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309Y1 - 높이조절식 칠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식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309Y1
KR200190309Y1 KR2020000005852U KR20000005852U KR200190309Y1 KR 200190309 Y1 KR200190309 Y1 KR 200190309Y1 KR 2020000005852 U KR2020000005852 U KR 2020000005852U KR 20000005852 U KR20000005852 U KR 20000005852U KR 200190309 Y1 KR200190309 Y1 KR 200190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lackboard
board
movab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5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교실벽체에 소정거리만큼 격리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50)(50)와, 이 고정부재(50)(50)의 사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판서면(11)을 보유하는 이동부재(10)로 이루어진 칠판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0)와 각각 인접하는 고정부재(50)의 일측에는 개방부(33)가 형성된 리테이너(31)를 상하방향에 걸쳐서 설치하고, 이 리테이너(31)에 대응하는 이동부재(10)의 양측면에는 상기 리테이너(31)의 개방부(33)를 통하여 리테이너(3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하는 슬라이드부재(32)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높이조절식칠판으로서 상기 이동부재(10)와 고정부재(50)외에 보조칠판등과 같은 별도의 부속물품을 내장하지 않도록 최소폭으로 설계된 칠판형태에 적합하며 승강가이드 수단이 칠판외부에 설치되므로써 유지보수가 대단히 간편하다.

Description

높이조절식 칠판{Moving board up and down}
10 - 이동부재 11 - 판서면
12 - 칠판후레임 20 - 승강균형수단
30 -승강가이드수단 31 - 리테이너
32 - 슬라이드부재 33 - 개방부
34 - 연결부재 50 - 고정부재
70 - 연결부재
본 고안은 학교 교실,강의실 등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칠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칠판의 승강목적물을 사용자가 극히 작은 힘만으로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희망하는 정지위치 어디에나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식칠판에 관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교실이나 강의실 등의 정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칠판은 벽면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없었다. 그러나 칠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칠판의 높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편리하게 칠판을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칠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칠판들이 몇몇 형태로 개발 되어 왔다.
그 한 예로써 종래에는 높이조절식칠판의 승강균형장치로 중량추 방식이나 또는 스프링을 이용한 승강 수단이 채용되었다. 이러한 승강균형수단을 좀더 알기 쉽게 설명하면, 칠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하로 오르내리면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려면 칠판의 실제 동작부분(이하 승강목적물이라 약칭함)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하강하려는 칠판 자중에 대하여 그 반대쪽으로 저항하려는 동등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서 승강균형수단이라 부른다. 그런데 상기 승강목적물을 안정적으로 정숙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균형수단 이외에 별도의 승강가이드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 승강가이드수단은 이름 그대로 상기 목적물이 상하이동할 때 흔들림에 의한 충격에너지나 과도한 접촉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승강목적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활을 담당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승강가이드수단으로서 고정틀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봉재에 리니어베어링을 끼워 조합시키고 상기 리니어베어링 하우징에 승강목적물을 연결한 것을 주로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의 승강 가이드수단은 고가일 뿐 만 아니라 조립공정상 정밀시공이 요구되는 등 여러가지 폐단이 뒤따랐다.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승강가이드수단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목적물이 되는 이동부재의 양단부(兩端部)와 이와 마주 대면하고 있는 고정부재(예컨대 고정칠판 또는 교실 벽체) 사이에,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수납하는 리테이너를 각각 설치하므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리테이너를 통하여 상하로 안내되도록 이루어진 승강가이드수단이다.
도면1은 본고안은 높이조절식칠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2는 칠판본체 일부를 절개한 본고안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교실벽체에 소정거리만큼 격리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50)(50)와, 이 2개의 고정부재(50)(50) 사이의 공간부에 고정부재(50)(50)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판서면(11)을 보유하는 이동부재(10)로 이루어진 칠판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0)와 각각 인접하는 고정부재(50)의 일측에는 개방부(33)가 형성된 리테이너(31)를 상하방향에 걸쳐서 설치하고, 이 리테이너(31)에 대응하는 이동부재(10)의 양측면에는 상기 리테이너(31)의 개방부(33)를 통하여 리테이너(3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하는 슬라이드부재(32)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호 20는 이동부재(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힘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승강균형수단이다.
이러한 고안에서 이동부재(10)라 함은 실제로 상하이동하는 승강목적물을 의미하며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칠판의 다른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원내에 도시하고 있는 평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승강가이드수단(30)은 이동부재(10)의 양옆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보조칠판)(50)의 인접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기다랗게 설치되는 리테이너(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31)는 도2에서 검게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으로서 가운데를 개방부(33)로 형성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재(50)와 인접하는 이동부재(10)의 상대위치에는 슬라이드부재(32)가 설치되는데, 이 슬라이드부재(32)는 상기 개방부(33)를 통하여 리테이너(31)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2)는 도2에서 점(Dot)으로 표시하여 다른부분과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2)는 2줄로 나란히 배열되는 보울(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보울(34)은 리테이너(31)의 양단에 절곡 형성한 둥근 내벽을 따라서 외부로 탈락하지 않고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것 처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0)의 양옆에 설치되는 고정부재(50)는 실제로 이동부재(10)의 하중과 동등한 힘의 평형력을 보유하도록 균형추로 이루어진 승강균형수단(20)의 수납공간의 역활을 하게되며, 이 고정부재(50)의 외표면에는 P.V.C발포재 등을 외장시켜서 게시판 등의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재(10)는 연결부재(70)에 의하여 승강균형수단(20)에 연결지지 되게 된다.
이와같은 본고안은 구름부재인 보울(34)의 배열이 서로 마주보는 리테이너(31)의 양쪽 내벽을 따라서 상하이동 하도록 되어 있는 까닭에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서 슬라이드 보조칠판등과 같은 칠판부속물품을 칠판내부에 배치하지 않도록 이동부재(10)의 규격사양을 최소폭으로 설계한 칠판형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승강가이드수단이 칠판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이동부재(1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교실벽체에 소정거리만큼 격리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50)(50)와, 이 고정부재(50)(50)의 사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왕복이동 가능하며 설치되며 판서면(11)을 보유하는 이동부재(10)로 이루어진 칠판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0)와 각각 인접하는 고정부재(50)의 일측에는 개방부(33)가 형성된 리테이너(31)를 상하방향에 걸쳐서 설치하고, 이 리테이너(31)에 대응하는 이동부재(10)의 양측면 개소에는 상기 리테이너(31)의 개방부(33)를 통하여 리테이너(3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하는 슬라이드부재(32)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칠판
KR2020000005852U 2000-03-02 2000-03-02 높이조절식 칠판 KR200190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52U KR200190309Y1 (ko) 2000-03-02 2000-03-02 높이조절식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52U KR200190309Y1 (ko) 2000-03-02 2000-03-02 높이조절식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309Y1 true KR200190309Y1 (ko) 2000-07-15

Family

ID=1964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852U KR200190309Y1 (ko) 2000-03-02 2000-03-02 높이조절식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278B1 (en) Lifting support structure
JPS6224647B2 (ko)
DK1389931T3 (da) Siddemöbel til stötte for et legeme eller en legemsdel
KR200190309Y1 (ko) 높이조절식 칠판
EP1209318A3 (en) Shifting weight bottom rail
KR20000017391U (ko) 승하강칠판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JP3706266B2 (ja) 免震台
KR200325316Y1 (ko) 가이드포스트형 옷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195216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인출식 보조책상
KR200399530Y1 (ko) 고정식 의자의 슬라이딩장치
KR19990047605A (ko) 움직이는 흑판
JP3113199U (ja) 引き戸の振れ止め具
US5322347A (en) Head rest apparatus
KR200337067Y1 (ko)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한 책상
KR95002643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흑판의 승가 안내장치
JP3092706U (ja) 液晶モニターの昇降装置
KR920008295A (ko) 모듈 간막이벽 장치내에 일체구성 가능한 옷장류 배열요소
KR970061551A (ko) 승하강 개폐칠판의 다단계 승강위치 결정장치
JPS63178542U (ko)
KR930004314B1 (ko) 흑판 높이 조절장치
KR980007087U (ko) 승하강 개폐칠판
KR20210001832U (ko)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KR200364724Y1 (ko) 전자 칠판이 구비된 교습 장치
KR860003533Y1 (ko) 터미널의 화면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