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40Y1 - 스마트 블록 퍼즐 - Google Patents

스마트 블록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40Y1
KR200493740Y1 KR2020190003196U KR20190003196U KR200493740Y1 KR 200493740 Y1 KR200493740 Y1 KR 200493740Y1 KR 2020190003196 U KR2020190003196 U KR 2020190003196U KR 20190003196 U KR20190003196 U KR 20190003196U KR 200493740 Y1 KR200493740 Y1 KR 200493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base
sketch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17U (ko
Inventor
한다혜
Original Assignee
한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다혜 filed Critical 한다혜
Priority to KR2020190003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4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08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밑그림의 화소를 복수의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하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밑그림 위에 놓이면서 밑그림을 투영하며, 복수 개의 베이스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격자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밑그림에 대한 픽셀을 제공하는 베이스판; 복수로 구성되면서 색상 별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밑그림의 픽셀에 대응하는 색상을 구현하되, 복수개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화소블록;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밑그림을 스캔하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각 좌표에 대한 상기 화소블록의 색상을 안내하는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블록 퍼즐{SMART BLOCK PUZZL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마트 블록 퍼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그림의 화소를 복수의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그림이나 사진을 여러 조각으로 분리하여 퍼즐조각들을 만들고, 사용자가 퍼즐조각들을 조립하여 원래의 그림이나 사진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이다.
통상적으로 퍼즐은 정해진 도안을 맞추어 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집중력 및 인내력을 높이는 학습도구나 놀이기구의 하나로 사용된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317711호 (2003.06.13. 등록)에는 각 퍼즐조각의 모양을 우리나라 각 시도의 지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각 퍼즐조각들이 조립되는 퍼즐조립면을 우리나라 지도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퍼즐조립면 위에 각 퍼즐조각들을 맞추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의 지리와 행정구역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학습용 퍼즐지도가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퍼즐은 도안이 한가지로 고정되어 있어서 금방 싫증이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퍼즐은 설정된 모양의 블록을 맞추는 기능만을 할 뿐이어서 더욱 빨리 싫증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퍼즐은 퍼즐조각들을 평면형으로만 맞출 뿐 도안에 대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다양한 그림을 퍼즐의 밑그림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밑그림을 복수의 픽셀로 분할하면서 각 픽셀에 대한 색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밑그림에 대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완성된 퍼즐을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밑그림의 스캔을 통해 밑그림의 픽셀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여 안내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좌표에 대응하는 색상의 화소블록을 스마트폰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스마트 블록 퍼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밑그림 위에 놓이면서 밑그림을 투영하며, 복수 개의 베이스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격자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밑그림에 대한 픽셀을 제공하는 베이스판; 복수로 구성되면서 색상 별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밑그림의 픽셀에 대응하는 색상을 구현하되, 복수개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화소블록;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밑그림을 스캔하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각 좌표에 대한 상기 화소블록의 색상을 안내하는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블록은,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기에 결합되는 블록본체; 상기 베이스돌기와 동일하게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의 수직방향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수직결합돌기;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결합돌기; 및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 중 상기 수평결합돌기와 이웃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에 형성된 상기 수평결합돌기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수평돌기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돌기 및 상기 수평돌기홀더는,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은 상기 베이스판의 외곽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자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된 상기 베이스돌기들의 배열에 따라 상기 베이스돌기 각각의 좌표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좌표설정부; 상기 밑그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저장하는 스캔부; 상기 밑그림 이미지를 상기 베이스돌기들의 좌표와 매칭시키면서 상기 밑그림 이미지의 좌표를 설정하는 좌표매칭부;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밑그림 이미지의 색상을 도출하여 저장하는 색상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블록을 상기 좌표 별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베이스판이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밑그림에 대한 픽셀을 제공하면서 밑그림에 대한 색상을 복수의 화소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그림이나 캐릭터를 퍼즐로 구현함으로써 싫증 없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되는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대한 좌표가 설정되면서 각 좌표에 대한 화소블록의 색상을 안내하므로 밑그림에 대한 화소블록의 색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소블록을 구성하는 블록본체가 수직결합돌기 및 수평결합돌기를 통해 또 다른 블록본체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화소블록을 통해 밑그림에 대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외곽을 따라 액자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완성된 퍼즐을 액자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블록 퍼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완성된 화소블록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베이스판에서 분해하여 다른 그림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완성된 그림 작품에 식상함을 느낄 경우 다시 새로운 그림 작품을 구현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블록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의 액자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블록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의 액자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10)은 미도시된 밑그림의 화소를 복수의 색상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는 퍼즐로서,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 및 캐릭터에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퍼즐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 화소블록(200) 및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밑그림에 대한 픽셀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1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투명판으로 형성됨으로써 밑그림 위에 놓인 상태로 밑그림을 투영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화소블록(200)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복수개의 베이스돌기(110)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격자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00)은 밑그림을 투영하면서 복수개의 베이스돌기(110)를 통해 밑그림이나 후술되는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에 대한 픽셀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밑그림은 베이스돌기(110)의 수량에 대응하는 픽셀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판(100)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림이나 사진의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돌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화소블록(200)의 결합이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를 따라 걸림홈(111)이 형성됨으로써 화소블록(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소블록(200)은 베이스판(100)의 베이스돌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밑그림의 픽셀에 대한 색상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화소블록(200)은 복수로 구성되면서 색상 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돌기(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밑그림의 색상과 매칭되는 색상으로 선택되어 베이스돌기(110)에 결합됨으로써 밑그림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소블록(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입체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소블록(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210), 수직결합돌기(220), 수평결합돌기(230) 및 수평돌기홀더(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210)는 화소블록(2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원기둥형태나 다각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록본체(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돌기(110)에 대응하는 돌기홈(211)이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베이스돌기(11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결합돌기(220)는 또 다른 블록본체(21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구성요소로, 베이스돌기(11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블록본체(210)의 상면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록본체(210)는 수직결합돌기(220)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면서 베이스판(100)에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돌기(230) 및 수평돌기홀더(240)는 블록본체(210)들의 수평방향 결합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수평결합돌기(230)는 블록본체(21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21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결합돌기(230)는 블록본체(210)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의 단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평돌기홀더(240)는 블록본체(210)의 측면 중 수평결합돌기(230)와 이웃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슬롯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또 다른 블록본체(210)의 수평결합돌기(23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록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속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결합돌기(230) 및 수평돌기홀더(240)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연속 결합됨으로써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결합돌기(230) 및 수평돌기홀더(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210)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결합돌기(230)는 수평돌기홀더(240)의 상부를 통해서만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돌기홀더(24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 베이스판(100)의 베이스돌기(110)에 대한 화소블록(200)의 색상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된 상태로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베이스돌기(110)들에 대한 좌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밑그림을 스캔하면서 베이스판(100)의 각 좌표에 매칭되는 화소블록(200)의 색상을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은 좌표설정부(410), 스캔부(420), 좌표매칭부(430), 색상도출부(440) 및 안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표설정부(410)는 베이스판(100)에 돌출된 베이스돌기(110)들의 배열에 따라 베이스돌기(110) 각각의 좌표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좌표설정부(410)는 기설정된 베이스판(100)의 규격의 입력받아서 각 베이스돌기(110)의 가로세로 좌표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캔부(420)는 단말기(1)의 카메라를 통해 밑그림을 스캔하여 밑그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좌표매칭부(430)는 스캔부(420)에 저장된 밑그림 이미지를 베이스돌기(110)들의 좌표와 매칭시키면서 밑그림 이미지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좌표매칭부(430)는 각 베이스돌기(110)의 좌표에 대응하는 밑그림 이미지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색상도출부(440)는 밑그림 이미지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색상을 도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색상도출부(440)는 베이스돌기(110)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밑그림 이미지의 색상을 도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50)는 색상도출부(440)에서 도출된 색상에 대응하는 화소블록(200)을 좌표 별로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안내부(450)는 단말기에 베이스돌기(110)들의 좌표를 표시한 후, 각 좌표에 색상을 출력함으로써 각 좌표 전체에 대응하는 화소블록(200)의 색상을 시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소리와 함께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은 블록수량 안내부(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수량 안내부(460)는 전술한 색상도출부(440)에서 도출된 색상에 대응하는 화소블록(200)의 색상 별 수량을 도출하여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에 따라, 화소블록(200)은 블록수량 안내부(460)에서 안내된 수량으로 사용자에 의해 색상별로 미리 준비될 수 있다.
또한,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400)은 이미지 제공부(4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제공부(470)는 전술한 스캔부(420)에 의해 스캔되지 않은 이미지를 전술한 좌표매칭부(43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미지 제공부(470)는 예컨대, 단말기(1)에 기 저장된 이미지나 인터넷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프레임(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자프레임(300)은 화소블록(200)들이 결합된 상태로 완성된 베이스판(100)을 액자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액자프레임(300)은 베이스판(100)의 외곽모서리에 각각 끼워지는 단위프레임(310)과, 단위프레임(310)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위프레임(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311)을 통해 베이스판(100)의 외곽모서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판(320)을 통해 또 다른 단위프레임(310)과 연결됨으로써 베이스판(100)의 외곽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상태로 구동하면서 베이스판(100)의 규격을 입력받아서 베이스돌기(110)들의 좌표를 설정하고, 밑그림을 스캔하여 밑그림 이미지를 저장한 후 베이스돌기(110)들의 좌표에 대응하는 밑그림 이미지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400)은 밑그림 이미지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색상을 도출한 후, 각 베이스돌기(110)의 좌표에 대응하는 색상의 화소블록(200)을 안내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은 밑그림의 위에 놓인 상태로 각 베이스돌기(110)에 화소블록(200)이 결합되면서 밑그림에 대응하는 퍼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화소블록(200)은 애플리케이션(400)의 안내에 따라 베이스돌기(110)의 좌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선택되어 베이스돌기(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화소블록(200)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화소블록(200)은 수직결합돌기(220)를 통해 또 다른 화소블록(200)과 수직방향으로 연속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결합돌기(230) 및 수평돌기홀더(240)를 통해 또 다른 화소블록(200)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면서 밑그림의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소블록(200)들이 결합된 베이스판(100)은 액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액자프레임(300)을 구성하는 단위프레임(310)들은 베이스판(100)의 외곽모서리에 각각 끼워져 안전하게 결합된 후, 연결판(320)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베이스판(100)의 외곽에 액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퍼즐(10)은, 밑그림에 대한 색상을 복수의 화소블록(200)으로 구현하면서 다양한 그림이나 캐릭터를 퍼즐로 구현함으로써 싫증 없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400)을 베이스돌기(110)들의 각 좌표에 대한 화소블록(200)의 색상을 안내하므로 밑그림에 대한 화소블록(200)의 색상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 블록 퍼즐
100 : 베이스판
110 : 베이스돌기
200 : 화소블록
210 : 블록본체
220 : 수직결합돌기
230 : 수평결합돌기
240 : 수평돌기홀더
300 : 액자프레임
310 : 단위프레임
320 : 연결판
400 : 애플리케이션

Claims (6)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밑그림 위에 놓이면서 밑그림을 투영하며, 복수 개의 베이스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격자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밑그림에 대한 픽셀을 제공하는 베이스판;
    복수로 구성되면서 색상 별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밑그림의 픽셀에 대응하는 색상을 구현하되, 복수개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입체감을 구현하는 화소블록;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밑그림을 스캔하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각 좌표에 대한 상기 화소블록의 색상을 안내하는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된 상기 베이스돌기들의 배열에 따라 상기 베이스돌기 각각의 좌표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좌표설정부;
    상기 밑그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저장하는 스캔부;
    상기 밑그림 이미지를 상기 베이스돌기들의 좌표와 매칭시키면서 상기 밑그림 이미지의 좌표를 설정하는 좌표매칭부;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밑그림 이미지의 색상을 도출하여 저장하는 색상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블록을 상기 좌표 별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퍼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블록은,
    상기 베이스판의 베이스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돌기에 결합되는 블록본체;
    상기 베이스돌기와 동일하게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의 수직방향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수직결합돌기;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결합돌기; 및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 중 상기 수평결합돌기와 이웃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본체에 형성된 상기 수평결합돌기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수평돌기홀더를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퍼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돌기 및 상기 수평돌기홀더는,
    상기 블록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스마트 블록 퍼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블록 퍼즐은,
    상기 베이스판의 외곽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자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퍼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색상도출부에서 도출된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블록의 색상 별 수량을 도출하여 안내하는 블록수량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퍼즐.
KR2020190003196U 2019-07-31 2019-07-31 스마트 블록 퍼즐 KR200493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96U KR200493740Y1 (ko) 2019-07-31 2019-07-31 스마트 블록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96U KR200493740Y1 (ko) 2019-07-31 2019-07-31 스마트 블록 퍼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17U KR20210000317U (ko) 2021-02-10
KR200493740Y1 true KR200493740Y1 (ko) 2021-05-27

Family

ID=7456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96U KR200493740Y1 (ko) 2019-07-31 2019-07-31 스마트 블록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7882B (zh) * 2020-09-12 2021-12-07 上海积跬教育科技有限公司 拼搭玩具智能识别的方法
KR102615818B1 (ko) * 2022-04-15 2023-12-20 전효찬 블럭식 미술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965B2 (ja) * 1992-11-20 2001-07-30 三菱樹脂株式会社 粘着性積層フィルム
JP2012191998A (ja) 2011-03-15 2012-10-11 Takashi Asano ブロック・パズル
KR101695597B1 (ko) * 2016-07-01 2017-01-11 이상오 완구용 블록
WO2017161127A1 (en) 2016-03-16 2017-09-2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06A (ko) * 2001-10-12 2003-04-18 주식회사 프뢰벨미디어 유아교육용 조립학습교구
CN101596359B (zh) * 2008-06-06 2011-03-23 庄子毅 一种平面拼图
KR101048088B1 (ko) * 2008-07-28 2011-07-08 권오봉 그림인식 퍼즐 시스템 및 퍼즐의 그림인식 방법
JP3193965U (ja) * 2014-08-15 2014-10-30 株式会社くもん出版 かずパズル
KR20160133147A (ko) * 2015-05-12 2016-11-22 김인호 다중위치배열구조의 퍼즐
KR20160133356A (ko) * 2016-02-12 2016-11-22 김인호 다중중첩배치위치를 이용한 비즈퍼즐
KR20170107657A (ko) * 2016-03-16 2017-09-26 이용훈 컬러블록배치공예
KR20180041346A (ko) * 2016-10-14 2018-04-24 전종훈 교구용 조명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965B2 (ja) * 1992-11-20 2001-07-30 三菱樹脂株式会社 粘着性積層フィルム
JP2012191998A (ja) 2011-03-15 2012-10-11 Takashi Asano ブロック・パズル
WO2017161127A1 (en) 2016-03-16 2017-09-2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KR101695597B1 (ko) * 2016-07-01 2017-01-11 이상오 완구용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17U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740Y1 (ko) 스마트 블록 퍼즐
US9307232B1 (en) Calibration target for video processing
Schapiro On some problems in the semiotics of visual art: Field and vehicle in image-signs
CN105631809B (zh) 一种非均匀分辨率球面全景图生成方法
Schapiro On some problems in the semiotics of visual art: field and vehicle in image-signs
US1735456A (en) Educational device
WO2004000429A1 (en) Multiple game block assembly
US20180143523A1 (en) Spherical omnipolar imaging
KR101968152B1 (ko) 색칠놀이 기반의 영상분석 및 3d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30682B1 (ko) 거울을 이용한 트릭아트 구조물
KR101309278B1 (ko) 직소 퍼즐
JP6475800B1 (ja) パズル
Hochberg The perception of pictorial representations
Ngo et al. Is clip fooled by optical illusions?
KR20180037873A (ko) 사진 조립블럭 제조방법
Toyoura et al. Silhouette extraction with random pattern backgrounds for the volume intersection method
KR100465747B1 (ko) 입체형 평면 퍼즐
KR200244329Y1 (ko) 입체형 평면 퍼즐
CN107025674B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涂色识别图的显示方法及系统
US20230102516A1 (en) Puzzle map solutions
US10475233B2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converting images captured by a light field camera into three-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extend vertically above or in front of a display medium
TWI642973B (zh) 3D floating stereoscopic image creation and display device
KR20180002774U (ko) 블록퍼즐세트
KR20110105441A (ko) 동영상 광고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30069337A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블록형 조립식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