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93Y1 -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93Y1
KR200493293Y1 KR2020200002665U KR20200002665U KR200493293Y1 KR 200493293 Y1 KR200493293 Y1 KR 200493293Y1 KR 2020200002665 U KR2020200002665 U KR 2020200002665U KR 20200002665 U KR20200002665 U KR 20200002665U KR 200493293 Y1 KR200493293 Y1 KR 200493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fixed
safety fence
winding memb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표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텍 filed Critical (주)하이원텍
Priority to KR2020200002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 스트랩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의 양 측면에 대응되게 측판이 형성된 스트랩 감김부재;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에 소정의 길이만큼 스트랩이 감긴 스트랩부재; 상기 스트랩부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포스트;를 마련하여 스트랩 감김부재에 감겨 있는 스트랩을 고정포스트에 걸어 간단하면서도 간편하게 안전 펜스를 설치할 수 있고, 스트랩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후크를 고정포스트에 걸어 안전펜스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Safety fence with belt}
본 고안은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릴에 감겨있는 스트랩을 이용하여 펜스를 설치함으로써 펜스의 설치 및 펜스의 구역 변경 등의 구조적인 변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또는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안전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펜스 중에는 와이어 로프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활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양측에 설치된 지주의 사이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일정하게 유지되던 장력이 저하되어 안전펜스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일일이 조절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산업현장에서 급작스러운 외부충격 등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안전펜스는 무단횡단 방지, 어린이 보호구역, 교량난간, 보도난간, 울타리 등에 설치하여 사고의 위험요소를 예방하여 사람이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의 양측으로 인도가 설치되는데, 이는 자동차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불의의 사고나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하여 인도를 침범하거나 무단횡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우려가 다분한데, 이러한 사고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스틸,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하게 된다.
또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로 경계구역이나 높은 축대, 다리,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는 도로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고, 그외 주택이나 건물의 경계용, 인도변 시설물,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 및 계단의 난간 등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경기를 함에 있어 선수나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경기에 대한 집중력 또는 운동방향에 대한 관성력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벽체와의 충돌로부터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운동시설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안전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펜스는 운동시설 내에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시설이지만 매년 안전펜스와의 충돌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부상을 당하고 있다.
일 예로, 야구장의 외야펜스의 경우 외야수가 경기에 집중하여 뜬 공을 잡기 위해 전력으로 질주하다 외야펜스에 부딪혀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경기를 하는 선수 또한 외야펜스와의 충돌로 인한 부상을 염려하여 경기력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동계 스포츠로서 대중의 높은 인기를 끌고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키나 스노우보드의 경우 스키에 미숙한 초보 스키어들이 중급자 이상의 코스를 타고 내려오는 중 스키장의 코스를 이탈하여 코스 외곽에 설치된 펜스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매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안전펜스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로 다양한 재질의 쿠션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안전펜스가 주로 설치되어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안전펜스는 정면충돌 즉 쿠션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충돌한 경우 어느 정도의 충격완화 효과가 있으나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비스듬히 충돌을 한 경우에는 완충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진 운동시설의 경우 그 운동시설의 외곽 전체를 쿠션재로 된 안전펜스로 설치한다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는 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와, 한 쌍의 상기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봉과, 상기 지주와 가로봉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전 면이 개방된 'ㄷ'자 형의 단면을 갖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가로봉이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가로봉이 끼워지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제 1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가로봉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에 고정되며 상기 중공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부싱편이 복수로 이격배치되어 하나의 관 형상을 이뤄 상기 부싱편의 내주연에 상기 가로봉의 끝단이 삽입되고 상기 부싱편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의 내주연에는 상기 부싱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유연성을 구비한 안전펜스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유연성을 구비한 안전펜스 지지장치는 상측 면은 밀폐되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측 면의 원주 말미에 걸림부를 형성하면서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하측 면은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개폐하기 위한 캡과, 상측면과 하측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 면으로 상부케이스의 하부가 내삽되며, 파이프 형상의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하면이 부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부와, 상부케이스에 내삽되며, 상부케이스의 돌기부 외주면에 외삽되고, 상부 면이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걸림부와 접하며, 하부 면은 하부지지부 상면과 접하는 제1 완충탄성체와, 제1 완충탄성체에 비해 길이가 짧고, 제1완충탄성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부가 상부케이스의 돌기부에 내삽되고, 하단이 하부지지부의 상면과 접하는 제2 완충탄성체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는 로킹와셔와, 로킹와셔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1 완충탄성체의 초기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너트와, 하부 말미에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부케이스, 와셔 및 조절너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조절너트가 이송되며 제1 완충 탄성체의 초기압축력을 조절하여 설정하기 위한 스크류축 및 제2 탄성체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은 스크류축의 연결고리와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지지부의 하면에서 걸림핀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하부지지부는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연결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여러 각도에서 안전펜스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충격을 흡수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및 연결부재와 함께 원주말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외력의 방향으로 힌지회동하는 원형의 하부 플레이트 및 중앙부에 연결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에 하부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면 중앙부에는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핀이 수용되는 핀홈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수용부를 포함한다.
제1 완충탄성체의 초기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너트를 죄거나 풀어 제1 완충탄성체를 압축 또는 팽창시킬 경우 제1 완충탄성체의 압축 또는 팽창된 길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완충탄성체와 함께 승강운동을 하는 상부케이스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표시된 지시눈금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8676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0435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80673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펜스를 릴에 감겨있는 스트랩을 이용하여 풀어주면서 안전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에 맞게 스트랩의 길이를 가변시켜 자유롭게 안전펜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에 관계없이 그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안전펜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이 변경되더라도 스트랩을 이용하여 곧바로 안전펜스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는 스트랩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의 양 측면에 대응되게 측판(14)이 형성된 스트랩 감김부재(10);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소정의 길이만큼 스트랩(21)이 감긴 스트랩부재(20); 상기 스트랩부재(20)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포스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는 고정축(11); 상기 고정축(1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회전통(13)에 타단이 고정된 나선형 스프링(12);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랩(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21)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타단에 고정되는 회전통(13); 상기 스트랩(21)이 정렬된 상태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1)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랩(21)이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판(14)의 일면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16); 상기 스트랩(21)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측판(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받침대(17); 상기 스트랩(21)이 꼬이지 않게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받침대(17)에 형성되는 상부안내구멍(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랩부재(20)는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나선혐으로 감겨 있는 스트랩(21); 상기 스트랩(21)의 끝단에 고정되는 스트랩고정대(22); 상기 고정포스트(3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고정대(22)에 고정되는 고정후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의 상기 측판(14)에는 상기 스트랩부재(20)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풀림방지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재(20)가 풀리거나 감기지 않도록 상기 품림방지구멍(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에 의하면, 스트랩 감김부재에 감겨 있는 스트랩을 고정포스트에 걸어 간단하면서도 간편하게 안전 펜스를 설치할 수 있고, 스트랩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후크를 고정포스트에 걸어 안전펜스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에 의하면, 스트랩 감김부재에 스토퍼를 풀림방지구멍에 끼워 스트랩이 임의적으로 풀리거나 감기지 않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안내구멍에 의해 스트랩이 인출되어 스트랩의 인출 시 스트랩이 꼬이거나 비틀리지 않게 되고,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이 변경되더라도 구역에 상관없이 안전 펜스를 신속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고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의 스트랩 감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의 스트랩 감김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는 스트랩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의 양 측면에 대응되게 측판(14)이 형성된 스트랩 감김부재(10)와,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소정의 길이만큼 스트랩(21)이 감긴 스트랩부재(20)와, 상기 스트랩부재(20)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포스트(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는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일측에 고정 포스트(3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포스트(30)에 스트랩(21)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킨 다음 스트랩(21)으로 안전 펜스를 설치함으로써, 안전 펜스를 간편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21)을 나선형 스프링(12)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스트랩(21)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전 펜스를 자유롭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의 스트랩 감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의 스트랩 감김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펜스는 스트랩(21)이 감겨 있는 스트랩 감김부재(10)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스트랩부재(20) 및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포스트(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는 고정축(11)과, 상기 고정축(1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회전통(13)에 타단이 고정된 나선형 스프링(12)과,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랩(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21)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타단에 고정되는 회전통(13)과, 상기 스트랩(21)이 정렬된 상태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1)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는 중앙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고정축(2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에는 탄성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12)이 고정된다.
아울러 스트랩부재(20)의 인출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회전통(13)이 고정된다. 즉,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일단은 고정축(11)에 고정되고, 나선형 스프링(12)의 타단은 회전통(1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통(13)은 스트랩(21)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스트랩(21)이 풀리게 되면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은 회전통(13)에 의해 회전되면서 나선형 스프링(12)이 인장된다.
이러한 나선형 스프링(12)은 나선형으로 감겨 있으므로, 회전통(13)에 의해 신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고자 하는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스트랩(21)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축(11)의 양측에는 스트랩(21)이 펼쳐진 상태로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양 측판(14)이 고정된다.
상기 측판(14)은 스트랩(2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측판(14a)와 스트랩(21)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측판(1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측판(14)은 스트랩(21)이 풀리거나 감길 때 틀어지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판(14)에는 스트랩(21)의 풀림 및 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구멍(15)이 형성되며, 상기 풀림방지구멍(15)은 측판(14)의 원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스트랩(21)이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판(14)의 일면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16)와, 상기 스트랩(21)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측판(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받침대(17)와, 상기 스트랩(21)이 꼬이지 않게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받침대(17)에 형성되는 상부안내구멍(18)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대(16)는 측판(14)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받침대(16)는 단면상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받침대(16)에는 스트랩(21)의 인출을 안내하는 상부받침대(17)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받침대(17)는 단면상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대(17)는 하부받침대(16)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판(17a)과 상기 수직판(17a)의 상단에서 스트랩(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판(17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판(17b)에는 스트랩(21)의 인출 시 스트랩(21)을 안내하는 상부안내구멍(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안내구멍(18)은 스트랩(21)의 폭과 두께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스트랩(21)이 안정적으로 인출되게 함은 물론 스트랩(21)의 인출 시 스트랩(21)이 꼬이거나 비틀어지지 않게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받침대(16)와 상부받침대(17)는 고정볼트(19)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는 안전 펜스를 구성하는 스트랩(21)이 롤 형태로 감아져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랩부재(20)는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나선혐으로 감겨 있는 스트랩(21)와, 상기 스트랩(21)의 끝단에 고정되는 스트랩고정대(22)와, 상기 고정포스트(3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고정대(22)에 고정되는 고정후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랩(21)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것으로, 상기 스트랩(21)의 일단은 회전통(13)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트랩(21)은 회전통(13)의 외측에 롤 형태로 감겨지게 된다.
상기 스트랩(21)의 일단에는 스트랩고정대(22)가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고정대(22)는 스트랩(21)이 상부안내구멍(18)으로 인입되지 않게 상부안내구멍(18)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또 상기 스트랩고정대(22)에는 스트랩(21)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후크(23)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포스트(30)는 스트랩(21)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포스트(3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31)와 상기 고정후크(23)를 걸 수 있게 고정고리(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의 풀림방지구멍(15)에 끼워지는 스토퍼(40)가 구비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는 고정축(11)의 외측에 나선형 스프링(12)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타단에는 스트랩(2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통(13)을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통(13)의 외측에는 스트랩(21)이 감겨지며, 상기 회전통(13)의 양 측면에는 각각 제1 측판(14a)과 제2 측판(14b)을 각각 고정한다.
이에 상기 스트랩(21)은 측판(14)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꼬이거나 비틀어지지 않고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인출된다.
상기 측판(14)에는 스트랩(21)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풀림방지구멍(15)을 형성하며, 상기 풀림방지구멍(15)에 끼워져 스트랩(21)이 임의적으로 풀리거나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40)를 구비한다.
상기 측판(14)의 일측에는 하부받침대(16)가 고정되고, 하부받침대(16)에는 스트랩(21)의 인출을 안내하는 상부받침대(17)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받침대(17)에는 스트랩(21)의 인출을 안내하는 상부안내구멍(18)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통(13)에는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을 표시하는 스트랩(21)이 감겨진다.
상기 스트랩(21)의 선단에는 스트랩고정대(22)가 고정되고, 스트랩고정대(22)에는 고정포스트(30)에 걸어 탈착시킬 수 있는 고정후크(23)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포스트(30)는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포스트(30)에는 고정후크(23)를 걸 수 있게 고정고리(32)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포스트(30)는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고,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는 고정포스트(3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스트랩 감김부재(10)와 고정포스트(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21)을 인출시킨다.
이에 상기 스트랩(21)이 풀리면서 나선형 스프링(12)도 풀리게 되며, 상기 스트랩(21)의 고정후크(23)를 고정포스트(30)의 고정고리(32)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스트랩(21)은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풀림방지구멍(15)에 스토퍼(40)를 끼우게 된다.
이에 상기 스토퍼(40)는 상부받침대(17)에 걸려 스트랩(21)이 임의적으로 감기거나 풀리지 않게 되며, 상기 스트랩(21)은 스트랩 감김부재(10)와 고정포스트(30) 사이에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 감김부재(10)와 고정포스트(30) 사이에 설치된 스트랩(21)에 의해 안전 펜스를 간편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역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를 이동시킨 다음 스트랩(21)을 인출시켜 고정포스트(30)에 걸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스트랩 감김부재 11: 고정축
12: 나선형 스프링 13: 회전통
14: 측판 14a: 제1 측판
14b: 제2 측판 15: 풀림방지구멍
16: 하부받침대 17: 상부받침대
17a: 수직판 17b: 상부판
18: 상부안내구멍 19: 고정볼트
20: 스트랩부재 21: 스트랩
22: 스트랩고정대 23: 고정후크
30: 고정포스트 31: 포스트
32: 고정고리
40: 스토퍼

Claims (5)

  1. 스트랩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의 양 측면에 대응되게 측판(14)이 형성된 스트랩 감김부재(10);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소정의 길이만큼 스트랩(21)이 감긴 스트랩부재(20);
    상기 스트랩부재(20)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포스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는,
    고정축(11);
    상기 고정축(1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회전통(13)에 타단이 고정된 나선형 스프링(12);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랩(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21)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나선형 스프링(12)의 타단에 고정되는 회전통(13);
    상기 스트랩(21)이 정렬된 상태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1)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판(14);
    상기 스트랩(21)이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판(14)의 일면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16);
    상기 스트랩(21)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측판(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받침대(17);
    상기 스트랩(21)이 꼬이지 않게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받침대(17)에 형성되는 상부안내구멍(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받침대(17)는,
    하부받침대(16)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판(17a);
    상기 수직판(17a)의 상단에서 스트랩(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안내구멍(18)이 형성된 상부판(17b);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부재(20)는,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스트랩(21);
    상기 스트랩(21)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21)이 상부안내구멍(18)으로 인입되지 않게 상부안내구멍(18)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스트랩고정대(22);
    상기 고정포스트(30)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고정대(22)에 고정되는 고정후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감김부재(10)의 상기 측판(14)에는 상기 스트랩부재(20)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풀림방지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재(20)가 풀리거나 감기지 않도록 상기 풀림방지구멍(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KR2020200002665U 2020-07-22 2020-07-22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KR200493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5U KR200493293Y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5U KR200493293Y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93Y1 true KR200493293Y1 (ko) 2021-03-08

Family

ID=7487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65U KR200493293Y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9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36U (ko) * 1998-12-31 1999-04-26 김은숙 호스릴의 호스가이드 구조체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100107931A (ko) * 2009-03-27 2010-10-0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다용도 펜스
KR101486762B1 (ko) 2014-09-29 2015-01-28 우성안전 주식회사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1635577B1 (ko) *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KR20170004354A (ko) 2015-07-02 2017-01-11 오영일 유연성을 구비한 안전펜스 지지장치
KR20190080673A (ko) 2017-12-28 2019-07-08 진주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36U (ko) * 1998-12-31 1999-04-26 김은숙 호스릴의 호스가이드 구조체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100107931A (ko) * 2009-03-27 2010-10-0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다용도 펜스
KR101486762B1 (ko) 2014-09-29 2015-01-28 우성안전 주식회사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20170004354A (ko) 2015-07-02 2017-01-11 오영일 유연성을 구비한 안전펜스 지지장치
KR101635577B1 (ko) *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KR20190080673A (ko) 2017-12-28 2019-07-08 진주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4635C (en) Trampoline with enclosure
US4730810A (en) Protective barrier against falls of stones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US20140243155A1 (en)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US8573565B1 (en) Multipurpose seasonal safety support fence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US6082697A (en) Outdoor goal anchor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CA2614521A1 (en) Continuously height-adjustable jump cup attachment bracket and safety feature mechanism
US4342459A (en) Tethered ball game apparatus having eccentric tensioning means
JP5595325B2 (ja) 防護柵
KR101596168B1 (ko) 낙하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어드벤처 시설물
KR200493293Y1 (ko) 스트랩을 이용한 안전 펜스
US3931965A (en) Net post retention device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CN209114970U (zh) 电力工程作业用安全防护装置
KR100953164B1 (ko) 체육시설용 펜스
JP2011069193A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US4721306A (en) Hockey safety net
KR100604179B1 (ko) 낙석등을 막아내고 낙석등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호장치
CN209686497U (zh) 一种油缸防护装置
JP3844970B2 (ja) 落石,土砂,流木,雪崩等の防止施設およびその保護方法
JP5014448B2 (ja)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JP2000501004A (ja) テニスゲームに関する改良
JP3825218B2 (ja) 落石防止用網状構造物
DE4101279A1 (de) Ortsvariabel aufstellbarer pfosten, geeignet fuer ein mobiles tennisnetz, insbesondere fuer einen kinder-tennisplat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