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69Y1 -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 Google Patents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69Y1
KR200493369Y1 KR2020200001516U KR20200001516U KR200493369Y1 KR 200493369 Y1 KR200493369 Y1 KR 200493369Y1 KR 2020200001516 U KR2020200001516 U KR 2020200001516U KR 20200001516 U KR20200001516 U KR 20200001516U KR 200493369 Y1 KR200493369 Y1 KR 200493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reel
inner body
cap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판수
Original Assignee
곽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판수 filed Critical 곽판수
Priority to KR2020200001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식판이 철망트레이에 지지되어 시소운동됨과 동시에 식판의 하단은 철망트레이에 구비된 거치용 코일스프링 사이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식판의 상단은 지지용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속됨에 따라 철망트레이의 시소운동시에 식판의 상대이동이 증대되어 식판의 표면에 묻은 음식찌꺼기 등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은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콘센트고정구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는 내부바디와, 일측에는 내부바디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캡바디와, 상기 콘센트고정구에 의해 상기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내부바디와 상기 캡바디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상기 캡바디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Rainproof type cable reel}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캠핑 시에 야외에서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의 전원케이블이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휴대용 전원케이블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위치됨에 따라 빗물이 유입되지 않고, 내부바디의 릴플랜지가 캡바디의 릴플랜지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짐에 따라 전도되더라도 내부의 콘센트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를 타고 유입될 수 없으며, 내부바디의 제 1 릴플랜지에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캡바디에는 손잡이가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에 캡바디의 손잡이를 접어 야외용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케이블 릴은 특히 야외에서 전원공급원이 원거리에 있을 경우라 하더라도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전원을 연결하여 각종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 릴은 릴바디와, 릴바디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에 연결되고 릴본체에 권취되는 비교적 긴 길이의 전원케이블을 포함함에 따라, 콘센트와 전원케이블의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꼬이지 않게 감아서 보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전원케이블은 최근 캠핑 또는 낚시 등과 같은 야외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수가 증대됨에 따라 그 수요가 배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케이블 릴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3247호(2004.06.22. 공고)에는 좌우양측의 플렌지부와 그 사이를 지지하는 케이블이 감기는 드럼으로 형성된 스풀과, 상기 일측 플렌지부에 체결되는 전원소켓과,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는 누전차단기와, 전원의 인가를 표시하는 점등램프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케이블과, 상기 스풀과 회전축을 통해 결합하여 스풀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스풀의 드럼에 케이블이 권취되는 구조의 케이블 릴에 있어서, 제 1 플렌지부와 케이블드럼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통자형의 제 1 스플과, 제 2 플렌지부가 형성된 제 2 스플이 서로 스크류로 체결되는 스플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케이블이 삽지되어 케이블의 외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스풀의 무작위한 회전을 방지시키기 위한 케이블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케이블 릴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26317호(2013.03.13. 공개)에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어 전선이 권취되는 전선 권취부와, 전선 권취부에 설치되는 콘센트로 이루어진 케이블 릴에 있어서, 전선 권취부의 전면판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속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에 결속되는 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콘센트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부재는 전면판의 관통공에 결속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정핀이 돌출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결속구에 구비되는 결속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와, 그 측부에 결속부재의 체결구에 형성된 고정핀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사이에 형성되어 체결구의 걸림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에는 패킹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9967호(2014.10.13. 공개)에는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게 되는 외측케이싱과, 상기 외측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엔 여러 기능부품이 설치되며 외측으로 케이블용 보빈이 결합 설치되는 다기능 본체(6)와, 그리고 상기 외측케이싱의 내측으로서 상기 다기능 본체의 외측으로 끼워 결합되고 케이블을 감거나 풀기 위하여 설치되는 케이블용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케이블 릴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2786호(2019.08.08. 공개)에는 지면에 고정을 위한 스파이크가 사방 테두리에 다수 형성된 베이스와, 케이블을 감거나 풀기 위한 스풀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상기 스풀을 고정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풀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위에 장착된 회전대를 포함하는 캠핑용 케이블 릴이 개시된다.
종래의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은 'ㄱ'자형 플러그(A') 형태가 부착된 전기기기 사용시 약간의 방수기능의 효과는 있으나 이를 위해 콘센트의 방수커버(두껑)의 전선인출구 방향을 하부(6시)로 위치한 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가사, 방수커버(두껑)의 전선인출구 방향을 상부(12시)로 위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빗방울이 전선을 타고 내부 콘센트에 그대로 유입되어 사용자들의 전기 감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전기기기 추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탈부착하는 불폄함을 최소화 하고자 곤으로 잡기 쉬운 일자형 플러그(A)가 부탁된 전기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일자형 플러그(A)가 부착된 전기제품을 플러그에 삽입하여 사용시 플러그 몸체의 길이가 'ㄱ'자형플러그(A') 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어서 콘센트의 방수커버(두껑)의 닫히지 않고 열려있으므로 방수 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사용중 플러그와 콘센트 부위에 접촉시 전기가 누전되어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감전사고를 유발 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들이 품명은 방우형 릴케이블이라고 명명되어 시장에 유통 및 판매되고는 있지만 실제 해당 제품의 경우 우천시 방우가 전혀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감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케이블 릴의 경우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순히 플러그에 방수커버가 결합된다 하더라도 틈을 따고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케이블 릴의 경우에는 야외에서 전원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 다른 부가 기능이 제공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3247호(2004.06.22.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26317호(2013.03.13. 공개)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9967호(2014.10.13. 공개)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2786호(2019.08.08.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위치됨에 따라 빗물이 유입되지 않고, 내부바디의 릴플랜지가 캡바디의 릴플랜지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짐에 따라 전도되더라도 내부의 콘센트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를 타고 유입될 수 없으며, 내부바디의 제 1 릴플랜지에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캡바디에는 손잡이가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에 캡바디의 손잡이를 접어 야외용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콘센트고정구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는 내부바디와, 일측에는 내부바디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캡바디와, 상기 콘센트고정구에 의해 상기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내부바디와 상기 캡바디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상기 캡바디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은 상기 캡바디의 손잡이에 연결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거치부재는 연쇄사슬 형태로 형성되고 단부에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부바디의 릴플랜지와 상기 캡바디의 릴플랜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바디의 릴플랜지는 상기 캡바디의 릴플랜지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부바디의 릴플랜지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의 타측면이 좌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캡바디의 손잡이는 접혀질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부바디는 상기 캡바디의 삽입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스크류에 위해 체결되도록, 상기 내부바디의 릴플랜지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보스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전원케이블의 외부 유도를 위해 상기 내부바디의 외주면에는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내주면에는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에 대응되는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부바디의 릴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제 1 매대걸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릴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매대걸이홀에 연통되는 제 2 매대걸이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의하면,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위치됨에 따라, 우천시라 하더라도 빗물이 콘센트로 유입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방수커버를 콘센트에 결합하지 않고도 방우 및 방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의하면, 내부바디의 릴플랜지가 캡바디의 릴플랜지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짐에 따라,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전도되더라도 내부의 콘센트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를 타고 유입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콘센트에 대한 방우 및 방수 기능이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의하면, 내부바디의 릴플랜지에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캡바디에는 손잡이가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에 캡바디의 손잡이를 접어 야외용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 외곽 케이스를 별도로 제작하여 본 고안을 내부에 안착하면 회전형 방수형 전원케이블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분해시사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있어서, 내부바디와 캡바디의 상세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전도상태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분해시사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에 있어서, 내부바디와 캡바디의 상세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전도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은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콘센트고정구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는 내부바디와, 일측에는 내부바디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릴플랜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캡바디와, 상기 콘센트고정구에 의해 상기 내부바디의 수용홈 내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내부바디와 상기 캡바디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상기 캡바디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각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의 바닥에는 콘센트고정구(12)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릴플랜지(13)가 형성되는 내부바디(10)와, 일측에는 내부바디(10)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릴플랜지(23)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되는 캡바디(20)와, 상기 콘센트고정구(12)에 의해 상기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내부바디(10)와 상기 캡바디(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상기 캡바디(20)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전원케이블(31)이 연결되는 콘센트(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바디(10)는 차후에 설명될 콘센트(30)를 내부 깊이 내장되도록 함에 따라 우천시 빗물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수용함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11)이 예를 들어 타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홈(11) 내에는 콘센트(30)가 장착되어 각종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전기적 접속을 위해 콘센트(30)로 진입될 수 있다.
수용홈(11)의 바닥에는 콘센트(3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고정되는 콘센트고정구(12)가 구비된다. 콘센트고정구(12)는 콘센트(30)의 양측이 동시에 지지되는 2열의 선형고정리브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콘센트고정구(12)에 콘센트(30)가 용이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바디(10)의 외주면에는 콘센트삽입홀(18)이 콘센트고정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은 콘센트삽입홀(18)을 통해 내부바디(10)의 외부로 최초로 빠져나오게 된다.
내부바디(10)의 일단에는 릴플랜지(13)가 형성된다. 릴플랜지(13)는 캡바디(20)의 외주면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일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홈(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타원형으로 확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원형으로 확장형성되는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는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전도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 내장된 콘센트(30)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10)를 타고 유입될 수 없게 됨에 따라 콘센트(30)에 대한 방우 및 방수 기능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에는 지지다리(14)가 구비된다. 지지다리(14)는 필요시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가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야외용 의자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일종의 의자다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상,하,좌,우측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바디(10)가 상기 캡바디(20)의 삽입홈(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스크류에 위해 체결되도록,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스크류의 관통결합을 위한 체결공(15)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캡바디(20)에는 체결공(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스크류의 관통결합을 위한 체결보스(25)가 형성된다.
또한 차후에 설명될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와 내부바디(10)와 캡바디(20) 사이로 유도되도록, 내부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전원케이블(31)의 일부분의 반부가 위치되는 그루브 형태의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이 형성된다. 이 때 캡바디(20)의 내주면에는 전원케이블(31)의 일부분의 나머지 반부가 위치되는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26)이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은 콘센트 삽입을 위한 콘센트삽입홀(18)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매장의 매대 상에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진열될 수 있도록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외주면에는 제 1 매대걸이홀(17)이 형성된다. 이 때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의 외주면에도 제 1 매대걸이홀(17)에 연통되는 제 2 매대걸이홀(27)이 형성된다.
전술한 내부바디(10)는 캡바디(20) 내에 삽입결합된다. 캡바디(20)는 내부바디(10)의 보호커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실제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보빈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내부바디(10)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21)이 예를 들어 타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캡바디(20)의 타단에는 릴플랜지(23)가 형성된다. 릴플랜지(23)는 캡바디(20)의 외주면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타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삽입홈(21)의 형상에 대응되게 타원형으로 확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원형으로 확장형성되는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는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 보다 더 큰 장축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전도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 내장된 콘센트(30)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10)를 타고 유입될 수 없게 됨에 따라 콘센트(30)에 대한 방우 및 방수 기능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캡바디(20)의 타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손잡이(24)는 필요시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가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야외용 의자로 사용될 때 캡바디(20)의 타측면이 좌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릴플랜지(23)를 포함하는 캡바디(20)의 타측면에는 접혀진 손잡이(24)가 수용가능한 별도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릴플랜지(23)를 포함하는 캡바디(20)의 타측면은 사용자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바디(20)의 삽입홈(21) 내에 내부바디(10)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스크류에 위해 체결되도록, 캡바디(20)에는 체결스크류의 관통결합을 위한 체결보스(25)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보스(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스크류의 관통결합을 위한 체결공(15)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차후에 설명될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와 내부바디(10)와 캡바디(20) 사이로 유도되도록, 캡바디(20)의 내주면에는 전원케이블(31)의 일부분의 반부가 위치되는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26)이 형성된다. 이 때 내부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전원케이블(31)의 일부분의 반부가 위치되는 그루브 형태의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이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2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매장의 매대 상에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진열될 수 있도록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의 외주면에도 제 2 매대걸이홀(27)이 형성된다. 이 때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외주면에는 제 1 매대걸이홀(17)이 제 2 매대걸이홀(27)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는 콘센트(30)가 콘센트고정구(12)에 의해 구비된다. 콘센트(30)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야외 등에서 사용학자 하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전원케이블(31)이 연결된다.
전원케이블(31)은 예를 들어 야외 등에서 원거리에 있는 전워농급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내부바디(10)와 캡바디(20) 사이, 즉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과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26)을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캡바디(20)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진다.
이러한 콘센트(3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캡바디(20)의 손잡이(24)에는 거치부재(40)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재(40)는 야외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나뭇가지나 텐트기둥 등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쇄사슬 형태로 형성 가능하고 단부에는 걸고리(41)가 구비될 수 있다.
캡바디(20)의 손잡이(24)에 연결된 거치부재(40)를 나뭇가지나 텐트기둥 등에 걸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을 거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와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되,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와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가 상부에 위치된다.
이 때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하부방향으로만 개방된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 깊숙히 위치됨에 따라, 우천시라 하더라도 빗물이 콘센트(30)로 유입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방수커버를 콘센트에 결합하지 않고도 방우 및 방수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경우에는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가 내부바디의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짐에 따라,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이 전도, 즉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와 내부바디의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가 동시에 지면에 접하더라도,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바디(10) 내의 콘센트(30)에 대해 자연스러운 배수경사가 형성되어 빗물이 내부바디(10)를 타고 역으로 유입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콘센트(30)에 대한 방우 및 방수 기능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의 경우에는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에 지지다리(14)가 구비되고 캡바디(20)에는 손잡이(24)가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에 캡바디(20)의 손잡이(24)를 접어 야외용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내부바디
11 : 수용홈
12 : 콘센트고정구
13 : 릴플랜지
14 : 지지다리
15 : 체결공
16 :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
17 : 제 1 매대걸이홀
18 : 콘센트삽입홀
20 : 캡바디
21 : 삽입홈
23 : 릴플랜지
24 : 손잡이
25 : 체결보스
26 :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
27 : 제 2 매대걸이홀
30 : 콘센트
31 : 전원케이블
40 : 거치부재
41 : 걸고리
A, A: 전기기기플러그

Claims (8)

  1.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의 바닥에는 콘센트고정구(12)가 구비되며 일단에는 릴플랜지(13)가 형성되는 내부바디(10);
    일측에는 내부바디(10)가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릴플랜지(23)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되는 캡바디(20); 및
    상기 콘센트고정구(12)에 의해 상기 내부바디(10)의 수용홈(11) 내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내부바디(10)와 상기 캡바디(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상기 캡바디(20)의 둘레에 권출가능하게 감겨지는 전원케이블(31)이 연결되는 콘센트(3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바디(10) 외주연에는 상기 콘센트고정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콘센트(30)가 용이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1)이 상기 내부바디(10)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콘센트삽입홀(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20)의 손잡이(24)에 연결되는 거치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40)는 연쇄사슬 형태로 형성되고 단부에는 걸고리(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와 상기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는 상기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 보다 더 작은 장축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에는 지지다리(14)가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20)의 타측면이 좌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캡바디(20)의 손잡이(24)는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10)는 상기 캡바디(20)의 삽입홈(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스크류에 위해 체결되도록,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공(15)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20)에는 상기 체결공(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보스(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31)의 외부 유도를 위해 상기 내부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20)의 내주면에는 제 1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16)에 대응되는 제 2 케이블유도용 반분할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10)의 릴플랜지(13)의 외주면에는 제 1 매대걸이홀(17)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20)의 릴플랜지(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매대걸이홀(17)에 연통되는 제 2 매대걸이홀(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KR2020200001516U 2020-05-06 2020-05-06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KR200493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16U KR200493369Y1 (ko) 2020-05-06 2020-05-06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16U KR200493369Y1 (ko) 2020-05-06 2020-05-06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69Y1 true KR200493369Y1 (ko) 2021-03-17

Family

ID=7523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16U KR200493369Y1 (ko) 2020-05-06 2020-05-06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729B1 (ko) * 2021-03-26 2021-06-24 임철호 환경 친화적 생분해성 조립식 일체형 종이보빈
CN113612090A (zh) * 2021-07-23 2021-11-05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线缆收放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52Y1 (ko) * 2002-10-21 2003-05-0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제품 걸이구가 형성된 코드 릴
KR200353247Y1 (ko) 2004-03-05 2004-06-22 이근철 일체형의 이동식 케이블 릴
KR20130026317A (ko) 2011-09-05 2013-03-13 김성숙 케이블 릴
KR20140004438U (ko) * 2013-01-16 2014-07-24 김효성 휴대용 전선릴
KR20140119967A (ko) 2013-04-01 2014-10-13 (주)아이앤알앤디센타 다기능 전원 케이블 릴 장치
KR20190092786A (ko)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제이에스몰 캠핑용 케이블 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52Y1 (ko) * 2002-10-21 2003-05-0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제품 걸이구가 형성된 코드 릴
KR200353247Y1 (ko) 2004-03-05 2004-06-22 이근철 일체형의 이동식 케이블 릴
KR20130026317A (ko) 2011-09-05 2013-03-13 김성숙 케이블 릴
KR20140004438U (ko) * 2013-01-16 2014-07-24 김효성 휴대용 전선릴
KR20140119967A (ko) 2013-04-01 2014-10-13 (주)아이앤알앤디센타 다기능 전원 케이블 릴 장치
KR20190092786A (ko)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제이에스몰 캠핑용 케이블 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729B1 (ko) * 2021-03-26 2021-06-24 임철호 환경 친화적 생분해성 조립식 일체형 종이보빈
CN113612090A (zh) * 2021-07-23 2021-11-05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线缆收放装置
CN113612090B (zh) * 2021-07-23 2024-04-26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线缆收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69Y1 (ko) 방우형 전원케이블 릴
US6837255B2 (en) Illuminated umbrella assembly having self-contained and replacable lighting
US7017598B2 (en) Powered patio pole umbrella
US20070242450A1 (en) Umbrella light
CN204693157U (zh) 带有自动收线底座的台灯
US20100051310A1 (en) Power post
US9190824B2 (en) Cord reel
KR20170088372A (ko) 조명을 가지는 텐트와 텐트 프레임
US20190313829A1 (en) Collapsible holiday decoration with internal storage
US4331720A (en) Christmas tree
KR101503697B1 (ko) 다기능 전원 케이블 릴 장치
RU2298272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едств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в электроприборе
KR101381456B1 (ko) 휴대용 릴낚시 케이스
KR101769234B1 (ko) 전등 지지대를 구비한 돗자리
JPH07220832A (ja) 電源ポール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100420728B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자유 인출·복귀장치
CN217903565U (zh) 电源插座组件
KR20120131498A (ko)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US7883752B2 (en) Table top topiary
AU2646100A (en) Lighting structural arrangement for outdoor structures
KR200355820Y1 (ko) 다기능 덮개를 갖춘 건축용 전기 콘센트
KR20120129374A (ko) 전선정리 및 보관 기능이 있는 슬라이드 형식의 콘센트
KR200459638Y1 (ko) 휴대가 간편한 지팡이 겸용 의자
CN110870748B (zh) 一种电器水管固定结构及移动式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