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14Y1 -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 Google Patents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14Y1
KR200493814Y1 KR2020190002044U KR20190002044U KR200493814Y1 KR 200493814 Y1 KR200493814 Y1 KR 200493814Y1 KR 2020190002044 U KR2020190002044 U KR 2020190002044U KR 20190002044 U KR20190002044 U KR 20190002044U KR 200493814 Y1 KR200493814 Y1 KR 200493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frame
sp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83U (ko
Inventor
장봉관
Original Assignee
장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관 filed Critical 장봉관
Priority to KR2020190002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1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2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도어프레임;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2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3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손잡이프레임;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FRAME MEMBER FOR SLIDING DOORS OF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구나 싱크대, 특히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 하단부 또는 측단부 전 길이에 걸쳐 손잡이가 설치되며, 이러한 손잡이의 경우 특정 골조형태로 압출방식으로 연속제조되는 손잡이를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여 도어패널에 조립,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되는 손잡이는 도어의 길이방향 전체에 구비되므로 도어의 전체 길이에서 손잡이가 돌출되어서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손잡이가 파손되는 경우 도어의 길이에 대응하는 손잡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가구의 도어의 손잡이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는 가구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에 나사 등을 통해 고정하였고, 이에 따라 손잡이 조립 과정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0991호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에서 손잡이의 돌출길이를 줄여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사용을 줄여서 슬라이딩 도어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프레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손잡이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2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도어프레임;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2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3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손잡이프레임;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과 결합되는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결합보강부재; 및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과 결합되는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결합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는,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의 제1 스프링수용관;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1 밀폐판, 및 상기 제1 밀폐판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1 스프링지지부; 및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1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손잡이커버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수용관결합돌부; 상기 제1 손잡이커버부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제1 수용관결합돌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제2 단부가 체결되는 제2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2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의 제2 스프링수용관;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2 밀폐판, 및 상기 제2 밀폐판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3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 스프링지지부; 및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3 스프링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2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2 수용관결합돌부; 상기 제2 손잡이커버부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제2 수용관결합돌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제2 단부가 체결되는 제4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단부가 상기 제1 밀폐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를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을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은 제1 단부가 상기 제2 밀폐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를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을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에 의하면,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에서 손잡이의 돌출길이를 줄여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사용을 줄여서 슬라이딩 도어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의 교체가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제2 손잡이마감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 및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제2 손잡이마감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제1 도어프레임(110), 제2 도어프레임(120), 손잡이프레임(130), 제1 손잡이마감캡(140) 및 제2 손잡이마감캡(150)을 포함한다.
제1 도어프레임(110)은 가구의 도어(10)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1 도어프레임(110)은 도어(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기 위해 도어(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도어삽입홈(111)이 일측에 구비된다.
제2 도어프레임(120)은 제1 도어프레임(110)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제1 도어프레임(110)의 아래에서 도어(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2 도어프레임(120)은 도어(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기 위해, 도어(10)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도어삽입홈(111)과 평행한 제2 도어삽입홈(121)이 일측에 구비된다.
손잡이프레임(130)은 제1 도어프레임(110) 및 제2 도어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도어(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손잡이프레임(130)은 도어(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기 위해, 도어(10)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도어삽입홈(111) 및 제2 도어삽입홈(121)과 평행한 제3 도어삽입홈(131) 및 제3 도어삽입홈(131)의 도어(10) 삽입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 도어프레임(110) 및 제2 도어프레임(120)의 외면보다 돌출되는 손잡이부(132)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마감캡(140)은 손잡이프레임(130)의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제1 도어프레임(1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1 손잡이마감캡(140)은 손잡이프레임(1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손잡이프레임(130)의 단부를 덮는 제1 손잡이커버부(141), 제1 손잡이커버부(14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도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도어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142), 제1 손잡이커버부(141)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손잡이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손잡이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143)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마감캡(150)은 손잡이프레임(130)의 제2 단부 및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제2 도어프레임(1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2 손잡이마감캡(150)은 손잡이프레임(130)의 단부를 덮는 제2 손잡이커버부(151), 제2 손잡이커버부(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도어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도어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152), 제2 손잡이커버부(151)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손잡이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손잡이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제4 결합부(15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의 제1 도어프레임(110), 제2 도어프레임(120) 및 손잡이프레임(130)은 서로 평행한 각각의 제1 도어삽입홈(111), 제2 도어삽입홈(121) 및 제3 도어삽입홈(131)을 통해 도어(10)에 결합되며, 도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 도어프레임(110), 제2 도어프레임(120) 및 손잡이프레임(130)은 도어(10)의 단부측에 일직선 상으로 위치하고, 손잡이프레임(130)의 손잡이부(132)가 도어(10)의 손잡이로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도어프레임(110), 제2 도어프레임(120) 및 손잡이프레임(130)이 도어(1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면, 즉시 도어(10)의 단부를 마감하는 것과 함께 도어(10)의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를 제작할 때 별도의 도어용 손잡이를 결합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나아가 가구의 도어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에서 도어의 길이방향 전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었던 종래와 달리 가구의 일부에만 손잡이가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므로 도어 의 길이방향 전체에서 손잡이가 돌출됨에 따라 가구의 미관이 손실되었던 문제를 해결하여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손잡이가 구비되는 프레임의 사용이 현저히 줄어듬에 따라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프레임(130)의 손잡이부(132)가 파손되는 경우 손잡이프레임(130)의 제3 도어삽입홈(131)을 도어(10)로부터 분리하여서 손잡이프레임(130)을 도어(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새로운 손잡이프레임(130)도 제3 도어삽입홈(131)을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도어(10)의 손잡이의 교체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와 같이 도어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경우 손잡이가 파손되면 프레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지만 본 고안은 짧게 구성된 손잡이프레임(13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 교체가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제1 도어프레임(210), 제2 도어프레임(220), 손잡이프레임(230), 제1 결합보강부재(260) 및 제2 결합보강부재(270), 제1 손잡이마감캡(240) 및 제2 손잡이마감캡(250)을 포함한다.
제1 도어프레임(210), 제2 도어프레임(220) 및 손잡이프레임(23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의 제1 도어프레임(210), 제2 도어프레임(220) 및 손잡이프레임(23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결합보강부재(260)는 제1 손잡이마감캡(240) 및 제1 손잡이마감캡(240)과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210)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다. 제1 결합보강부재(260)는 제1 스프링수용관(261), 제1 스프링지지부(262) 및 제1 스프링(263)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수용관(261)은 제1 손잡이마감캡(24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중공의 관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스프링지지부(262)는 제1 스프링수용관(261)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1 밀폐판(2621), 및 제1 밀폐판(2621)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 스프링체결돌기(2622)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263)은 제1 스프링수용관(261)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제1 스프링체결돌기(2622)에 체결되며 제2 단부는 제1 손잡이마감캡(240)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스프링(263)은 제1 단부가 제1 스프링지지부(262)의 제1 밀폐판(2621)을 가압하여 제1 결합보강부재(260)를 제1 손잡이마감캡(2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제1 손잡이마감캡(240)의 외면을 가압하여 제1 손잡이마감캡(240)을 제1 결합보강부재(2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제2 결합보강부재(270)는 제2 손잡이마감캡(250) 및 제2 손잡이마감캡(250)과 결합되는 제2 도어프레임(220)의 단부 사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보강부재(270)는 제2 스프링수용관(271), 제2 스프링지지부(272) 및 제2 스프링(273)을 포함한다.
제2 스프링수용관(271)은 제2 손잡이마감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중공의 관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스프링지지부(272)는 제2 스프링수용관(271)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2 밀폐판(2721) 및 제2 밀폐판(2721)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3 스프링체결돌기(2722)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273)은 제2 스프링수용관(271)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제3 스프링체결돌기(2722)에 체결되고 제2 단부는 제2 손잡이마감캡(250) 상에 지지된다. 제2 스프링(273)은 제1 단부가 제2 스프링지지부(272)의 제2 밀폐판(2721)을 가압하여 제2 결합보강부재(270)를 제2 손잡이마감캡(25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제2 손잡이마감캡(250)의 외면을 가압하여 제2 손잡이마감캡(250)을 제2 결합보강부재(27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제1 손잡이마감캡(240)은 손잡이프레임(230)의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제1 도어프레임(2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1 손잡이마감캡(240)은 제1 손잡이커버부(241), 제1 수용관결합돌부(242), 제1 손잡이프레임결합부(244) 및 제2 스프링체결돌기(243)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커버부(241)는 손잡이프레임(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손잡이프레임(230)의 단부를 덮는다.
제1 수용관결합돌부(242)는 제1 스프링수용관(261)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제1 손잡이커버부(24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스프링수용관(261)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다.
제1 손잡이프레임결합부(244)는 제1 손잡이커버부(241)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손잡이프레임(230)에 결합된다.
제2 스프링체결돌기(243)는 제1 수용관결합돌부(242)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손잡이마감캡(240)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제1 스프링(263)의 제2 단부가 체결된다.
제2 손잡이마감캡(250)은 손잡이프레임(230)의 제2 단부 및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제2 도어프레임(2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2 손잡이마감캡(250)은 제2 손잡이커버부(251), 제2 수용관결합돌부(252) 및 제4 스프링체결돌기(253)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커버부(251)는 손잡이프레임(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손잡이프레임(230)의 단부를 덮는다.
제2 수용관결합돌부(252)는 제2 스프링수용관(271)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제2 손잡이마감캡(25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스프링수용관(271)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다.
제2 손잡이프레임결합부(254)는 제2 손잡이커버부(251)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손잡이프레임(230)에 결합된다.
제4 스프링체결돌기(253)는 제2 수용관결합돌부(252)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 손잡이마감캡(250)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제2 스프링(273)의 제2 단부가 체결된다.
도 4는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 및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제1 도어프레임(210), 제2 도어프레임(220) 및 손잡이프레임(230)이 결합되는 도어(10)의 단부측의 상단부에는 제1 도어프레임(210)이 도어(10)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1)가 구비되며,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1)의 반대측, 즉 도어(10)의 단부측의 하단부에는 제2 도어프레임(220)이 도어(1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2)가 구비된다.
각각의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1) 및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1)는 도어(10)의 상단과 제1 도어프레임(210)의 상단 및 측면을 덮고,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2)는 도어(10)의 하단과 제2 도어프레임(220)의 하단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1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1) 및 제2 도어프레임이탈방지부재(282)는 나사 등을 통해 도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는 제1 결합보강부재(260) 및 제2 결합보강부재(270)가 더 구비되므로 손잡이프레임(230)이 제1 도어프레임(210) 및 제2 도어프레임(220)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제1 결합보강부재(260)의 제1 스프링(263)은 제1 손잡이마감캡(240) 및 제1 도어프레임(210)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2 결합보강부재(270)의 제2 스프링(273)은 제2 손잡이마감캡(250) 및 제2 도어프레임(220)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손잡이프레임(230)은 도어(10)의 길이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제1 손잡이마감캡(240) 및 제2 손잡이마감캡(250)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를 여닫을 때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손잡이프레임(230)이 도어(10)의 단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도어(10)를 닫는 경우 손잡이프레임(230)의 손잡이부(232)를 도어(10)의 단부의 반대측으로 밀게되는데, 이때 손잡이프레임(230)은 제1 스프링(263) 및 제2 스프링(273)에 의해 도어(10)의 길이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1 도어프레임(210) 및 제2 도어프레임(220)도 제1 스프링(263) 및 제2 스프링(273)에 의해 도어(10)의 길이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제1 도어프레임(210) 및 제2 도어프레임(220)이 도어(10)의 단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프레임(210), 제2 도어프레임(220) 및 손잡이프레임(230)은 별도의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도어(10)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어(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2 도어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도어프레임;
    가구의 도어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2 도어삽입홈과 평행한 제3 도어삽입홈 및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어삽입홈에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서 상기 가구의 도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프레임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손잡이프레임;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마감캡;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마감캡;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과 결합되는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결합보강부재; 및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과 결합되는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 및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결합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는,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의 제1 스프링수용관;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1 밀폐판, 및 상기 제1 밀폐판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1 스프링지지부; 및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1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손잡이커버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수용관결합돌부;
    상기 제1 손잡이커버부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제1 수용관결합돌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제2 단부가 체결되는 제2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2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의 제2 스프링수용관;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를 막는 제2 밀폐판, 및 상기 제2 밀폐판의 내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3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 스프링지지부; 및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3 스프링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단부를 덮는 제2 손잡이커버부;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스프링수용관의 개방된 제2 단부와 결합되고, 돌출된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2 수용관결합돌부;
    상기 제2 손잡이커버부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제2 수용관결합돌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에서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제2 단부가 체결되는 제4 스프링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단부가 상기 제1 밀폐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를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손잡이마감캡을 상기 제1 결합보강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은 제1 단부가 상기 제2 밀폐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를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2 단부가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손잡이마감캡을 상기 제2 결합보강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KR2020190002044U 2019-05-20 2019-05-20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KR200493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44U KR200493814Y1 (ko) 2019-05-20 2019-05-20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44U KR200493814Y1 (ko) 2019-05-20 2019-05-20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83U KR20200002583U (ko) 2020-11-30
KR200493814Y1 true KR200493814Y1 (ko) 2021-06-08

Family

ID=7357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44U KR200493814Y1 (ko) 2019-05-20 2019-05-20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14Y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84Y1 (ko) * 1994-06-13 1996-08-28 이현술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FR2815066B1 (fr) * 2000-10-05 2003-10-31 Technal Poignee de tirage laterale pour ouvrant coulissant de porte ou fenetre
KR200460991Y1 (ko) 2010-06-07 2012-06-20 박성수 반원형 탄성부를 갖는 억지 끼워 맞춤 결합식 도어패널 손잡이
KR20130096459A (ko) * 2012-02-22 2013-08-30 박성수 누름 클립형의 탄성 고정편을 갖는 미닫이 문 손잡이
KR20130104731A (ko) * 2012-03-15 2013-09-25 박광호 도어 손잡이 프레임구조
KR20180055937A (ko) * 2016-10-17 2018-05-28 정영호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1900592B1 (ko) * 2017-01-11 2018-09-19 방영식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프랑스 공개특허공보 제2815066호(2012.04.1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83U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4999B2 (en) Locking pliers
RU2383706C2 (ru) Ручк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отверстии
KR20070008575A (ko)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힌지
KR200493815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
KR20180055937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200493814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KR101704356B1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JP4450325B2 (ja) 建具
EP413549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877490B1 (ko) 수납장용 슬라이딩 도어
KR200362390Y1 (ko) 샌드위치패널 도어용 윈도우 프레임
KR102328976B1 (ko)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US20080149282A1 (en) Window screen frame member
KR10125444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구조물
ITRA20110015A1 (it) Gruppo di serramenti
KR200393547Y1 (ko) 조립식 창호
KR101693368B1 (ko) 미닫이 및 여닫이 도어 겸용 매립 손잡이
KR101495638B1 (ko) 가구 조립 셋트
KR101997098B1 (ko)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JP2010065479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扉取付構造
KR200383005Y1 (ko) 서랍의 전면패널과 손잡이의 결합구조
KR950008153Y1 (ko) 경 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