어 유닛(150)을 포함하며, 특히 휴대폰 본체로부터 펼쳐진 폴더체가 360도 회전 가능한 스위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휴대폰 뒷면에 보조 스위블 액정을 창착하여 필요시에 꺼내서 원하는 각도에 맞게 촬영 장면을 보며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퀄리티 높은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메인 카메라(120)는,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카메라로서,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하며,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로서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광전 변환 모듈(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메인화면 액정패널(110)은,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OLED패널, 터치스크린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의 경우,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메인화면 액정패널(110)에는,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폴더체는, 펼쳤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본체와 힌지(경첩구조) 결합된 바디체이다. 즉,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폴더체의 내면(전면)에는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위치한다. 즉, 폴더체의 일측면에는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위치한다.
폴더체는, 힌지의 모터 구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해 도 2과 같이 폴더체가 휴대폰 본체와 겹쳐질 수 있으며, 또한 도 3와 같이 폴더체가 휴대폰 본체에서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을 통한 폴더링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이러한 힌지 결합의 기술적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은,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OLED패널, 터치스크린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는,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로부터 펼쳐진 폴더체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 회전 가능한 스위블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스위블(Swivel)이라 함은, 알려진 바와 같이 화면을 180°회전시켜 수첩처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접은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말한다. 따라서 스위블 구조로 동작하는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 열람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 유닛(150)은, 카메라에 내장된 CPU와 같은 연산 수단과 플래시블 같은 메모리 등을 구비한 유닛으로서, 촬영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을 상기 메인화면 액정패널(110),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 패널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장착된 휴대폰은,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카메라(1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 유닛(150)은,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보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한다.
즉,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보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폴더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메인화면 액정패널(110)과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회전각 0°라고 할 때,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의 회전각이 45°미만일 경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는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의 회전각이 45°이상일 경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는 보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의 회전각 상태에 따라서 메인 영상 또는 보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별도의 조작없이도 손쉽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추가적으로 본 고안의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장착된 휴대폰은, 주변의 밝기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유닛(150)은,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보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조도량에 따라서 메인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 또는 보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을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함으로써, 주변의 밝기에 따른 자동 카메라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주변 조도에 의해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될 카메라 자동 선택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책상 구석의 어두운 곳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이 구비된 폴더체를 회전시켜 어두운 책상 구석을 향하게 하면 보조체에 구비된 보조 카메라(140)가 작동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130)에 표시하도록 하여 손쉬운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메인화면 액정패널
120:메인 카메라
130:보조 스위블 액정패널
140:보조 카메라
150:제어 유닛

Claims (5)

  1.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메인 카메라;
    휴대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메인화면 액정패널;
    펼쳤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본체와 힌지 결합된 폴더체;
    상기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
    촬영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을 상기 메인화면 액정패널,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 패널에 표시하는 제어 유닛;
    폴더체의 전면에 마련된 보조 카메라;
    주변의 밝기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휴대폰 본체로부터 펼쳐진 폴더체가 360도 회전 가능한 스위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메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메인 영상과 상기 보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보조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상기 폴더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5. 삭제
KR2020200004441U 2020-12-04 2020-12-04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KR200494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41U KR200494297Y1 (ko) 2020-12-04 2020-12-04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41U KR200494297Y1 (ko) 2020-12-04 2020-12-04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97Y1 true KR200494297Y1 (ko) 2021-09-09

Family

ID=7778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41U KR200494297Y1 (ko) 2020-12-04 2020-12-04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9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3B1 (ko) * 2005-03-10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53947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110136306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138007A (ko)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2258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자동차연구원 외부 환경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3B1 (ko) * 2005-03-10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53947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110136306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138007A (ko)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2258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자동차연구원 외부 환경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0112B2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6205070B2 (ja) カメラの初期位置設定方法、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11050062B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130016960A1 (en) Waterproof Camera
CN113596316A (zh) 拍照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KR200494297Y1 (ko) 보조 스위블 액정패널이 장착된 휴대폰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7053814A (ja) 携帯電話機
CN116782023A (zh) 一种拍摄方法和电子设备
JP2007036636A (ja) 携帯電話端末
JP2007281621A (ja) 撮影装置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75662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촬영모드제어방법
JP2003333141A (ja) 携帯電話装置
JP4188984B2 (ja) 携帯電話機
JP4229956B2 (ja) 携帯電話機
JP4111978B2 (ja) 携帯電話機
JP2011072019A (ja) 携帯電話機
WO2020174911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2051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JP2006108982A (ja) 撮像装置
JP2004173299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