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00Y1 -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00Y1
KR200493700Y1 KR2020200003854U KR20200003854U KR200493700Y1 KR 200493700 Y1 KR200493700 Y1 KR 200493700Y1 KR 2020200003854 U KR2020200003854 U KR 2020200003854U KR 20200003854 U KR20200003854 U KR 20200003854U KR 200493700 Y1 KR200493700 Y1 KR 200493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thin film
film member
impregnated
impre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진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2020200003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료를 보유하는 기존의 함침부재와 화장료를 묻혀서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기존의 퍼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함침 기능과 도포 기능을 함께 구현하게 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료가 항시 함침된 상태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게 되며 적층 구조로 구비되어 화장료의 소비에 따라 상측의 것부터 하측의 것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와,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화장료의 상향 누출을 방지하는 제1박막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하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화장료의 하향 누출을 방지하되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 중 상측의 함침도포체 폐기 후 하측의 함침도포체 사용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제2박막부재와, 상기 제1박막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함침도포체를 사용자가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포보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Makeup device having integral function of keeping and application of cosmetics}
본 고안은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료를 보유하는 기존의 함침부재와 화장료를 묻혀서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기존의 퍼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함침 기능과 도포 기능을 함께 구현하게 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용모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변화시키고 유지시키는 데에 필수적인 품목인 화장품 또는 화장료는 성상(性狀)과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화장료를 수용하거나 포장 또는 사용하기 위한 화장용기나 화장도구 또한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한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화장 도구인 콤팩트가 있다. 콤팩트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 화장료의 성상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의 케이스 안에 스펀지와 퍼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거울이나 그 밖의 부수적인 도구들도 내장하게 된다.
상기 스펀지는 예컨대 겔상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료가 함침되는 함침부재로서 구비되고, 상기 퍼프는 스펀지에 함침된 화장료를 원하는 만큼씩 찍어서 바를 수 있도록 하는 도포구로서 구비된다. 스펀지로 불리는 상기 함침부재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와 같이 해면상 구조의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져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되며, 도포구인 퍼프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는 천연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기 쉽도록 손잡이띠가 부착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콤팩트와 같은 화장도구는 함침부재와 도포구를 별도로 갖추고 있다.
그런데, 함침부재와 도포구는 화장료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수개월 동안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도포구는 사용자의 피부에 반복적이고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함침부재 또한 이러한 도포구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에 있던 피지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도포구와 함침부재로 옮겨묻어 오염이 일어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된 도포구와 함침부재에 존재하던 세균, 바이러스 등이 증식하여 결국에는 사용자에게 피부 트러블이나 염증 등을 유발하면서 자칫 피부를 크게 상하게 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화장료를 보유하는 함침부재와 이 함침부재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가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도포구를 이용하되 함침부재의 화장료를 도포구에 충분히 묻혀야 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이처럼 함침부재를 상대로 도포구를 여러 번 두드리듯이 접촉시켜 화장료를 묻히는 동작은 사용자로서는 다소 불편한 일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11641호(2017.10.12.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64995호(2017.06.12. 공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오염으로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함침부재의 화장료를 도포구에 충분히 묻히는 종래의 동작을 배제함으로써, 화장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료가 항시 함침된 상태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게 되며 적층 구조로 구비되어 화장료의 소비에 따라 상측의 것부터 하측의 것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와,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화장료의 상향 누출을 방지하는 제1박막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하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화장료의 하향 누출을 방지하되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 중 상측의 함침도포체 폐기 후 하측의 함침도포체 사용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제2박막부재와, 상기 제1박막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함침도포체를 사용자가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포보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함침도포체와 상기 제1박막부재의 결합은, 함침도포체와 제1박막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일부분 이상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박막부재는 상측면과 하측면 중 어느 일면 이상에 돌기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박막부재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손잡이는 제2박막부재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한 다른 손잡이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2박막부재마다 테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박막부재는 함침도포체보다 횡방향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도포보조구는 제1박막부재의 상면부를 상대로 붙였다 떼기를 반복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 강도를 갖는 접착제 패치를 저면부에 구비하여 제1박막부재의 상면부와 결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와 제1박막부재 및 제2박막부재와 도포보조구를 아랫쪽에서 수용하는 내용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기를 밀폐 수용하는 외용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존의 함침부재와 퍼프의 기능을 겸하는 함침도포체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구비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보조도포구를 이용하여 최상측의 함침도포체부터 최하측의 함침도포체까지 각각의 함침도포체에 함유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될 때마다 하나씩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함침부재 또는 도포구(퍼프)를 장기간 사용하는 데 따르는 오염으로 인해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에 함침부재의 화장료를 도포구에 충분히 묻히는 동작을 할 필요 없이 함침도포체만으로 그대로 화장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도포보조구에 대한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부가되는 내용기를 도포보조구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내용기와 함께 외용기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부분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도포보조구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에 예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가 구비된다. 함침도포체(10)는 화장료가 함침되는 기존의 스펀지와 같은 함침부재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화장료를 원하는 만큼씩 사용자의 피부에 찍어서 바를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퍼프(즉, 도포구)의 기능을 겸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고안의 함침도포체(10)는 화장료가 항시 함침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에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이 대표적인데, 연성(軟性)이 풍부한 소재이다.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는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구비되어, 위에 있는 것부터 하나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5개 층으로 적층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포장과 휴대 등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2개 층 이상에서 적절한 개수로 적층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함침도포체(10)는 직경 15∼80mm, 높이 2∼20mm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평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의 크기에 상응하는 타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함침도포체(10)마다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여 보유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15g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하나의 함침도포체(10)가 직경 52mm, 높이 2mm인 원형의 평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15g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다고 가정할 때, 화장료의 하루 소비량을 고려하면 하나의 함침도포체(10)는 대체로 12일 정도의 소비 기간(또는 사용 수명)을 갖게 된다. 따라서, 5개 층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는 총 60일 정도의 소비 기간을 충족한다. 물론, 사용자의 화장 회수나 기호 및 함침도포체(10)의 오염 정도에 따라 소비 기간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는 각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된 화장료의 소비에 따라 상측의 것부터 하측의 것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된 화장료가 모두 사용되어 소진되면,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를 적층 상태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뒤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함침도포체(10)를 사용하여 화장을 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최하측의 함침도포체(10)까지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마다 각 함침도포체(10)의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박막부재(20)가 구비된다. 이 제1박막부재(20)는 각 함침도포체(10)에 함침된 상태로 보유되고 있는 화장료가 함침도포체(10)의 위쪽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1박막부재(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화합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박막부재(20)는 접착제에 의해 함침도포체(10)의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함침도포체(10)와 제1박막부재(20)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 일부분씩 여러 부위에 또는 전면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착체로는 무독성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접착제가 있다. 제1박막부재(20)는 상측면과 하측면이 모두 매끈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마다 각 함침도포체(10)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박막부재(30)가 구비된다. 이때 제2박막부재(30)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함침도포체(10)의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박막부재(20)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제2박막부재(30)는 각 함침도포체(10)에 함침된 상태로 보유되고 있는 화장료가 함침도포체(10)의 아래쪽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된 화장료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의 누출 가능성이 더 크므로, 제2박막부재(30)는 함침도포체(10)보다 더 넓은 바닥 면적을 갖도록 횡방향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화장료의 누출 방지에 더 바람직하다. 제2박막부재(30) 역시 제1박막부재(2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화합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박막부재(30)는 각각의 함침도포체(10)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만 될 뿐 함침도포체(10)와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함유되어 있던 화장료가 모두 사용되어 소진된 어느 하나의 함침도포체(10)를 적층 상태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경우에, 제2박막부재(30)는 제거되는 함침도포체(1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함침도포체(10) 상에 그대로 남게 된다. 예를 들면,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를 다른 함침도포체(10)들과의 적층 상태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박막부재(30)는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의 바로 아래쪽에 있는 함침도포체(10)의 위에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남게 된 제2박막부재(30)는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의 바로 아래쪽에 있는 함침도포체(10)를 사용하기 전까지 상기 아래쪽에 있는 함침도포체(10)가 외부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제거된 함침도포체(10)의 바로 아래쪽에 있는 함침도포체(10)를 사용할 때는 제2박막부재(30)를 제거하면 된다.
제2박막부재(30)는 상측면이나 하측면 또는 상측면과 하측면 모두에 돌기(31)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박막부재(30)의 상측면에 형성된 돌기(31)들은 제2박막부재(30)와 그 상측에 위치한 함침도포체(1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제2박막부재(30)가 그 상측의 함침도포체(10)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박막부재(30)의 하측면에 형성된 돌기(31)들은 제2박막부재(30)의 하측에 위치한 제1박막부재(20)와 그 하측에 위치한 제1박막부재(2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제2박막부재(30)가 그 하측의 제1박막부재(20)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제2박막부재(30)에는 손잡이(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손잡이(32)는, 제2박막부재(3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함침도포체(10) 상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박막부재(20)를 상대로 제2박막부재(30)를 제거할 때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잡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손잡이(32)는 제2박막부재(30)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제2박막부재(30)를 더욱 쉽게 제거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각 층마다 배치된 제2박막부재(30)에 형성되는 손잡이(32)는 그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한 다른 손잡이(32)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2박막부재(30)마다 테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함침도포체(10)를 사용자가 취하여 사용하기 쉽도록 하는 도포보조구(40)가 구비된다. 즉, 도포보조구(4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함침도포체(10)를 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면서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가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고 얼굴 등의 피부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구성 요소이다. 도포보조구(4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파지부(41)가 구비되는데,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은 띠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밖에 돌출 손잡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포보조구(40)는 파지부(41)를 포함해서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물질로 오염이 되었을 때는 언제든지 세척하여 반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포보조구(40)는 함침도포체(10)에 일체로 결합된 제1박막부재(20)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포보조구(40)의 저면부에 접착제 패치(42)가 구비되는데, 이 접착제 패치(42)는 제1박막부재(20)의 상면부를 상대로 붙였다 떼기를 여러 번 반복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 강도를 갖는 접착제가 도포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함침도포체(10)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박막부재(20)의 상면부에 도포보조구(40)의 저면부를 올려놓으면 도포보조구(40)의 접착제 패치(42)에 제1박막부재(20)의 상면부가 달라붙게 되어, 도 4의 모습과 같이 함침도포체(10)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10)와 제1박막부재(20) 및 제2박막부재(30)와 도포보조구(40)를 하측에서 수용하는 내용기(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내용기(50)는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도포보조구(4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의 구성 요소들을 모두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기(50)는 언제든지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내용기(50)를 밀폐 수용하는 외용기(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외용기(60)는 통상적인 콤팩트 케이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내용기(50)를 수용한 상태에서 밀폐가 되도록 뚜껑(61)이 구비된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부분 단면의 사시도인데, 외용기(60) 내에 수용된 내용기(50)와 이 내용기(50)에 수용된 함침도포체(10), 도포보조구(40)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도 6에서 도포보조구(40)를 제외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외용기(60)는, 함침도포체(10)와 제1박막부재(20) 및 제2박막부재(30)와 도포보조구(40)를 모두 사용 후 폐기하더라도, 또다른 함침도포체(10)와 제1박막부재(20) 및 제2박막부재(30)와 도포보조구(40)를 담는 용기로 재활용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존의 함침부재와 퍼프의 기능을 겸하는 함침도포체(10)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보조도포구(40)를 이용하여 최상측의 함침도포체(10)부터 최하측의 함침도포체(10)까지 각각의 함침도포체(10)에 함유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될 때마다 하나씩 사용하면 되므로, 하나의 함침부재 또는 도포구(퍼프)를 장기간 사용하는 데 따르는 오염으로 인해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함침부재의 화장료를 도포구에 충분히 묻히는 동작을 할 필요 없이 함침도포체(10)만으로 그대로 화장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함침도포체 20 : 제1박막부재
30 : 제2박막부재 31 : 돌기
32 : 손잡이 40 : 도포보조구
41 : 파지부 42 : 접착제 패치
50 : 내용기 60 : 외용기
61 : 뚜껑

Claims (10)

  1. 화장료가 항시 함침된 상태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게 되며, 적층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화장료의 소비에 따라 상측의 것부터 하측의 것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상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의 상향 누출을 방지하는 제1박막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마다 하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화장료의 하향 누출을 방지하되,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 중 상측의 함침도포체 폐기 후 하측의 함침도포체 사용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상측면과 하측면 중 어느 일면 이상에 돌기들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2박막부재;
    상기 제1박막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함침도포체를 사용자가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포보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도포체와 상기 제1박막부재의 결합은, 상기 함침도포체와 상기 제1박막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일부분 이상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박막부재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박막부재의 테두리로부터 상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한 다른 손잡이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제2박막부재마다 테두리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박막부재는 상기 함침도포체보다 횡방향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보조구는 상기 제1박막부재의 상면부를 상대로 붙였다 떼기를 반복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 강도를 갖는 접착제 패치를 저면부에 구비하여 상기 제1박막부재의 상면부와 결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함침도포체와 상기 제1박막부재 및 상기 제2박막부재와 상기 도포보조구를 아랫쪽에서 수용하는 내용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를 밀폐 수용하는 외용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KR2020200003854U 2020-10-27 2020-10-27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KR200493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4U KR200493700Y1 (ko) 2020-10-27 2020-10-27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4U KR200493700Y1 (ko) 2020-10-27 2020-10-27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00Y1 true KR200493700Y1 (ko) 2021-05-21

Family

ID=7614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54U KR200493700Y1 (ko) 2020-10-27 2020-10-27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0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747A (ja) * 1999-04-06 2000-10-17 Syst Integureeshiyon Kk 化粧用パフ
KR20170064995A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170091194A (ko) * 2016-01-29 2017-08-09 (주)아모레퍼시픽 실링지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20170111641A (ko) 2016-03-29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20180012071A (ko) * 2016-07-26 2018-02-05 안진경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747A (ja) * 1999-04-06 2000-10-17 Syst Integureeshiyon Kk 化粧用パフ
KR20170064995A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170091194A (ko) * 2016-01-29 2017-08-09 (주)아모레퍼시픽 실링지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20170111641A (ko) 2016-03-29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20180012071A (ko) * 2016-07-26 2018-02-05 안진경 화장용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32615B2 (en) Liquid applicator with an angled elongated head
KR102466834B1 (ko) 화장품
JP3907553B2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KR940011443B1 (ko) 약품용 패키지
US5440774A (en) Disposable individual gelled instant toothbrush and sealed brush pod therefor
US3955233A (en) Toilet utensil for applying toiletries
JP3876211B2 (ja) 着脱可能な塗布要素を有する特に化粧製品のための塗布装置
US9504303B2 (en) Hygienic cosmetic applicator
US20080078681A1 (en) Internal member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 packaging
JPH09238739A (ja) アプリケータとその収容ユニット
US5913312A (en) Nail polish bottle holder
AU779382B2 (en) A portable disposable personal article containing a product for body care
US6805510B2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93700Y1 (ko) 화장료의 함침 및 도포 기능 일체형 화장도구
JP2001328666A (ja) 密閉容器
KR200190839Y1 (ko) 휴대용 가루분 팩
KR101927047B1 (ko) 편리한 화장이 가능한 화장도구
KR101947708B1 (ko) 편리한 화장이 가능한 화장도구
KR101918479B1 (ko) 기름종이가 내장된 퍼프
JP3239193U (ja) 塗布用具
JP3060161U (ja) 艶出し剤の塗布具
KR200282771Y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US20040035438A1 (en) Powder case
JPS6038409Y2 (ja) マニキユア除光用容器
JPS5830481Y2 (ja) 化粧用エナメルリムバ−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