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90Y1 -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90Y1
KR200265290Y1 KR2020010036858U KR20010036858U KR200265290Y1 KR 200265290 Y1 KR200265290 Y1 KR 200265290Y1 KR 2020010036858 U KR2020010036858 U KR 2020010036858U KR 20010036858 U KR20010036858 U KR 20010036858U KR 200265290 Y1 KR200265290 Y1 KR 200265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pedestal
height
piec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김형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득 filed Critical 김형득
Priority to KR2020010036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90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걸이 본체의 구성이 편평한 편철로 구성된 경우에도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팔걸이 본체(200)상에 받침대(300)가 높낮이 조정가능케 결합구성하여서 된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본체(200)의 상단에 구성된 장공(230)에 걸림돌기(242)와 걸림홈(243)으로 구성된 고정체(240)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체(240)의 공간부(241)에 공간부(252) 및 안내돌기(251)로 구성된 유동편(250)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240)과 유동편(250)사이에는 받침대(300)의 작동공(313)에 끼워진 걸림봉(315)이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 rest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용 팔걸이 본체의 형상이 원통형 관체가 아닌 편평한 편철상태의 의자용 팔걸이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종류에 따라 좌판 양측부에 구성된 팔걸이 받침대는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따라 높낮이 조정이 가능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은 대체로 팔걸이 본체의 형상이 원통형 관체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본 고안의 팔걸이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팔걸이의 본체가 편철형태인 경우에는 높낮이 조정장치의 설치가 매우 제한적으로 구성되어지고 있다.
한 예로서 팔걸이본체에 받침대를 승강가능케 결합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의 측부중앙에 작동레버를 설치하여,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할 경우 작동레버를 당겨올린 상태에서 받침대를 당겨올리거나 내려 높이가 조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경우 팔걸이에 구성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작동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받침대를 당겨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이중의 동작이 필요하게 되므로 조작이 번거러운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의자용 팔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를 구성하는 본체의 형상이 편평한 편철인 경우에도 본체에 결합된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이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의 본체상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편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고정편내에는 다수의 안내돌기가 구성된 유동편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편과 유동편사이에는 받침대의 본체 작동공에 끼워진 걸림봉이 결합되게 하므로서 받침대를 잡아 당겨올리면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구성된 걸림돌기와 안내돌기에 안내되어 단계적으로 높이가 조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의자용 팔걸이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팔걸이 본체의 장공에 끼워진 상태도.
도 4 : 본 고안의 팔걸이에 구성된 받침대의 측면구성도로서 일부 파절한 상태도.
도 5 : 본 고안의 팔걸이에 구성된 받침대의 작동공부분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에 구성된 팔걸이 본체의 측면구성도.
도 7 : 본 고안의 팔걸이 본체의 장공에 결합되는 고정편의 측면구성도.
도 8 : 본 고안의 고정편에 결합되는 유동편의 측면구성도.
도 9 : 본 고안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안내되어 작동하는 상태도.
도 10 : 본 고안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안내되어 작동하는 상태도.
도 11 : 본 고안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안내되어 작동하는 상태도.
도 12 : 본 고안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안내되어 작동하는 상태도.
도 13 : 본 고안 받침대에 결합된 걸림봉이 고정편과 유동편에 안내되어 작동하는 상태도.
도 14 : 본 고안 팔걸이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팔걸이 (200)--본체
(210)--브라켓 (220)--체결공
(230)--장공 (240)--고정편
(241)--공간부 (242)--걸림돌기
(243)--걸림홈 (244)--탄성안내간
(250)--유동편 (251)--안내돌기
(252)--공간부 (300)--받침대
(310)--삽입관체 (311)--삽입공간부
(312)--지지돌편 (313)--작동공
(314)--확개공 (315)--걸림봉
(316)--마개 (320)--지지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에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의자용 팔걸이(100)의 사시도로서, 편평한 편철로 구성된 본체(200)에 받침대(300)가 승강가능케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00)와 받침대(300)의 구성 및 이들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체(200)는 도6에서와 같이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편철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200) 하단에는 본체(200)를 의자(400)의 좌판(410)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210)을 절곡구성하되, 상기 브라켓(210)에는 체결공(220)이 뚫려 있고, 본체(200)상단에는 장공(230)이 뚫려 있다.
상기 장공(230)에는 도7에서와 같이 구성된 고정편(240)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되, 상기 고정편(240) 내에는 공간부(241)가 형성되게 하고, 공간부(241)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돌기(242)를 상향 경사지게 구성하므로서 그 사이에 걸림홈(243)이 형성되어 있고, 공간부(241) 최상단에는 탄성안내간(244)이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구성의 고정편(240)에 구성된 공간부(241)에는 다시 도8에서와 같이 탄성있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유동편(250)을 끼워 결합하되, 유동편(250) 일측에는 하향경사진 안내돌기(251)가 등간격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상기 안내돌부(251)가 고정편(240)에 구성된 각 걸림돌기(242)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며, 상기 유동편(250) 내에는 공간부(252)가 형성되게 하여 자체 탄성이 부여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체(200)의 장공(230)에 고정편(240)과 유동편(250)이 차례로 조립되게 한 상태에서 도2에서와 같이 본체(200)외면에 받침대(300)가 승강가능케 끼워져 결합되게 하되, 상기 받침대(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4에서와 같이 받침대(300)는 삽입관체(310)와 지지체(320)로 구성되어 있고, 삽입관체(310)내에는 다수의 지지돌편(312)이 형성된 삽입공간부(31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311)에 팔걸이본체(20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삽입관체(310) 중앙에는 도5에서와 같이 작동공(313)이 관통설치되게 하되, 작동공(313) 양측단부에는 확개공(314)이 뚫려져 있고, 작동공(313)에는 걸림봉(315)이 결합되게 한 다음 확개공(314)에 마개(316)를 끼워 걸림봉(31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받침대(300)의 작동공(313)에 끼워진 걸림봉(315)은 팔걸이본체(200)의 장공(230)에 결합된 고정체(240)와 유동체(250)사이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받침대(300)를 윗쪽으로 잡아당겨올리면 걸림봉(315)이 고정편(240)에 구성된 걸림홈(243)에 단계적으로 결합고정되면서 높이가 조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안은 도14에서와 같이 의자(400)의 좌판(410) 양측부에 팔걸이본체(200) 하단에 구성된 브라켓(210)을 이용하여 체결고정되게 한 다음 사용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팔걸이(100)는 팔걸이(100)에 구성된 받침대(300)의 높낮이 조정시 종래와 같이 별다른 조작없이 받침대(300)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2에서와 같은 상태에 받침대(300)의 높이를 조정하고자 받침대(300)를 윗쪽으로 잡아당겨올리면 받침대(300)의 작동공(313)에 끼워진 걸림봉(315)이 고정편(240)에 구성된 걸림돌기(242)를 단계적으로 지나면서 받침대(300)의 높이가 조정된다.
상기 받침대(300)의 높이가 조정되는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대(300)의 작동공(313)에 끼워진 걸림봉(315)이 도9에서와 같이 고정체(240)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받침대(300)를 윗쪽으로 잡아당기면 도10에서와 같이 걸림봉(315)이 유동편(250)의 안내돌기(251)에 안내되어 상승하면서 다시 윗쪽 안내돌기(251)에 고정편(240)의 걸림홈(243)에 위치하게 되면서 받침대(300)의 높이가 1단계 높게 조정된다.
받침대(300)의 높이를 좀더 높게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대(300)를 한번 더 윗쪽으로 잡아당기면 받침대(300)에 끼워진 걸림봉(315)이 유동편(250)의 안내돌기(251)에 구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윗쪽 안내돌기(251)에 안내되어 다시 고정편(240)의 윗쪽 걸림홈(243)에 걸려 고정되므로 받침대(300)의 높이가 한단계 더 높게 조정되며, 이러한 작동으로 받침대(300)의 높이를 필요한 위치에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중 받침대(300)의 높이를 하향 조정하고자할 경우에는 받침대(300)를 계속하여 단계적으로 잡아당겨올리면 도12의 위치에 까지 걸림홈(315)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받침대(300)를 좀더 잡아당겨올리면 걸림봉(315)이 상승하면서 고정편(240) 최상단에 구성된 탄성안내간(244)을 탄지하게 되고, 동시에 유동편(250)의 상단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13의 위치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받침간(300)를 누르면 받침간(300)의 작동공(313)에 끼워진 걸림봉(315)이 유동편(250)의 배면을 누르면서 아래로 하강하여 다시 도9의 위치로 원복하게 되므로, 받침대(300)를 잡아당겨올려 필요한 위치로 조정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팔걸이본체(200)의 장공(230)에 결합된 고정편(240)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나 유동편(25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을뿐 아니라 내부에 공간부(252)가 형성되어 있어 임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어 걸림봉(315)의 이동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받침대(300)가 승강하면서 걸림봉(315)의 위치가 좌우 이동하게 되나 상기 걸림봉(315)이 작동공(313)에 끼워져 좌우 이동가능케 구성되어 있어 작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본고안은 팔걸이에 구성된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시 받침대를 단계별로 잡아당겨올리는 동작에 의해 받침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용 팔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본체의 형상이 일정한 두께와 폭을 유지하는 편철로 구성된 경우에도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시 상기 받침대를 단계별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임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받침대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팔걸이 본체상에 받침대를 승강가능케 결합하여서 된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본체(200)상에 장공(230)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장공(230)에 공간부(241)와 다수의 걸림돌기(242)및 걸림홈 (243)으로 구성된 고정편(240)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240)의 공간부(241)에는 다시 공간부(252)와 안내돌기(251)로 구성된 유동편(250)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 (240)과 유동편(250)사이에는 받침대(300)의 작동공(313)에 결합된 걸림봉(315)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므로서, 받침대(300)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팔걸이본체 (200)로부터 받침대(300)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면서 높이가 조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KR2020010036858U 2001-11-29 2001-11-29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KR200265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58U KR200265290Y1 (ko) 2001-11-29 2001-11-29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58U KR200265290Y1 (ko) 2001-11-29 2001-11-29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90Y1 true KR200265290Y1 (ko) 2002-02-21

Family

ID=7311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58U KR200265290Y1 (ko) 2001-11-29 2001-11-29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680B1 (en) Height-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CA1180655A (en) Backrest height adjustment for office chair
US7066546B2 (en) Horizontally adjustable chair armrest
US6957867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KR100737961B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KR20080094363A (ko) 선반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KR20110065258A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200265290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높낮이 조정장치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102041978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AU765806B2 (en) Height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the seat back portion and arm-rests in office chairs
KR200269754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위치 조정장치
KR200275889Y1 (ko) 의자용 등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40065309A (ko)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331920Y1 (ko)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1228159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200292593Y1 (ko) 의자용 팔걸이
KR200243562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팔걸이
US6840581B2 (en) Height adjustment arrangement for chair headrest
KR100539367B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494207Y1 (ko) 옷걸이용 걸이부재의 각도조절장치
JP4278793B2 (ja) ヘッドレスト上下動機構
KR200243618Y1 (ko) 의자 높이조절장치
KR200226659Y1 (ko) 의자의 등판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