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54Y1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54Y1
KR200492954Y1 KR2020180001240U KR20180001240U KR200492954Y1 KR 200492954 Y1 KR200492954 Y1 KR 200492954Y1 KR 2020180001240 U KR2020180001240 U KR 2020180001240U KR 20180001240 U KR20180001240 U KR 20180001240U KR 200492954 Y1 KR200492954 Y1 KR 200492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heet
support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49U (ko
Inventor
신동일
Original Assignee
(주)라이브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브플렉스 filed Critical (주)라이브플렉스
Priority to KR2020180001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54Y1/ko
Priority to JP2018002042U priority patent/JP3217504U/ja
Priority to US16/016,858 priority patent/US10760297B2/en
Publication of KR20190002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6Centre-pole supported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시트(100)와; 상기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을 포함하는 지지폴조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고안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티피형 텐트는, 남부 캐나다, 북미 평원부, 북서부를 이동하면서 사냥하는 문화를 가진 부족의 야영지인 티피를 본따 제작한 텐트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므로 필요한 자재가 적고 설치가 쉬운 텐트이다.
티피형 텐트는, 그 크기가 작은 것부터 몇 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거대한 사이즈로도 제작 가능하며, 중앙에 커다란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우고, 이것을 버팀대로 하여 천을 땅바닥까지 덮어씌운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강풍에 잘 견디며, 내부에서 불을 피울 수 있는 점 등으로 보온성이 뛰어난 강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티피형 텐트는 중앙에 폴대가 세워지기 때문에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텐트 내부의 실제 활용공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2273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텐트 상단부에 프레임이 추가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상단부에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됨으로써, 티피형 텐트의 본래 장점인 간단한 구조와 설치의 용이성을 후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을 휴대해야 하는바, 휴대성이 중요한 텐트에 있어서 중량 및 부피가 증가되고, 텐트의 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20-2013-0002273 U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용가능한 내부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시트(100)와; 상기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을 포함하는 지지폴조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개시한다.
상기 시트(100)는, 하단의 평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다각형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외형을 형상하는 고정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트는, 상기 피크(P1, P2) 및 상기 고정결합부(300)의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시트(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결합부(300)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100), 상기 고정결합부(300)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시트(100)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고정결합부(300)가 결합된 부분 사이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부재(41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상기 텐트의 내부공간(S)으로의 통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110)가 상기 피크(P1, P2)를 가장자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110)를 복개하는 복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폴조립체(200)는, 상기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결합구조를 갖도록, 상기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를 연결하는 커넥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텐트를 구성하는 시트를 2개의 픽크를 가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단일 피크를 가지는 종래의 텐트에 비하여 동일 바닥면적 대비 더 넓은 내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간활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내부공간에 대한 2개의 픽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메인폴부재의 상단에서 분기된 한 쌍의 분기폴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텐트 내부의 바닥측 하단부는 기존의 티피형 텐트와 동일하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텐트의 상단으로 갈수록 공간이 급격히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종래 활용공간을 증대하기 위하여 프레임 등의 추가로 비용이 증가하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없이, 메인폴부재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의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구현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추가적인 비용이 없으며 그 설치가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Y자형 지지폴조립체를 이용하는바, 텐트의 시트를 2개의 피크를 형성하며 지지하게 되고, 이로써 2개의 피크 사이에 일정한 텐션을 가함으로써 텐트 설치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텐트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텐트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텐트의 지지폴조립체의 내부 설치모습을 보여주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텐트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텐트의 일 실시예로서, 출입부와 차양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텐트 중 통풍구가 개방되어 내부로 통풍이 가능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텐트 중 지지폴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은, 도 1의 텐트 중 내부에서 지지폴조립체가 시트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텐트 중 고정결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텐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시트(100)와;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메인폴부재(210)와,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을 포함하는 지지폴조립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100)는,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지지폴조립체(200)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가 생활할 수 있는 내부공간(S)를 형성하며, 텐트의 전체 형상 및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100)는, 텐트의 천장, 벽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지지폴조립체(2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텐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설치가 완성된 텐트의 천장 및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시트(100)는, 텐트의 바닥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트(100)는 지지폴조립체(200)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됨으로써, 텐트의 형상을 이루며 내부공간(S)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100)는, 폴리에스테르 소재, 면 소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텐트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방수 재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텐트의 내부공간(S)으로의 통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110)가 피크(P1, P2)를 가장자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110)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가 티피형 텐트의 변형으로서, 내부공간(S)에 원칙적으로 불을 피우거나, 기타 온열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기를 밖으로 내보내거나, 공기의 순환이 필요한 내부공간(S)의 환기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통풍구(110)는, 텐트의 내부공간(S)으로의 통풍을 위하여 시트(100)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통풍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풍구(110)는, 피크(P1, P2)를 가장자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피크(P1, P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피크(P1, P2)에 인접하여 텐트의 정면 및 배면에 통풍구(110)를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통풍구(110)를 텐트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하여, 바람이 내부공간(S)에서 잘 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풍구(110)는 통풍구(110)로의 벌레 등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메쉬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망은, 벌레 등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충망 재질과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시트(100)에 결합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은, 캠핑 등에 주로 이용되는 텐트의 특성상 내부의 불빛을 통한 벌레의 유인이 활발할 수 있는바, 벌레의 진입을 차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텐트 내부의 별도 전원장치 또는 배터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통해 침입하는 벌레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통풍구(110)는, 통풍구(110)의 형성으로 통풍구(110) 하측 시트(100)가 중력에 의해 쳐짐으로써, 텐트의 전체적인 형상과 균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이 후술하는 지지부(170)에 결합되고, 타단이 통풍구(110)의 테두리를 보강하는 테두리보강부(171)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1, 112)는, 통풍구(110)를 가로질러 시트(100)에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통풍구(110)를 통하여 이물질, 한기가 내부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통풍구(110)를 복개하는 복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개부(120)는, 통풍구(110)를 복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개부(120)는, 텐트의 천장 외면에 설치되어, 텐트의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되는 통풍구(110)를 복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풍구(110)가 2개의 픽크(P1, P2)를 정점으로 하나 씩 형성됨을 고려하여, 복개부(120)는, 2개의 픽크(P1, P2)를 모두 덮는 동시에 2개의 픽크(P1, P2)를 정점으로 하측으로 연장되어 다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된 통풍구(110)를 모두 복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개부(120)는, 2개의 픽크(P1, P2)를 형성하는 시트(100)의 천정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시트(100)의 일부를 복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개부(120)는, 복개부(120)를 시트(100)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끈(121)과 고정끈(121)의 긴장을 통해 복개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끈(121)을 체결하기 위하여 시트(1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끈(121)은, 복개부(120)를 시트(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일단이 복개부(120)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시트(100)에 설치되는 체결부(122)에 체결되며, 한 쌍의 피크(P1, P2)를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복개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끈(121)은, 간편한 통풍구(110)의 개방유지를 위하여, 일단이 통풍구(110) 측 복개부(120)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통풍구(110) 측 복개부(120)가 걷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끈(121)은, 양 끝단이 체결부(122) 및 복개부(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22)에 쉽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부(122)에 대응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2)는, 고정끈(121)이 설치될 수 있도록, 시트(100) 및 복개부(12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고정끈(121)이 적당한 길이와 일정 장력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고정끈(121)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끈(121)과 체결부(12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체결부(122)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부재는, 원형의 체결부(122)에 결합되는 고리형부재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체결을 위한 틈새를 벌려 체결부(122)에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개부(120)는 텐트의 천장 외면에 설치되는바, 통풍구(110) 측의 복개부(120)를 걷어 통풍구(110)를 개방 시키기에 높이가 높아 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개부(120) 내면에 설치된 체결부(122)에 체결되는 고정끈(121)을 이용하여 복개부(120)의 일부를 걷어 통풍구(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면측 복개부(120) 내면에 설치된 고정끈(121)을 텐트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잡아 끌어 통풍구(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배면으로 끌어낸 고정끈(121)을 텐트 배면의 시트(100)에 설치된 체결부(122)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복개부(120)가 걷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풍구(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배면에 형성된 통풍구(110)의 개방을 위하여, 설명한 바와 반대로 고정끈(121)을 잡아 끌어 고정함으로써 통풍구(110)의 개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텐트가 하단의 평면형상이 다각형 형상, 예를 들면 6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과 피크(P1, P2)를 연결하여 텐트의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끈(130) 및 연결끈(130)이 시트(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시트(10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끈체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연결끈체결부(131)는, 피크(P1, P2)와 텐트 하단의 평면형상인 다각형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연결끈체결부(131)에 연결끈(130)을 체결하며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100)는 연결끈(13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바, 전체적인 텐트의 형상에서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끈(130)은, 텐트의 하단에서 더 연장되어, 후술하는 고정결합부(300)와 결합체결됨으로써, 다면체인 텐트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고, 텐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다면체인 텐트의 일면에 사용자가 내부공간(S)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부(160)는, 시트(100)가 형성하는 다면체 중 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분리되는 텐트의 내부공간(S)과 외부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출입부(160)는, 시트(100)에 형성되는 개방부로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출입개방부(161)와, 출입개방부(161)로 벌레 등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메쉬망(미도시)과, 출입개방부(161)를 복개하는 출입복개부(163)와, 출입복개부(163)를 시트(100)와 결합하는 탈착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4)는, 출입복개부(163)와 시트(100)를 탈착시킴으로써, 출입개방부(161)를 개방 및 복개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벨크로, 지퍼형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폴조립체(200)를 통해 지지되는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70)는, 시트(100)의 내면 천정에 형성되어, 지지폴조립체(200)를 통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70)는, 미리 설정된 텐트의 천정 가장자리, 2개의 픽크(P1, P2)에 대응되는 위치, 지지폴조립체(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강화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술하는 지지폴조립체(200)의 지지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70)는, 텐트의 천장 중 2개의 픽크(P1, P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지폴조립체(200)는, Y자 형태로서, 시트(100)를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닌, 시트(100)를 비스듬히 지지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70) 부근에는, 앞서 설명한 통풍구(110)를 형성함에 있어서 픽크(P1, P2)와 통풍구(110)의 가장자리에서 내부공간(S) 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보강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70)는, 지지폴조립체(200)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지지의 안정감을 높이기 위하여, 지지패드(1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보강부(171)는, 시트(100)에 통풍구(110)를 형성함에 있어서 통풍구(110)의 가장자리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보강부(171)는, 지지패드(172)와 결합되어 통풍구(110)의 가장자리를 보강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70)는,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폴조립체(200)의 지지부(221, 231)에 대응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미도시)는, 시트(100)의 천장 가장자리의 지지하고자 하는 영역에 결합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폴조립체(200)의 지지부(221, 231)가 끼워져 시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0)는, 내부에서 시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별도로 설치된 지지구조물(미도시)와 연결되는 지지와이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100)는, 사용자의 텐트 공간활용을 증대하고, 햇빛의 차단을 위하여, 차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양부(180)는, 텐트의 외부에 시트(100)와 연장되어 설치되며, 햇빛을 차단하여 그늘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양부(180)는, 출입부(160)에 겹쳐져 형성되는 차양시트(181)와, 차양부(180) 설치를 위하여, 차양시트(181)를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핀(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양시트(181)는, 차양부(180)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시트(100)에 겹쳐져 형성되며, 차양부(180)의 사용시, 펼쳐 복수의 차양핀(182)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폴조립체(200)는,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메인폴부재(210)와,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시트(100)에 대하여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을 포함하여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시트(100)를 지지하여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전체 형상이 'Y'자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일체구조, 분리구조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로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금속재질, FRP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결합구조 등에 따라서 중공형부재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내부공간(S)에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지면에 일정깊이로 매립설치되고, 내부공간(S)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지면에 접촉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지면 접촉부가 면적이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내부공간(S)의 활용공간을 증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결합각도를 고려하여 결합각도가 시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휴대성의 용이를 위해,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마디가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가지고 있으며, 마디(미도시)에 길어진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홈과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에 홈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늘어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휴대를 위하여 돌출부를 가압하여 홈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겹쳐지도록 이동시켜 길이를 짧게 만들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시트(100)에 대하여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메인폴부재(210)와 일체로 또는 결합구조에 의하여 분기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금속재질, FRP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결합구조 등에 따라서 중공형부재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상기 메인폴부재(210)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의 용이를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시트(100)와 접촉하는 끝단 지지부(221, 231)가 전술한 지지부(170)와 접촉되어 시트(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지지부(170)의 형태에 대응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시트(100)와 접촉하는 지지부(221, 231)가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텐트가 한 쌍의 피크(P1, P2)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공간(S)의 활용공간을 증대할 수 있으며, 시트(100)를 지면에 수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끝단 일부가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일체구조, 분리구조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는 끝단의 반대 쪽에서 분기되어 'Y'자형 끝단을 가지고 각 끝단은, 각 분기폴부재(220, 2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 또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음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는,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메인폴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일체구조는, 전체 형상이 삼각형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폴부재(210) 및 분기폴부재(220, 230)는, 서로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지지폴조립체(20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폴부재(210)와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결합구조를 갖도록, 메인폴부재(210)와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커넥터(24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40)는, 메인폴부재(210)와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결합구조를 갖도록, 메인폴부재(210)와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240)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메인폴부재(210)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와 결합되는 결합부(241, 242)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24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폴부재(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241, 242)를 가지는 구성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메인폴부재(210)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넥터(24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구성으로서, 세개의 결합부를 가지고 각각 메인폴부재(210)와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240)는,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와의 안정적 결합을 위하여, 메인폴부재(210) 및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결합을 위한 끝단에 형성되는 돌출부(미도시)와 커넥터(240)에 돌출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끼움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돌출부가 끼움홀에 끼워짐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하단의 평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다각형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외형을 형상하는 고정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300)는, 하단의 평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다각형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외형을 형상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결합부(300)는, 일단이 다면체인 텐트의 모서리 중 텐트 하단에서 시트(100)와 결합되며, 타단이 외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결합끈(310)과, 고정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끈(310)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끈(310)은, 텐트와 고정구조물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구(320)는, 고정결합끈(310)과 고정구조물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들면, 고정결합끈(310)이 결합된 결합구(320)를 고정결합끈(310)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당김으로써, 다면체인 텐트의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결합구(320)는, 고정구조물의 예로서 핀부재와 함께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구(320)에 핀부재를 통과시킨 후 핀부재를 지면에 일정 깊이로 매립하여 설치함으로써, 고정결합끈(310)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텐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피크(P1, P2) 및 고정결합부(300) 사이에서 일단이 시트(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결합부(300)와 결합되어 시트(100), 고정결합부(300)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텐트의 가장자리가 일정 높이, 연결부(400)가 결합된 부분에서 분리되어 시트(100)가 하측으로 직하하는 직하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0)는, 시트(100)의 하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높이에서 일단이 시트(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결합부(300)와 결합되어 시트(100), 고정결합부(300)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400)는, 시트(100)의 하단으로부터 직하구조가 형성되기 위한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일단이 시트(100)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이 고정결합부(300) 중 결합구(320)에 장력이 작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400)가 결합되는 지점으로부터 시트(100) 하단까지 직하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00)와, 고정결합부(300)와, 시트(100)는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연결부(400)가 시트(100)에 연결된 부분 및 고정결합부(300)가 결합된 부분 사이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부재(41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410)는, 직하구조를 이루는 시트(100)의 일부분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텐트의 가장자리가 일정높이까지 직하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부재(410)는, 연결부(400)가 시트(100)에 연결된 부분 및 고정결합부(300)가 결합된 부분 사이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재(4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410)의 하단에 고정결합끈(310)이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프레임부재(410)의 상단에 연결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00)와 고정결합끈(310)은, 각각 프레임부재(41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결합구(320)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100)는, 가장자리가 직하구조를 가지는 텐트에 대하여, 연결부(400)가 설치되는 지점의 시트(100)로부터 추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0)는, 끝단에 장력을 가지는 스트링(330)이 설치됨으로써, 덮개부(150)가 시트(100)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330)은, 일단이 덮개부(150)의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구(320)에 결합됨으로써, 장력을 가지고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덮개부(150)를 포함하는 텐트의 전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시트 200: 지지폴조립체
300: 고정결합부 400: 연결부

Claims (7)

  1. 2개의 피크(P1, P2)를 가지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시트(100)와;
    상기 내부공간(S)에서 상측으로 설치되는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메인폴부재(21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시트(1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2개의 피크(P1, P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을 포함하는 지지폴조립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100)는,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를 통해 지지되는 지지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시트(100)의 내면 천정 가장자리 2개의 피크(P1, P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분기폴부재(220, 230)의 지지부분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폴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의 끝단에서 상기 2개의 피크(P1, P2)를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S)에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시트(100)는,
    하단의 평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다각형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외형을 형상하는 고정결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결합부(300)는,
    상기 고정구조물인 지면에 매립하여 설치되는 핀부재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결합구(320)와, 일단이 다면체인 텐트의 모서리 중 텐트 하단에서 시트(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구(320)에 결합됨으로써, 텐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결합끈(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크(P1, P2) 및 상기 고정결합부(300)의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시트(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결합부(300)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100), 상기 고정결합부(300)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시트(100)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고정결합부(300)가 결합된 부분 사이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부재(41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는,
    상기 텐트의 내부공간(S)으로의 통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110)가 상기 피크(P1, P2)를 가장자리로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110)를 복개하는 복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조립체(200)는,
    상기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가 결합구조를 갖도록, 상기 메인폴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분기폴부재(220, 230)를 연결하는 커넥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2020180001240U 2018-03-22 2018-03-22 텐트 KR200492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40U KR200492954Y1 (ko) 2018-03-22 2018-03-22 텐트
JP2018002042U JP3217504U (ja) 2018-03-22 2018-06-01 テント
US16/016,858 US10760297B2 (en) 2018-03-22 2018-06-25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40U KR200492954Y1 (ko) 2018-03-22 2018-03-22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49U KR20190002449U (ko) 2019-10-02
KR200492954Y1 true KR200492954Y1 (ko) 2021-01-08

Family

ID=6310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40U KR200492954Y1 (ko) 2018-03-22 2018-03-22 텐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0297B2 (ko)
JP (1) JP3217504U (ko)
KR (1) KR2004929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113B2 (en) * 2018-11-27 2021-08-31 Tarptent, Inc. Half-pyramid shelter with improved stability, access and room
AU2020272417B2 (en) * 2019-04-10 2022-12-22 Jkl Corporation Tents
FR3099780B1 (fr) * 2019-08-05 2021-08-27 Decathlon Sa Tente déployable munie d’arceaux contraints en flexion
USD985094S1 (en) * 2020-08-25 2023-05-02 Boutique Camping Supplies Limited Tent
CA204054S (en) * 2020-12-30 2022-11-25 Tentipi Ab T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3597A (en) * 1921-12-31 1923-03-01 Henry Ernest Lloyd Owen Improvements in tents
US3043320A (en) * 1959-09-04 1962-07-10 Moss Charles William Portable shelter
US4078572A (en) * 1976-12-27 1978-03-14 Moss Charles W Portable shelter
GB1603210A (en) * 1978-05-24 1981-11-18 Hamilton H A Ridge tents
US4537210A (en) * 1981-04-06 1985-08-27 Montgomery Rodney L Shelter
GB8517237D0 (en) * 1985-07-08 1985-08-14 Nomad Structures Int Building structures
US5477876A (en) * 1994-02-07 1995-12-26 Bill Moss, Inc. T-pole support for fabric structure
AU733246B2 (en) * 1997-09-22 2001-05-10 T.A. Pelsue Company Tetra tent
US6354317B1 (en) * 2000-08-12 2002-03-12 Jek Kun Lah Tent stabilizer
US7841356B2 (en) * 2008-11-19 2010-11-30 Shires Henry C Strut and arch structure for tent
US8684020B1 (en) * 2011-08-01 2014-04-01 Henry C. Shires Modified A-frame tent shelter
US8555910B2 (en) * 2011-09-12 2013-10-15 Nomadic Comfort Llc Shelter structures, support systems therefor, kits, accessor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such structures
KR20130002273U (ko) 2011-10-05 2013-04-15 이석기 공간 활용이 우수한 원터치식 티피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0297B2 (en) 2020-09-01
KR20190002449U (ko) 2019-10-02
US20190292807A1 (en) 2019-09-26
JP3217504U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954Y1 (ko) 텐트
US4236543A (en) Portable tent
US20070295377A1 (en) Battery pack for powering multiple electrical appliances in a tent
US7841356B2 (en) Strut and arch structure for tent
JP2013501170A (ja) テントもしくはシェルタのためのベント
US2543684A (en) Explorer's folding tent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8684020B1 (en) Modified A-frame tent shelter
US20050092355A1 (en) Tent with skylight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JP2020084756A (ja) テント
KR101315166B1 (ko) 휴대용 차양막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KR101551870B1 (ko) 천막
KR102360467B1 (ko) 가림막
KR101625517B1 (ko) 타프 일체형 텐트
KR101923307B1 (ko) 모듈형 텐트
JP2014040961A (ja) 遮蔽構造、遮蔽方法および取付部材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200467934Y1 (ko) 캠핑용 타프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CN213710615U (zh) 可拼接、易收纳野营帐篷
WO2018013059A1 (en) A shelt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030503B1 (ko)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