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99Y1 - 가변 파티션 - Google Patents

가변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99Y1
KR200494099Y1 KR2020190005229U KR20190005229U KR200494099Y1 KR 200494099 Y1 KR200494099 Y1 KR 200494099Y1 KR 2020190005229 U KR2020190005229 U KR 2020190005229U KR 20190005229 U KR20190005229 U KR 20190005229U KR 200494099 Y1 KR200494099 Y1 KR 200494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support
partition
upper pl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02U (ko
Inventor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은 filed Critical 이성은
Priority to KR2020190005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9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변 파티션{Changable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티션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공간은 주택이나 사무실, 공공건물 등이 대표적으로, 이러한 생활공간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주로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은 매우 단단해서 상대적으로 붕괴의 위험이 적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경이 매우 어려워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 공간에 대한 새로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 공간을 다양한 목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파티션이 이용되고 있다.
파티션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고정 장치나 추가적인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가볍고 이동이 용이하여 복잡한 곳을 가리고 자연스러운 실내 연출을 위한 공간분리 및 가림막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 파티션은 일정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불투명한 판넬과, 판넬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파티션은 판넬의 모양 또는 크기가 한번 정해지면 변경이 어려워서, 분리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파티션은 일정 위치에 거치하는 경우, 통풍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공간을 분할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가림부의 형태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변 파티션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은 제1 파티션, 상기 제1 파티션에 연결되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다른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다른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연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다른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다른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가 안착되는 연결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은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상기 제1 파티션과 상기 제2 파티션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상기 연결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연결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연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상기 연결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연결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가 안착되는 연결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지지 프레임은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파티션과 중첩되는 제1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파티션 또는 다른 연결 파티션과 중첩되는 제2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복수개의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림막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가림막 부재들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일측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 파티션은 상기 고정 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이동을 억제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은 공간 분할을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면서도 가림막 부분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절할 수 있어, 장소에 따라 필요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각도 조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 중 제2 파티션의 일부와 가림막 부재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티션 또는 제2 파티션에 적용되는 상하판 프레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의 다른 예에 적용된 연결지지 프레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100)은 제1 파티션(101) 및 제2 파티션(102)을 포함하고,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티션(101)은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상기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상기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사이에 배치되어 시야를 차단하는 가림막 부재(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은 상기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은 이웃하는 다른 부재들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을 관통하면서,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상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은 예컨대,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봉(또는 스틱) 형상 또는 단면이 다각형이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림막 부재(20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에 연속되게 고정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가림막 부재(200)들은 교번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림막 부재(200)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림막은 사이사이가 비어져 형성되고, 빈 공간은 통풍구 또는 광 투과 영역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 역시,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과 유사하게,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티션(102)은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과 상기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 사이에 배치되어 가림막 역할을 하는 가림막 부재(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파티션(102)은 실질적으로 제1 파티션(10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은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비교하여 배치되는 방향이 도면의 상하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 역시,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201)는 상기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및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의 일측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01)는 예컨대, 앞서 설명한 가림막 부재(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부재(201)는 다른 가림막 부재(200)로 대체할 수 있으며, 또는, 가림막 부재(200)를 대체하여 가림막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파티션(101)과 상기 제2 파티션(102)은 연결 부재(20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파티션(100)은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이 연결되는 연결 부위에 배치되는 가림판(1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판(109)은 예컨대, 종이 또는 한지, 천 등으로 마련되어,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 사이의 빈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 또는 상기 연결 부재(201)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지정된 로고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이 프린트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각도 조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100)은 11 상태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201)를 축으로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201)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1 파티션(101)이 배치되고, 우측에 제2 파티션(102)이 배치되데, 제1 파티션(101)의 일면과 제2 파티션(102)의 일면 사이가 굽혀짐 없이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 파티션(100)은 12 상태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201)를 축으로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이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티션(101)과 상기 제2 파티션(102)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이 될 수 있다.
상기 가변 파티션(100)은 13 상태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201)를 축으로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이 직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티션(101)과 제2 파티션(102)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과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의 겹쳐진 부분의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과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의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 중 제2 파티션의 일부와 가림막 부재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파티션(10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 가림막 부재(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은 원통형이며 내부가 채워진 스틱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림막 부재(200)들의 내부는 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림막 부재(200)들은 호스 또는 파이프나 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은 일 방향(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긴 장축과,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짧은 단축을 가지며 일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의 중심부에는 장축을 따라 복수개의 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에는 가림막 부재(200)들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은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에는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의 복수개의 홀 대신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에도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에 배치된 복수개의 홀과 상기 제2 하판지지 프레임9)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또는 홀)은 상하로 정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00)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및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의 좌측 가장자리 및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200)들은 접착 부재 또는 고정 부재(예: 못 또는 피스)에 의해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티션 또는 제2 파티션에 적용되는 상하판 프레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10)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1 파티션(101)의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 제1 파티션(101)의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제2 파티션(102)의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제2 파티션(102)의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일측이 길게 형성된 상부 기판(110a)과, 상기 상부 기판(1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기판(110a)보다 일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 하부 기판(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110a)과 상기 하부 기판(110b)의 일부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110a)의 중심부에는 일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기판(110b)에는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우측 가장자리 일측에 연결 홀(106)(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110b)에도 상기 상부 기판(110a)과 유사하게 중심부에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기판(110b)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은 상부 기판(110a)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105)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대량 생산 및 규격화를 목적으로, 제1 상판지지 프레임(111), 제1 하판지지 프레임(112), 제2 상판지지 프레임(113), 제2 하판지지 프레임(114)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가지 타입(예: 상부 기판(110a) 및 하부 기판(110b)에 동일하게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구조)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목적에 따라, 상판지지 프레임들을 위한 지지 프레임(110)은 상부 기판(110a)과 하부 기판(110b) 모두에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10)은 하판지지 프레임들을 위해, 상부 기판(110a)에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고 하부 기판(110b)에는 홈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홈이 형성되지 않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판지지 프레임들로 마련될 때, 지지 프레임(110)의 우측 단차 영역에는 연결 홀(106)이 형성되고, 하판지지 프레임들로 마련될 때, 지지 프레임(110)의 우측 단차 영역에는 연결 홀(106) 대신에 연결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홀(105)들 중 일부 홀 내측에는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가 도포된 홀에 가림막 부재(200)가 삽입되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판지지 프레임들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들 중 일부 홈 내측에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가 도포된 홈에 삽입된 가림막 부재는 반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지지 프레임(110)이 상부 기판(110a)과 하부 기판(110b)이 합지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지지 프레임(110)은 하나의 판넬로 구성되데, 일측 가장자리가 주변보다 더 낮게 형성된 구조(예: 단차 구조)를 가지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음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가림막 부재(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 또는 스틱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막 부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20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200a)에는 예컨대, 걸림 부재(130)가 삽입 및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130)는 예컨대 고무 링 또는 가죽 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130)가 상기 고정 홈(200a)에 안착 및 고정된 후, 상기 가림막 부재(200) 상부에 지지 프레임(110)이 삽입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걸림 부재(130)에 의해 가림막 부재(200)의 하부로 더 이상이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림막 부재(200)와 관련한 도면에서 하나의 고정 홈(200a)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고정 홈(200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1 파티션(101)에 이용되는 가림막 부재들 중 일부 가림막 부재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홈(200a)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가림막 부재(200)들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가림막 부재(200)는 단면의 지름 또는 일변의 길이가 30mm이고, 높이가 120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가림막 부재는 지름 또는 일변의 길이는 동일하게 30mm이되, 높이는 900mm 또는 150m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100)의 다른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파티션(103)을 중심으로 연장된 파티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 파티션(100)은 제1 파티션(101), 연결 파티션(103), 제2 파티션(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티션(101)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1 파티션(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티션(101)에는 상판지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지지 프레임(110)과, 하판지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지지 프레임(110)이 배치되고, 특정 가림막 부재(200)에는 걸림 부재(130)가 결합되어, 상판지지 프레임이 하판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01)의 지지 프레임(110)(예: 상판지지 프레임, 하판지지 프레임) 일측은 주변보다 낮은 단차 영역을 가지며, 단차 영역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홀이 배치되고, 연결 홀에는 연결 부재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티션(102)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2 파티션(10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 가림막 부재에는 걸림 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티션(103)은 제1 파티션(101) 및 제2 파티션(102) 사이에 배치되어, 가림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파티션(103)은 제1 파티션(101) 및 제2 파티션(102)과 비교하여 양측 가장자리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 연결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변 파티션(100)에 적용된 가림막 부재들 중 일부 가림막 부재들은 주변 가림막 부재들에 비하여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변 파티션(100)이 배치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가림막 부재들의 높이를 하나의 파티션 내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티션(102)에는 적어도 일부 가림막 부재들이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림막 부재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들 사이의 빈 공간은 통풍구 또는 광 유입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의 다른 예에 적용된 연결지지 프레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연결 지지 프레임(120)은 상부 연결 기판(120a) 및 하부 연결 기판(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 기판(120b)의 일부는 상부 연결 기판(120a)과 상하부로 적층되며, 상부 연결 기판(120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 기판(120b)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부 연결 기판(120a)보다 더 연장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배치된 하부 연결 기판(120b) 영역에는 각각 제1 연결 홀(126a) 및 제2 연결 홀(126b)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판(120a)의 중심부(예: 가로 중심선)에는 복수개의 홀(125)들이 배치되어 가림막 부재들이 삽입 또는 임시 고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프레임(120)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연결 파티션(103)의 상판지지 프레임 또는 하판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 지지 프레임(120)이 상판지지 프레임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부 연결 기판(120a)과 하부 연결 기판(120b) 상하를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프레임(120)이 하판지지 프레임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부 연결 기판(120a)에만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 기판(120b)은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홀(125)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파티션들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은 하나의 파티션(예: 제1 파티션, 연결 파티션 또는 제2 파티션)만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은 사용 목적에 따라, 예컨대, 개인 공간 확보를 위하여 가림막 부재들을 연속되게 배치하고, 공개적인 공간 확보를 위하여 가림막 부재들을 비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을 위한 공간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은 각 구성들을 쉽게 분리 및 적층 보관할 수 있어, 적은 부피로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가변 파티션은 공간 분리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가변 파티션
101, 102, 130: 파티션
110, 111, 112, 113, 114: 지지 프레임
120: 연결지지 프레임
130: 걸림 부재
200: 가림막 부재

Claims (8)

  1. 공간을 분리하는데 이용하는 가변 파티션에 있어서,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
    상기 복수개의 홀들보다 지름이 큰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이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동을 억제하는 걸림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3. 공간을 분리하는데 이용하는 가변 파티션에 있어서,
    제1 파티션;
    상기 제1 파티션에 연결되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
    상기 복수개의 홀들보다 지름이 큰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이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동을 억제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다른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다른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연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다른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다른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가 안착되는 연결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5. 공간을 분리하는데 이용하는 가변 파티션에 있어서,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상기 제1 파티션과 상기 제2 파티션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복수개의 홀들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지지 프레임;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적어도 일부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
    상기 복수개의 홀들보다 지름이 큰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이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동을 억제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상기 연결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연결 파티션의 상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연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접된 상기 연결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 중첩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영역에는 상기 연결 파티션의 하판지지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가 안착되는 연결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파티션은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파티션과 중첩되는 제1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파티션 또는 다른 연결 파티션과 중첩되는 제2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의 복수개의 홀들 중 특정 홀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하판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지지 프레임과 상기 하판 지지프레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림막 부재는
    복수개의 가림막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림막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가림막 부재들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파티션.
  8. 삭제
KR2020190005229U 2019-12-24 2019-12-24 가변 파티션 KR200494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29U KR200494099Y1 (ko) 2019-12-24 2019-12-24 가변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29U KR200494099Y1 (ko) 2019-12-24 2019-12-24 가변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02U KR20210001502U (ko) 2021-07-02
KR200494099Y1 true KR200494099Y1 (ko) 2021-08-02

Family

ID=7686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29U KR200494099Y1 (ko) 2019-12-24 2019-12-24 가변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300B1 (ko) 2022-07-07 2022-12-23 최동근 조립식 간살 파티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359B1 (ko) * 2021-01-29 2023-08-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60도 회전식 무빙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1211A1 (en) * 2008-09-03 2010-03-04 Chao-Ken Chen Partition System
JP6046379B2 (ja) * 2012-06-07 2016-12-14 トーヨ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ボールペンチップ、ボールペ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60986B1 (ko) * 2014-11-21 2017-07-25 곽주영 전통 창호형 칸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1211A1 (en) * 2008-09-03 2010-03-04 Chao-Ken Chen Partition System
JP6046379B2 (ja) * 2012-06-07 2016-12-14 トーヨ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ボールペンチップ、ボールペ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60986B1 (ko) * 2014-11-21 2017-07-25 곽주영 전통 창호형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300B1 (ko) 2022-07-07 2022-12-23 최동근 조립식 간살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02U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099Y1 (ko) 가변 파티션
US10344475B1 (en) Layered ceiling panels
US11761201B2 (en) Partition wall
US8635721B2 (en) Playard
US9901840B2 (en) Playhouse assembly
US7236695B1 (en) Photographic backdrop with stand
JP5543680B1 (ja) 段ボール製仕切り板キット
KR101865581B1 (ko) 조립식 책상 프레임
KR100978784B1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JP2006207340A (ja) パネル組み立て式パーティション
JP4518436B1 (ja) 組立棚
JP4991513B2 (ja) フェンス
KR20210000162U (ko) 조립식 인테리어 파티션
KR102653093B1 (ko) 친환경 처리 파티션
JP2019088193A (ja) 構造体
JP2022182234A (ja) 簡易型衝立
CN205742819U (zh) 一种波浪形的装饰板
RU2670140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конструктора
KR2020000590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파티션
JP6867810B2 (ja) 構造体
JP3207673U (ja) テント
KR101959989B1 (ko) 조립식 칸막이
DE202016100833U1 (de) Schallabsorbierende Standvorrichtung
KR20230083426A (ko) 다양한 용도로 변형 가능한 조립식 서랍장
JP2006265937A (ja) 手摺付き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