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55Y1 - 샤워 필터 - Google Patents

샤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55Y1
KR200494255Y1 KR2020200000368U KR20200000368U KR200494255Y1 KR 200494255 Y1 KR200494255 Y1 KR 200494255Y1 KR 2020200000368 U KR2020200000368 U KR 2020200000368U KR 20200000368 U KR20200000368 U KR 20200000368U KR 200494255 Y1 KR200494255 Y1 KR 200494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rrel
protrusion pattern
protrusion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800U (ko
Inventor
이대성
정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이공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이공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이공일
Priority to KR202020000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5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샤워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샤워 필터는 바닥과 측면이 밀폐된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형성되고, 용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 상기 커버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배럴 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돌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은 제1 돌출 패턴 및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샤워 필터{Shower filter}
본 고안은 샤워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타민 성분을 유체에 용해시키는 샤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 즉, 원수(原水)에는 소독을 위한 염소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파이프라인의 내부 부식에 따른 녹물과 각종의 이물질이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수기를 사용하여 정화시켜 음용하게 되지만, 샤워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통상적인 샤워기 들에는 여과장치가 없어 이물질이 포함된 원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염소 성분에 의한 냄새와 이물질에 의한 냄새를 가지는 수돗물이 사용자에게 직접 접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원수의 염소 성분 및 이물질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고, 신체에 유용한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는 샤워 필터에 대한 니즈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샤워 필터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부분을 용이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게 제작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등록발명공보 제 10-1712622 호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돗물의 냄새를 제거하고, 신체에 유용한 성분을 수돗물에 추가하고,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샤워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샤워 필터는 바닥과 측면이 밀폐된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형성되고, 용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 상기 커버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배럴 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돌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은 제1 돌출 패턴 및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는 샤워기 내에서 원수에 향기와 각종 유용한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는 배럴 내의 용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 내부에 차 있는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배럴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가 내장되는 샤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샤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의 배럴 및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가 다 사용된 경우의 배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의 배럴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커버의 일부가 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샤워 필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가 내장되는 샤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는 샤워 헤드(200), 연결링(300), 하우징(100) 및 하부 커버(400)를 포함한다.
샤워 헤드(200)는 샤워할 때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샤워 헤드(200)는 샤워기 노즐(230), 샤워 헤드 연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기 노즐(230)은 샤워 헤드(200) 전면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 유체가 분사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샤워 헤드 연결부(210)는 샤워 헤드(200)와 하우징(100)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워 헤드 연결부(210)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커버(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샤워 헤드 연결부(210)와 하우징 커버(110)는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 체결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샤워 헤드 연결부(210)는 내부로 구멍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샤워기 노즐(23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샤워 헤드(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 및 하부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위로는 하우징 커버(110)를 통해서 샤워 헤드(200)와 결합되고, 아래로는 하부 커버(400)와 결합될 수 있다. 단, 샤워 필터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하우징(100)은 하부 커버(400)와 결합되지 않고 유체가 제공되는 호스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링(300)은 하우징(100)과 샤워 헤드(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링(300)은 샤워 헤드(200)의 샤워 헤드 연결부(210)와 하우징 커버(110)의 연결 상태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연결링(300)이 연결부분을 가림으로써, 샤워기 전체의 외관을 통일성 있게 해줄 수 있다.
하부 커버(4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0)는 하부 커버 연결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 연결부(410)는 하우징(100)의 하부 연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30)와 하부 커버 연결부(410)는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 체결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커버(400)는 하우징(100), 연결링(300) 및 샤워 헤드(200)가 사용되지 않고 운반될 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0)는 하우징(100), 연결링(300) 및 샤워 헤드(2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하우징(100)의 하부 연결부(130)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결합하고,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배럴(500) 및 압축 필터(550)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유체는 하우징(100)의 하부 연결부(130) 및 하우징 커버(110)를 통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압축 필터(550) 및 배럴(500)이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압축 필터(550)는 유체를 필터링하여 유체 내부의 특정 성분을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원수인 경우 잔류 염소 성분이 들어있을 수 있다. 압축 필터(550)는 잔류 염소 성분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압축 필터(550)는 클로로포름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원수는 압축 필터(550)에 의해서 내부의 녹물과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압축 필터(550)는 예를 들어, 카본 필터일 수 있다. 압축 필터(550)는 카본을 3중으로 압축하여 천연 활성탄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압축 필터(550)는 강력한 불순물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배럴(500)은 압축 필터(5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배럴(500)은 내부에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500)은 유체가 지나가는 하우징(100) 내에서 용제를 유체에 용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삼투압을 이용하여 용제를 용해시킬 수 있다. 배럴(500)의 용제가 용해된 유체는 하우징 커버(110)를 통해서 도 2의 샤워 헤드(2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 내부 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내부 공간(120)은 상술한 압축 필터(550) 및 배럴(500)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10)는 상부 연결부(111), 상부 연결부 날개(112)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11)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도 2의 샤워 헤드(200)의 샤워 헤드 연결부(210)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연결부(111)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 날개(112)는 상부 연결부(111)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1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 날개(112)는 도 2의 연결링(300)이 끼워지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도 2의 연결링(300)은 상부 연결부 날개(112)에 의해서 하우징(100) 및 샤워 헤드(200) 사이에 고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13)는 하우징(100)의 상면을 덮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13)는 상부 연결부(111)에 의해서 열린 부분을 제외한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의 하부 연결부(13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30)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 연결부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 홀(140)은 도 4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 및 상부 연결부(111)의 홀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의 배럴 및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럴(500)은 바닥면과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 배럴(500)은 내부 공간(530) 및 측면 가이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530)은 배럴(50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으로써, 용제(540)가 수용될 수 있다. 용제(540)는 처음에는 내부 공간(530)을 가득 채우다가, 유체에 의해서 점차 용해됨에 따라서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용제(540)가 줄어드는 경우, 내부 공간(530)은 유체에 의해서 채워질 수 있다. 즉, 용제(540)와 유체는 그 비율이 달라질 뿐, 항상 내부 공간(530)을 채울 수 있다. 만일, 용제(540)가 모두 용해되는 경우에는 유체가 내부 공간(530)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용제(540)는 향기를 가지는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제(540)는 예를 들어, 천연 에센셜 오일 및 비타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제(540)가 용해된 유체는 향기를 가질 수 있다.
측면 가이드(510)는 배럴(5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도 5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내벽은 배럴(500)의 외벽 전부와는 접하지 않고, 측면 가이드(510)와만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측면 가이드(510)에 의해서 배럴(500)이 도 5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중심에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유체는 도 5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내벽과 배럴(500)의 외벽 사이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특히, 도 5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내벽과 배럴(500)의 외벽 사이 중 측면 가이드(510)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520)는 배럴(5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럴(500)의 내부 공간(530)을 관통홀(521)에 의해서 열린 부분을 제외하고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520)와 배럴(500)은
커버(520)는 관통홀(521), 돌출 패턴(522, 523, 524, 525), 인디케이팅 패턴(526) 및 커버 측면(527)을 포함한다. 커버(520)의 상면은 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R3)은 다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제2 영역(R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제3 영역(R3)은 제2 영역(R2)을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영역(R1)의 높이는 제3 영역(R3)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커버(520)의 상면은 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의 형상에 의해서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521)은 커버(5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커버(520)를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521)은 커버(520) 및 배럴(500)에 의해서 밀폐된 내부 공간(530)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배럴(500) 내부에 수용된 용제(540)는 관통홀(521)을 통해서 유입된 유체에 의해서 용해될 수 있다. 용제(540)가 용해된 유체는 다시 관통홀(521)을 통해서 배럴(50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배럴(500)의 외부에서는 도 5의 하우징 내부 공간(120)의 내벽을 따라 유체가 이동하고 있으므로 유체의 수압에 의해서 용제(540)가 용해된 유체가 다시 배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520)의 상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서 배럴(500) 외부의 유체의 경로가 위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제(540)가 용해된 유체가 배럴(500)의 내부 공간(530)에서 외부로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은 커버(520) 상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은 배럴(500)의 측벽에 걸치도록 커버(520)의 외주면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커버(520)는 배럴(500)의 측벽과 결합되어 있지만, 외부에서 특정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커버(520)와 배럴(500)의 연결 부분이 파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520)가 배럴(500)의 내부 공간(530)으로 들어가서 용제(540)가 빠르게 소모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은 커버(520)가 배럴(500)의 측벽 상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은 제1 돌출 패턴(522, 523) 및 제2 돌출 패턴(524, 5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패턴(522, 523)은 제2 돌출 패턴(524, 525)보다 위쪽 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 패턴(522, 523)의 상면은 제2 돌출 패턴(524, 525)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돌출 패턴(522, 523)은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에 걸쳐서 커버(5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출 패턴(524, 525)은 제1 돌출 패턴(522, 52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므로 제3 영역(R3) 및 제2 영역(R2)에 걸쳐서 커버(520)와 연결되되, 제1 돌출 패턴(522, 523)에 비해서 제2 영역(R2)의 더 낮은 부분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돌출 패턴(522, 523) 및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모두 제3 영역(R3)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돌출 패턴(522, 523) 및 제2 돌출 패턴(524, 525)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형성된 영역과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형성된 영역은 각각 단일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형성된 영역과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형성된 영역은 커버(520)의 상면을 구성하는 배타적인 영역일 수 있다. 즉, 커버(520)의 상면은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형성된 영역과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형성된 2개의 영역으로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없고,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있는 영역을 눌렀을 때,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있는 부분만 휘어져 배럴(500)의 내부 공간(530)에 채워진 유체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1 돌출 패턴(522, 523)은 복수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돌출 패턴(522, 523)은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제1 돌출 패턴(522, 523)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제2 돌출 패턴(524, 525)도 복수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2 돌출 패턴(524, 525)은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도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제2 돌출 패턴(524, 525)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제1 돌출 패턴(522, 523) 및 제2 돌출 패턴(524, 525)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은 커버(520)의 상면에 서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 패턴(522, 523, 524, 525)이 n개인 경우, 각각의 돌출 패턴(522, 523, 524, 525) 사이의 각은 360°/n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520) 및 배럴(500)의 재질은 연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즉, 힘을 가하면 커버(520) 및 배럴(500)은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다. 하지만, 외력이 있을 때, 제1 돌출 패턴(522, 523)의 경우에는 연성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두께가 두꺼워 휘어지지 않고, 커버(520)가 배럴(500)의 측벽 상에 지지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제2 돌출 패턴(524, 525)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제1 돌출 패턴(522, 523)보다 약하므로, 외력이 내부 공간(530) 방향으로 가해지면 커버(520)의 일부가 배럴의 측벽보다 아래쪽으로 휘어지게 될 수 있다.
커버 측면(527)은 배럴(500)의 측벽의 상부와 접할 수 있다. 커버 측면(527)은 배럴(500)의 측벽의 상부와 결합되어 있지만,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배럴(500)의 측벽과 파단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인디케이팅 패턴(526)은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아닌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위치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팅 패턴(526)은 커버(520)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디케이팅 패턴(526)은 사용자가 어디를 눌러야 하는지를 안내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가 다 사용된 경우의 배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용제(540)가 유체에 의해서 다 녹아서 사라진 경우에는 내부 공간(530)에는 용제가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내부 공간(530)이 완전히 비어 있는 것은 아니고, 유체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유체는 커버(520)의 관통홀(521)이 미세한 구멍이므로 용이하게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의 배럴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커버의 일부가 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버(520)는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있는 B1 부분(도 8의 인디케이팅 패턴(526)이 있는 부분)에 내부 공간(530)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내부 공간(530)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는 제2 돌출 패턴(524, 525)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휘어짐에 따라서 커버(520)가 배럴(500)의 측벽에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제2 돌출 패턴(524, 525)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제1 돌출 패턴(522, 523)은 B1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당연히 커버(52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B2 부분에 외력이 잘못 가해져도 커버(52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오히려, B1 부분에 외력이 가해질 때, 제1 돌출 패턴(522, 523)이 형성된 영역이 커버(520)를 지지하면서 커버(520)가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용제(540)가 다 소모된 배럴(500)은 용제(540)가 가득 찬 새로운 배럴(500)로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제(540)가 다 소모된 배럴(500)은 폐기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배럴(500) 및 커버(5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에 유체가 가득 차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럴(500)과 커버(520)를 그대로 재활용을 위한 분리 수거에 이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 필터는 약간의 외력만으로 배럴(500)의 커버(520)가 배럴(500)의 측벽과 일부 분리되어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게 하므로 배럴(500)과 커버(520)를 쉽게 재활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인디케이팅 패턴(526)이 있는 영역(제2 돌출 패턴(524, 525)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을 눌러 배럴(500)의 내부 공간(530)에 채워진 유체를 제거하고 재활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샤워 필터는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의 형상으로 판매될 수 있다. 도 1의 샤워 헤드(200)는 1회용이 아니므로 소비자가 굳이 도 1의 샤워 헤드(200)를 계속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7의 용제(540)가 채워진 배럴(500)과 하우징(100), 하부 커버(400) 및 연결링(300) 만을 샤워 필터 교체 모듈에 포함시킬 수 있다.
대신,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은 하우징(100)의 하우징 커버(1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그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교체 모듈 커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체 모듈 커버(600)는 하우징 커버(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결링(300)은 하우징(100)과 교체 모듈 커버(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교체 모듈 커버(600)는 구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교체 모듈 커버(600)는 교체 모듈 커버 연결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체 모듈 커버 연결부(610)는 하우징 커버(110)와 직접 결합하는 부분일 수 있다. 교체 모듈 커버 연결부(610)와 하우징 커버(110)는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 체결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서, 샤워 필터 교체 모듈은 외부의 오염물로부터 오염없이 운송되고,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우징
200: 샤워 헤드
300: 연결링
400: 하부 커버
500: 배럴
600: 교체 모듈 커버

Claims (10)

  1. 바닥과 측면이 밀폐된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형성되고, 용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
    상기 커버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배럴 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돌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1 돌출 패턴 및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돌출 패턴은 상기 배럴의 측벽에 걸치도록 상기 커버의 외주면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샤워 필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영역,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영역 및 평평하게 형성된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 패턴은 상기 제3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샤워 필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면에 상기 제1 돌출 패턴보다 상기 제2 돌출 패턴과 더 인접하게 형성된 인디케이팅 패턴을 더 포함하는
    샤워 필터.
  4. 바닥과 측면이 밀폐된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형성되고, 용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
    상기 배럴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
    상기 커버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배럴 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돌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은 제1 돌출 패턴 및 제2 돌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돌출 패턴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커버가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눌릴 때, 상기 제2 돌출 패턴은 구부러져 상기 커버의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커버와 상기 배럴 사이의 이격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눌릴 때, 상기 제1 돌출 패턴은 구부러지지 않아 상기 커버의 나머지 일부를 상기 배럴 상에 지지하도록 하는
    샤워 필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유체가 공급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출입하는 유체에 의해서 용해되어 상기 상부 연결부로 상기 유체와 같이 배출되는
    샤워 필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샤워 헤드를 더 포함하는
    샤워 필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용제가 용해되어 점차 줄어들면 상기 유체로 점차 채워지는
    샤워 필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인
    샤워 필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의 개수는 n개이고,
    상기 돌출 패턴 사이의 사이각은 360/n으로 균일한
    샤워 필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 패턴의 개수는 서로 동일한
    샤워 필터.
KR2020200000368U 2020-01-29 2020-01-29 샤워 필터 KR200494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68U KR200494255Y1 (ko) 2020-01-29 2020-01-29 샤워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68U KR200494255Y1 (ko) 2020-01-29 2020-01-29 샤워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00U KR20210001800U (ko) 2021-08-06
KR200494255Y1 true KR200494255Y1 (ko) 2021-09-06

Family

ID=7731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68U KR200494255Y1 (ko) 2020-01-29 2020-01-29 샤워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78B1 (ko) 2021-10-25 2022-03-08 주식회사 스킨맨션 비타민이 내장된 샤워 필터 장치
KR20230145688A (ko) 2022-04-11 2023-10-18 (주)한중커머스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726A (ja) * 2003-12-18 2005-07-07 Takayasu Okubo 水道水改質剤の供給方法
KR101876211B1 (ko) * 2017-05-08 2018-07-09 박미숙 배출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용기
KR101993535B1 (ko) * 2017-12-05 2019-06-26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718A (ko) * 2003-12-15 2005-06-21 박재현 용기 뚜껑 및 그를 가지는 용기
KR200463844Y1 (ko) * 2011-03-17 2012-11-28 강창순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1712622B1 (ko) 2016-02-25 2017-03-22 (주)흰여울누리 철분 제거가 가능한 기능성 샤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726A (ja) * 2003-12-18 2005-07-07 Takayasu Okubo 水道水改質剤の供給方法
KR101876211B1 (ko) * 2017-05-08 2018-07-09 박미숙 배출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용기
KR101993535B1 (ko) * 2017-12-05 2019-06-26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78B1 (ko) 2021-10-25 2022-03-08 주식회사 스킨맨션 비타민이 내장된 샤워 필터 장치
KR20230145688A (ko) 2022-04-11 2023-10-18 (주)한중커머스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00U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2654B2 (en) Water bottle with filter
KR200494255Y1 (ko) 샤워 필터
US10160661B2 (en) Portable, dual-orifice filtered water dispenser
JP4526181B2 (ja) 空ペットボトル用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30118760A (ko)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US20090184042A1 (en) Filter device
JP5475740B2 (ja) 浄水器、および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102408119B1 (ko) 필터의 교체구조가 개선된 샤워기용 헤드
KR101869389B1 (ko) 휴대용 정수기
CN102040257A (zh) 水净化装置
KR200444043Y1 (ko) 점안제 케이스
KR20170001279A (ko) 리필형 세정용품 용기
JP2008023424A (ja) 浄水ポット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CN108430935B (zh) 便携式碱性还原水生成装置
JP4034455B2 (ja) ガス抜き治具付きスプレー缶
KR102380908B1 (ko) 필터 카트리지, 이를 구비하는 정수 필터 조립체 및 휴대용 정수 물통
JP2007099387A (ja) 浄化層ユニット弁
KR101556528B1 (ko) 세제용기
JP3153867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
KR20170010944A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CN220640935U (zh) 一种带过滤器的桶装水瓶口结构
KR20110011725U (ko) 점안제 케이스
KR20100008472A (ko) 정수기의 필터모듈 및 그 체결구조
KR20170004404U (ko) 막으로 구분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