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84Y1 -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84Y1
KR960007284Y1 KR2019940013698U KR19940013698U KR960007284Y1 KR 960007284 Y1 KR960007284 Y1 KR 960007284Y1 KR 2019940013698 U KR2019940013698 U KR 2019940013698U KR 19940013698 U KR19940013698 U KR 19940013698U KR 960007284 Y1 KR960007284 Y1 KR 960007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handle
fram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61U (ko
Inventor
이현술
Original Assignee
이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술 filed Critical 이현술
Priority to KR2019940013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284Y1/ko
Publication of KR960001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2도의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부재의 사시도 및 일부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5 : 창문
6 : 유리7 : 밀틀부재
8 : 선틀부재9 : 손잡이 부재
10 : 기판11 : 손잡이부
12 : 협지부13 : 저지돌부
14 : 삽입부15 : 요조
본 고안은 미닫이 무테창의 개폐를 간편, 용이하게 한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가 창문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 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테창문(無테두리窓門 또는 出入門)이라 함은, 창문 또는 출입문(이하 창문이라 통칭함)에 사용되는 유리가 강화유리(이하 유리라 함)일 경우 원자재 절감과 채광량의 증대 및 외관상의 미려함을 취하기 위하여 창틀에 유리만을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ㄴ자 형으로 유리의 2변에 선틀부재와 밀틀부재만을 결합하여 설치토록한 창문을 말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축공법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무테창의 경우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마땅한 수단이 없어 선틀부재를 손잡이 대용으로 하여 창문을 개폐하였던바, 이는 개폐시 사용자의 손이 선틀부재와 인접한 유리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유리를 쉽게 오염시키게 되었음은 물론, 창문을 개방시 선틀부재의 휨이 발생하여 자칫 유리로부터 선틀부재가 이탈되는 경우가발생되었으며, 특히 대형 창문의 경우 사용자가 실내외를 출입하기 위하여는, 먼저 선틀부재의 위치로 이동하여 선틀부재를 잡고 창문을 일정폭 만큼 개방한 다음 개방된 측으로 이동하여 유리의 개방된 단부를 밀어 출입공간을 확보하고 이공간을 통하여 출입한 후 다시 창문을 폐쇄하기 위하여는 선틀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선틀부재를 잡고 창문을 폐쇄케 되므로서 유리의 양측 표면을 쉽게 오염시키게 됨과 동시에 동선(動線)을 길게 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 89-136호 유리문 손잡이가 제안되기에 이르렀으나, 이는 협지판이 호형으로 형성되어 유리문의 협지를 선단과 전면벽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압지돌기만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실제 이들이 유리문과 선접촉을 하게 되어 협지력이 미약할 뿐이어서, 압지돌기에 슬립방지용 부재를 연설하므로서 어느 정도 마찰계수를 증가시키게 되어 손잡이가 유리문으로부터 이탈되려는 현상을 보완하고는 있으나, 실제 슬립방지용 부재가 유리문을 협지하고 또 미끄럼을 방지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이탈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가 없었음은 물론, 헙지판의 선단이 내향 만곡면으로 형성되므로서 유리문의 개방시 타측 유리문과 충돌하게 될 경우 선단부가 타측 유리문의 선단에 쐐기형태로 끼이게 되어 유리문의 개폐가 용이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개방에 의한 충격이 클 경우 협지판이 타측 유리문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서 쐐기 역할로 인한 집중하중으로 작용하여 유리문이 파손되게 되는 중대한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일소하기 위하여, 유리의 노출된 측면 단부에 손잡이 장치를 하므로서 무테창의 개폐를 간편, 용이하게 함은 물론 유리와의 결합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6)의 2변에 밀틀부재(7)의 선틀부재(8)만을 결합한 창문(5)이 창틀(1)에 안내되도록 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압출한 손잡이 부재(9)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유리(6)의 노출된 단부 적정위치에 결합하되, 손잡이 부재(9)는 기판(10)의 일측에 손잡이부(11)를 형성하고 타측에 협지부(12)와 저지돌부(13)를 갖는 삽입부(14)를 일체로 형성하여 기판(10)과 협지부(12)의 대향내면에 다수의 요조(15)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협지부(12)가 내향절곡 각도(θ)를 갖도록 단부를 절곡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B는 접착제이고, 2는 선틀골재이며, 3은 수용부이고, 4는 모헤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 구성 각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연속 압출하여 창문(5)의 크기에 따라 일정길이로 절단한 손잡이 부재(9)를 도면의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협지부(12)를 외방으로 벌려 유리(6)의노출된 단부에 삽입부(14)로서 강제 삽입하여 사용케 되는 것으로, 창문(5)을 개폐코자 할 경우에는 도면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9)의 위치로 이동하여 손잡이부(11)를 잡고 이점쇄선 도시와 같이 창문(5)을 개방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그자리에서 곧바로 선틀골재(8)와 창문(5)의 사이에 출입공간이 확보되어 사용자가 간편, 용이하게 실내외를 출입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창문(5)을 폐쇄하기 위하여는 실선도시와 같이 손잡이부(11)를 잡고 창문(5)을 선틀골재(2)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삽입부(14)측이 선틀골재(2)의 수용부(3)내로 진입하면서 모헤어(4)가 외면에 긴밀히 접촉하여 방풍, 보온이 유지되고, 저지돌부(13)가 선틀골재(2)의 내단에 접촉하게 되면 더이상의 진입이 저지되어 선단이 수용부(3)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창문(5)을 개방시 타측 창문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므로서 손잡이부재(9)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유리(6)에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9)는 협지부(12)의 내향절곡 각도(θ)에 의하여 유리(6)에 항상 탄력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협지부(12)와 기판이 유리(6)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하여 마찰계수를 증대시키게 되므로 유리(6)로 부터의 이탈이 방지된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유리(6)의 두께가 두껍거나 창문(5)이 대형일 경우에는 폐쇄시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결합전에 각 요소(15)에 실리콘 등으로 되는 접착제(B)를 충진시켜서 결합하게 되면 이탈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 부재(9)는 협지부(12)의 탄력으로 결합케 되므로서 유리(6)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가장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므로서 사용을 더욱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무테창의 노출된 유리측면에 손잡이 부재를 손쉽게 결합함으로서 창문의 개폐를 간편, 용이하게 하여 동선을 최소화 함은 물론, 손잡이 부재가 창문에 견고히 결합되므로서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유리(6)의 2변의 밀틀부재(7)와 선틀부재(8)를 결합한 창문(5)이 창틀(1)에 설치되고, 유리(6)의 노출단부에 협지부(12)와 손잡이부(11)및 기판(10)이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부재(9)의 삽입부(14)를 결합시킨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에 있어서, 협지부(12)가 기판(10)에 대하여 내향절곡 각도(θ)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고, 협지부(12)의 단부에 저지돌부(13)가 형성되며, 협지부(12) 및 기판(10)의 대향내면에 다수의 요조(15)가 형성된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KR2019940013698U 1994-06-13 1994-06-13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KR960007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98U KR960007284Y1 (ko) 1994-06-13 1994-06-13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98U KR960007284Y1 (ko) 1994-06-13 1994-06-13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61U KR960001961U (ko) 1996-01-19
KR960007284Y1 true KR960007284Y1 (ko) 1996-08-28

Family

ID=1938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698U KR960007284Y1 (ko) 1994-06-13 1994-06-13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2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26B1 (ko) * 2015-09-30 2015-12-22 (주)태양광창호 창호용 손잡이
KR20210030619A (ko) * 2019-09-10 2021-03-18 전선기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중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14Y1 (ko) * 2019-05-20 2021-06-08 장봉관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부재
KR200493815Y1 (ko) * 2019-05-20 2021-06-08 장봉관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26B1 (ko) * 2015-09-30 2015-12-22 (주)태양광창호 창호용 손잡이
KR20210030619A (ko) * 2019-09-10 2021-03-18 전선기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중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61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0829609T3 (da) Varmeisolerende kombinationsprofil til døre, vinduer eller facader
AU2003287842A1 (en) Construction unit mounting system
KR960007284Y1 (ko) 미닫이 무테창용 손잡이 장치
KR200457465Y1 (ko) 출입문 안전장치
US20130000201A1 (en) Retention system for louvre blades
CA2350537C (en) Louver control bar with bendable louver attachment members
EP2431562A2 (en) Window sash assembly with corner fitting
KR20150002556U (ko)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AU2003210178A1 (en) Door and window stop
EP0663982B1 (en) Weatherproofing and draught excluding devices
SK3392002A3 (en) Frameless prestressed glass panel
GB1586610A (en) Weather strip for a door or a window
GB2335975A (en) Ventilation device
GB2335230A (en) Slotted friction stay
KR200146531Y1 (ko) 창문손잡이
KR102582993B1 (ko) 모헤어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 조립체
KR102204759B1 (ko) 슬라이드 개폐도어
CA1042723A (en) Thermal glass adaptive frame element
JPH0526212Y2 (ko)
JP2989549B2 (ja) 戸 体
KR200186953Y1 (ko) 도어
JP2002194964A (ja) 引戸用パッキン
KR200156975Y1 (ko) 알루미늄 샤시 창호용 손잡이
KR20240024473A (ko) 마감 패널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도어 프레임
AU2008202841B2 (en) A Louvre Blad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