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07Y1 -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07Y1
KR200494207Y1 KR2020200000424U KR20200000424U KR200494207Y1 KR 200494207 Y1 KR200494207 Y1 KR 200494207Y1 KR 2020200000424 U KR2020200000424 U KR 2020200000424U KR 20200000424 U KR20200000424 U KR 20200000424U KR 200494207 Y1 KR200494207 Y1 KR 200494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angle
piece
coil spr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832U (ko
Inventor
이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진피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진피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진피엘에스
Priority to KR202020000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0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0Hat holders; Hat rac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 옷이나 가방등을 거는 걸이부재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가변시킬수 있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걸이부재의 각도를 가변시킬수 있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중공부를 갖는 원통관체와, 상기 원통관체의 일측면에 걸림턱과 경사부를 구성된각도조절부가 등간격을 다수개 형성된 반원형상의 기판을 포함하는 홀더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각도조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관통되어 상부에 코일스프링이 부가되어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걸이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각도조절부는 작동편을 구성하는 절취부가 정합되는 걸림턱과; 상기 작동편이 상부로 서서히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가 반복해서 원주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Hanger unit angle control device for hanger}
본 고안 옷이나 가방등을 거는 걸이부재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가변시킬수 있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옷이나 모자등을 거는 걸이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가변시킬수 있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가정이나 식당,사무실등에서 사용되는 옷걸이는 고정지주에 옷을 거는 걸이부가 일체로 성형된 홀더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걸이부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걸이구의 각도를 가변시킬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기능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다.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또 디자인을 다양화할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44452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옷을 거는 걸이부재의 각도를 자유지재로 변경가능토록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중공부를 갖는 원통관체와, 상기 원통관체의 일측면에 걸림턱과 경사부를 구성된각도조절부가 등간격을 다수개 형성된 반원형상의 기판을 포함하는 홀더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각도조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관통되어 상부에 코일스프링이 부가되어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걸이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각도조절부는 작동편을 구성하는 절취부가 정합되는 걸림턱과; 상기 작동편이 상부로 서서히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가 반복해서 원주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각도조절부는 작동편에 형성된 절취부가 정합되는 걸림턱과; 작동편이 상부로 서서히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가 원주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기판의 외주면에는 걸이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편이 결합되는 반원형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는 저면의 일측면에 직각으로 절취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라우딩부와 상부의 일측면에 걸이부재에 설치된 탄성편이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보다 직경이 작고 외측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안치부와;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의 상부에 브라켓트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직방형상의 요동방지편이 형성된 작동편과;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작동편에 탄성이 부여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요동방지편이 삽입되는 상판과,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가동체의 상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취부판을 포함하는 브라켓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걸이부재에 부가된 작동편이 기판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각도조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면서 걸이부재의 각도가 가변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뿐만이 아니라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걸이부재를 좌측기판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기판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탄성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작동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작동편이 경사부의 상사점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작동편이 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작동편이 돌출편의 상면에 놓인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을 고정지주에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상태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걸이부재를 좌측기판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기판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탄성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작동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작동편이 경사부의 상사점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작동편이 기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작동편이 돌출편의 상면에 놓인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지주(50)에 삽입되어 일정부위에 고정되는 홀더(10)와; 상기 홀더(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걸이부재(20)와; 상기 걸이부재(20)에 부설되어 기판에 형성된 각도조절부(5)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걸림턱(5a)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편(24)을 포함하는 작동부재(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홀더(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관체(3)와 기판(8)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원통관체(3)는 고정지주(5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부(2)가 형성되고, 이 원통관체(3)의 외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기판(8)은 반원형상으로 원통관체(3)의 일측 또는 양쪽에 각각 배설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기판(8)은 내측에 볼트(11)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4)이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체결공(4)의 외측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형성된 각도조절부(5)는 수직선상으로 형성된 걸림턱(5a)과, 이 걸림턱(5a)에서 외측으로 향하면서 경사부(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5a)에는 작동편(24)의 하부에 형성된 절취부(21a)가 정합되고, 이 걸림턱(5a)에서 외측으로 향하면서 높아지는 경사부(5b)는 작동편(24)을 상부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부(5)의 일측에는 도 5에 예시한 작동편(24)을 구성하는 안착홈(21b)에 결합된 탄성편(14)을 해제시키는 스토퍼(7)가 배설되고, 타측에는 작동편(24)을 상부로 상승시켜 걸이부재(20)에 고정설치된 탄성편(14)을 안착홈(21b)에 정합시키기 위한 돌출편(9)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기판(8)의 외주면에는 걸이부재(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편(18)이 결합되는 반원형상의 안내돌기(8a)를 더 부가하므로서 걸이부재(20)의 안정적으로 작동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홀더(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관체(3)의 양측에 기판(8)을 배설하는 것뿐만 아니라 원통관체(3)의 좌측이나 우측의 어느 일측에만 기판(8)을 부가한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걸이부재(20)와 기판(8)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1)와 너트(11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임의의 각도로 가변되는 걸이부재(20)는 도 1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볼트(11)가 삽입되는 체결공(11b)과, 이 체결공(11b)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작동편(24)을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공(12)이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12)의 외측에 부설되어 작동편(24)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홈(21b)에 결합 및 분리되는 탄성편(14)이 고정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20)는 외측단부에 옷이나 가방등을 걸수있도록 기판(8)의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저면에는 기판(8)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8a)와 정합되어 걸이부재(20)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상,하작동을 도모하게 되는 지지편(18)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고정편(24)을 구성하는 안착홈(21b)에 결합 및 분리되는 탄성편(1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20)의 상면에 삽입고정되어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면에 사각체결부(14b)가 형성된 두부(14a)와, 이 두부(14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내측편(14c)과, 이 내측편(14c)의 외측에는 이를 받쳐주는 지지편(14d)을 더 부가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에 삽입되어 브라켓트(27)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30)의 구성은 작동편(24과, 이 작동편(24)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25)과, 상기 작동편(24)을 걸이부재(20)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트(27)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편(24)은 도 5에서와 같이, 일측면에 직각으로 절단된 절취부(21a)와 타측면에 라우딩부(21c)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탄성편(14)을 결합하기 위한 안착홈(21b)이 형성된 하부체(21)와, 상기 하부체(21)의 상면에 코일스프링(25)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안치부(22)와,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22)의 상부에 배설되는 요동방지편(23)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하부체(21)에 형성된 절취부(21a)는 기판(8)에 배설되어 있는 각도조절부(5)를 구성하는 걸림턱(5a)에 면접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라운딩부(21c)는 경사부(5b)를 따라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며,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21b)에는 전술한 탄성편(14)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스프링 안치부(22)는 작동편(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 외측에는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25)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22)의 상면에는 직방형상의 요동방지편(23)이 부가된 것으로서, 이 요동방지편(23)은 브라켓트(27)에 형성된 직방형의 통공(27a)에 삽입되어 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2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5)은 도6과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작동편(24)이 경사부(5b)를 따라 상승시에는 수축하고, 또 작동편(24)이 걸림턱(5a)에 정합하기 위해 하강시에는 확대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24)을 걸이부재(20)에 일체로 결합하게 되는 브라켓트(27)는 작동편(24)을 구성하는 요동방지편(23)을 삽입하기 위한 직방형상의 통공(27a)이 형성된 상판(27b)과, 이 상판(27b)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부(27c)와, 이 수직부(27c)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피스에 의해 걸이부재(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취부판(27d)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원통관체(3)의 일측에 기판(8)이 형성된 홀더(10)와, 이 기판(8)에 일측이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걸이부재(20)와, 이 걸이부재(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에 수직선상으로 결합되는 작동편(24)과, 이 작동편(24)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25)과, 이 작동편(24)을 고정하는 브라켓트(27)를 포함하는 작동부재(30)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기판(8)에 걸이부재(20)와 작동부재(3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홀더(10)를 고정지주(50)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으로 걸이부재(2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작동부재(30)를 구성하는 작동편(24)은 각도조절부(5)를 구성하는 걸림턱(5a)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이동하므로서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편(24)은 경사부(5b)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코일스프링 안치부(22)에 부가된 코일스프링(25)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다.
또한 작동편(24)이 경사부(5b)의 상사점을 벗어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편(24)이 하강하면서 절취부(21a)가 걸림턱(5a)에 정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판(8)의 외측에 방사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각도조절부(5)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면서 각도가 가변되는 걸이부재(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8과 같이 걸이부재(20)를 각도조절부(5)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작동편(24)이 기판(8)에 부설된 돌출편(9)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정높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편(24)은 돌출편(9)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안착홈(21b)이 걸이부재(20)의 외측으로 노출함과 동시에 걸이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판스프링(14)이 안착홈(21b)에 정합되어 걸이부재(20)가 아무런 간섭을 받지않고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편(24)이 기판(8)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걸이부재(2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편(14)의 단부가 스토퍼(7)와 면접촉되면서 분리되면 코일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작동편(24)이 하강하여 외측면에 형성된 절취부(21a)가 걸림턱(5a)에 안착되므로서 걸이부재(20)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작동되는 본 고안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를 구성하는 고정지주(50)에 다양하게 고정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 고정지주(50)에 설치되는 홀더(10)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통관체(3)의 양측만이 아니라 어느 일측에만 기판(8)이 형성된 것을 임의로 배설하여 사용을 다양화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판(8)에 부설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각도가 가변되는 걸이부재(20)에는 옷이나 가방등을 걸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이부재(20)는 각도조절부(5)를 구성하는 걸림턱(5a)에는 작동부재(30)를 구성하는 작동편(24)에 형성된 절취부(21a)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면서 걸이부재(20)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가변시키면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 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3 : 원통관체 8 : 기판 10 : 홀더 20 : 걸이부재 24 : 작동편
25 : 코일스프링 27 : 브라켓트 30 : 작동부재 50 : 고정지주

Claims (4)

  1. 중공부를 갖는 원통관체와, 상기 원통관체의 일측면에 걸림턱과 경사부를 구성된각도조절부가 등간격을 다수개 형성된 반원형상의 기판을 포함하는 홀더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각도조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삽입관통되어 상부에 코일스프링이 부가되어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걸이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각도조절부는 작동편을 구성하는 절취부가 정합되는 걸림턱과; 상기 작동편이 상부로 서서히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부가 반복해서 원주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주면에는 걸이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편이 정합되는 반원형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저면의 일측면에 직각으로 절취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라우딩부와 상부에는 걸이부재에 설치된 탄성편이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보다 직경이 작고 외측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안치부와;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의 상부에 브라켓트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직방형상의 요동방지편이 형성된 작동편과; 상기 코일스프링 안치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작동편에 탄성이 부여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요동방지편이 삽입되는 상판과,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걸이부재의 상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취부판을 포함하는 브라켓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가동부재의 각도조절장치.

KR2020200000424U 2020-02-04 2020-02-04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KR200494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24U KR200494207Y1 (ko) 2020-02-04 2020-02-04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24U KR200494207Y1 (ko) 2020-02-04 2020-02-04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32U KR20210001832U (ko) 2021-08-12
KR200494207Y1 true KR200494207Y1 (ko) 2021-08-26

Family

ID=7731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24U KR200494207Y1 (ko) 2020-02-04 2020-02-04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0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6084B2 (ja) * 1993-10-21 2003-01-14 横田 昌彦 アーム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ハンガー掛け
KR100244452B1 (ko) 1997-02-06 2000-02-01 김영환 데이터 오류체크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32U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680B1 (en) Height-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JP2007537378A5 (ko)
KR200494207Y1 (ko)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KR1018672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봉 조립체
KR200426704Y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0539367B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336943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0331920Y1 (ko)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212241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낚싯대용 받침구
KR0139186Y1 (ko) 옷걸이용 포스트
KR10262198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101088619B1 (ko) 의자에 있어서의 행거 장치
JP3228801U (ja) パーテーションユニット
CN217978683U (zh) 一种便于浮云灯安装的减震锁扣
KR200269754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위치 조정장치
EP4345206A1 (en) Base devi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0392950Y1 (ko) 의류걸이대
KR200190309Y1 (ko) 높이조절식 칠판
KR200426958Y1 (ko) 의자의 팔걸이
KR200265290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JPS6331650Y2 (ko)
KR200247104Y1 (ko)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길이조절장치
KR200149435Y1 (ko) 책상부착용 전선캡
KR200253642Y1 (ko) 조립식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910005348Y1 (ko) 리모콘 송신기의 보관 및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