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70B1 - 천막 - Google Patents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70B1
KR101551870B1 KR1020140026231A KR20140026231A KR101551870B1 KR 101551870 B1 KR101551870 B1 KR 101551870B1 KR 1020140026231 A KR1020140026231 A KR 1020140026231A KR 20140026231 A KR20140026231 A KR 20140026231A KR 101551870 B1 KR101551870 B1 KR 10155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awls
arch
le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기
오두환
현영미
서영원
Original Assignee
삼덕상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덕상공(주) filed Critical 삼덕상공(주)
Priority to KR102014002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강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며 설치가 용이한 천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천과, 바닥천의 밑면에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되 둘레를 따라 복수가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편을 갖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측에 설치되되 하단이 바닥부의 고정편에 끼워지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지며 내측 하단에 바닥부의 고정편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제1걸고리를 갖는 외피를 포함하며, 고정편은 프레임부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과, 외피의 제1걸고리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제2걸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막{Tent}
본 발명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강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며 설치가 용이한 천막에 관한 것이다.
천막은 야외에서 생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품 중 하나로서, 사람들이 야외에서 임시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천막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폴로 구성된 프레임과, 그러한 프레임을 덮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천막은 내부에 사람이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한기 또는 비 등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야외에서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종래에 다양한 종류의 천막이 개발되었는데, 일 예로 한국 공개특허 10-2012-0134565에 '다양한 형태로 신속하게 설치가능한 접철식 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철식 텐트'는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바닥에 세워지는 폴의 구조상 폴 자체의 강성만으로 텐트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강성이 약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는 전체적인 텐트의 폴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되고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붕의 구조상 눈이나 빗물이 고이기 쉬워 쳐짐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내부와 외부가 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바로 접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외기가 내부로 침투하기가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강성이 우수하고 보온 및 결로 방지가 용이한 천막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천과, 상기 바닥천의 밑면에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되 둘레를 따라 복수가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편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에 끼워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지며 내측 하단에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제1걸고리를 갖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과, 상기 외피의 제1걸고리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제2걸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닥부의 바닥천은 둘레가 상측으로 절곡되며 상단이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부착시 상기 바닥천과 외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내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피는 내면이 상기 바닥천의 둘레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면이 상기 외피의 내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는 천장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폴과, 상기 상단폴의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폴과, 일단이 상기 상단폴에 결합되되 상기 상단폴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복수의 아치폴과, 일단이 상기 아치폴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하나의 아치폴에 각각 2개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소정각도 이격됨으로써 삼각형태를 이루며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아치폴에 결합되는 다리폴의 상측에 결속되고 타단이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어느 하나의 아치폴과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아치폴에 결합되는 다리폴의 상측에 결속되는 강화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피 또는 내피의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측단과 상단이 절개되어 '
Figure 112014021781648-pat00001
'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천막피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외피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내측면에 상기 연결부의 암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는 수벨크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피는 내부에서 외부로 환기덕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덕트구와, 상기 덕트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구덮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에 의하면, 프레임부의 구조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전체적인 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막에 의하면, 바닥부의 고정편에 다리폴이 결합 고정됨으로써 프레임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폴에서 형성되는 측면으로의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막에 의하면, 외피의 내측이 바닥부의 고정편에 결합되어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지붕 상부 및 측면이 쳐지지 않아 눈이나 빗물의 고임 및 강풍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막에 의하면, 내피와 외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보온에 유리하고 결로로 인한 습기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의 프레임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닥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닥부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의 각 부재들의 배치관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의 창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막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막은 프레임부(100), 외피(200), 바닥부(300)를 포함하며, 내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뼈대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다리폴(140)을 포함하며, 강화로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다리폴(140)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또는 두랄루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있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단폴(110)은 프레임부(100)의 지붕의 정 중앙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반적인 지붕 구조물의 용마루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단폴(110)은 전후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폴(110)에는 복수의 아치폴(130)이 각각 결합된다.
보조폴(120)은 상단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폴(120)은 상단폴(110)과 나란하게 배열되며, 아치폴(130)과 결합되어 전체적인 지붕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조폴(120)은 전후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폴(110)보다 같거나 작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아치폴(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상단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반적인 지붕 구조물의 내림마루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치폴(130)은 상단폴(110)의 양측에서 복수가 나란하게 배열되며, 중간부는 보조폴(120)과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지붕의 형태와 무게를 지지한다.
이때, 아치폴(130)과 상단폴(110) 및 보조폴(120)은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결속용 로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다리폴(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치폴(130)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여기에서 프레임부(100)의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하나의 아치폴(130)에 각각 두 개의 다리폴(140)이 결합된다. 하나의 아치폴(130)에 결합되는 두 개의 다리폴(140)은 단부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바닥에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 이때, 다리폴(140)의 전체 형태를 보면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삼각형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트러스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 및 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다리폴(140)과 아치폴(130)은 브라켓(135)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속용 로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리폴(140)의 단부는 바닥부(30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강화로프(1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서로 대향되는 다리폴(140)의 상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강화로프(150)는 각 다리폴(140)을 서로 결속시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함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부(10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화로프(150)는 PP로프 또는 PE로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나일론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로프일 수도 있다.
외피(200)는 프레임부(100)에 씌워져 외부와 내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피(200)는 방수 기능이 갖춰진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임부(100)와 결합된다. 외피(200)는 내측에 복수의 제1걸고리(250)를 갖는데, 제1걸고리(250)는 복수가 각각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된다. 이때, 제1걸고리(250)는 후술하겠지만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편(320)과 결합 고정됨으로써 외피(200)를 지지한다.
외피(200)의 측면, 즉 외피(200)가 프레임부(100)에 씌워졌을 때 프레임부(100)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개폐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부(210)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폐부(210)는 외피(200)의 측면 일부가 '
Figure 112014021781648-pat00002
'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절개로 인하여 형성되는 개구부가 곧 창(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된다. 이때, 사각 형태의 하측은 절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절개된 부분은 외피(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게 된다. 이러한 절개된 부분이 곧 덮개(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로 활용된다. 여기에서, 덮개는 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창을 완전하게 개폐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10)의 상단에는 연결부(220)가 연결되며, 연결부(220)는 개폐부(210)의 상측에서 외피(2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연결부(220)의 일면에는 암벨크로(225)가 형성되고 외피(200)에는 이에 대응되는 수벨크로(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벨크로에 의해 연결부(220)가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10)의 양 측면은 지퍼(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부착이 가능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덮개를 하방으로 접음으로써 창을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창을 덮는 경우에는 연결부(220)를 개폐부(210)의 상방에서 외피(200)의 내측에 결합시킴으로써 외피(20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틈새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200)에는 또한, 외피(200)가 프레임부(100)에 씌워졌을 때 프레임부(100)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덕트구(230)와 덕트구덮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구(230)에는 냉, 난방을 위한 기구와 연결된 환기덕트(도시되지 않음)가 관통되며, 덕트구덮개(240)는 덕트구(2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덕트구덮개(240)는 덕트구(2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닥부(300)는 바닥에 사람이 앉거나 활동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된다. 바닥부(300)의 상측에는 프레임부(100)가 안착되며, 전체적으로 바닥부(300)와 외피(200)에 의해 내부와 외부의 공간이 분리된다. 이러한 바닥부(300)는 바닥천(310)과 고정편(3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세하게는 사각형태의 바닥천(310)이 바닥에 설치되고, 이러한 바닥천(310)의 둘레 밑면에 복수의 고정편(320)이 결합된다.
바닥천(310)은 일반적인 천막의 바닥면에 사용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시에 둘레가 상측으로 접혀져 외피(200) 또는 내피(400)의 내측면과 부착됨으로써 외부의 습기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편(320)은 바닥천(310)의 밑면에 부착되며, 바닥천(310)의 둘레가 상측으로 접혀지는 경우에 바닥천(3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바닥천(310)과 외피(2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으로 인해 고정편(320)은 외측으로 드러날 수 있고, 또한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천막의 보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편(320)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바닥천(310)의 둘레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고정편(320)에는 고정홀(322)과 제2걸고리(324)가 형성된다. 고정홀(322)에는 전술한 다리폴(140)이 결합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아치폴(130)에 결합된 다리폴(140)이 끼워져 고정되며, 따라서 프레임부(100)는 고정홀(322)에 의해 측면으로의 힘이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제2걸고리(324)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외피(200)의 제1걸고리(250)가 결합된다. 이때, 외피(200)의 제1걸고리(250)는 외피(20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제2걸고리(324)에 결합되며, 따라서 외피(200)는 제2걸고리(324)에 의해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내피(400)는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와 내부를 이중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내피(4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데, 프레임부(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은 보온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결로로 인한 내부로의 습기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피(400)로 인하여 외피(200)가 바닥부(300)에 부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내피(400)의 하단 내측면이 바닥부(300)의 바닥천(31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측면이 외피(200)의 내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수단으로는 벨크로(315)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착 가능한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설치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막 설치방법은,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각각 외측으로 잡아당겨 평평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프레임부(100)의 상단폴(110)과 상단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보조폴(120)을 나란히 배치시킨 후 상단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아치폴(130)을 배치시켜 결속하는 단계와, 상단폴(110)의 일측에 결속되는 아치폴(130)의 단부에 각각 다리폴(140)을 결합시킨 후 다리폴(140)의 단부를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에 끼우는 단계와, 바닥부(300)와 상단폴(110)의 사이에 내피(400)를 배치시킨 후 내피(400)의 외측을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에 결속하는 단계와,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을 덮도록 외피(200)를 배치시킨 후 외피(200)의 내측을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에 결속하는 단계와, 상단폴(110)의 타측에 결속되는 아치폴(130)의 단부에 각각 다리폴(14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바닥부(300)의 바닥천(310)의 둘레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편(320)을 외측으로 노출시킨 후 시킨 후 다리폴(140)을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에 끼우는 단계와, 외피(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걸고리(250)를 각각 대응되는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제2걸고리(322)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바닥부(300)의 바닥천(310)을 외피(20)의 하단 내측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을 설치할 장소를 선택하여 바닥면을 평평하게 정리한다. 다음으로, 바닥부(300)와 외피(200) 및 내피(400)가 보관된 가방을 설치할 장소로 이동시킨 후, 바닥부(300)를 가방에서 꺼내어 설치할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때,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잡고 서로 외측으로 잡아당겨 평평하게 설치한다.
다음으로, 프레임부(100)가 보관된 가방을 설치 장소로 운반한 후,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을 각각 해당 위치로 배열한다. 이를 상세하기 설명하면, 먼저 설치 장소의 전후 방향 중간에 상단폴(110)을 위치시킨 후 상단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보조폴(120)을 나란히 배치시킨다. 그러고 나서, 상단폴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각각 아치폴(130)을 서로 소정 가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열시킨다.
다음으로, 상단폴(110)과 보조폴(120) 및 아치폴(130)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이때, 브라켓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다리폴(140)을 해당 위치로 배열하는데, 이때 아치폴(130) 하나당 두 개의 다리폴(1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하며, 이 단계에서는 상단폴(1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에서 한쪽에 있는 아치폴(130)에만 다리폴(140)을 배열시킨다.
다음으로, 브라켓 또는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다리폴(140)과 아치폴(130)을 서로 결합시킨 후 결합된 다리폴(140)의 단부를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에 끼워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내피(400)를 바닥부(300)와 상단폴(110)의 사이로 운반한 후 내피(400)를 펼친다. 그러고 나서, 내피(400)의 외측을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에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외피(200)를 긴쪽으로 길게 편 후 아치폴(130)과 다리폴(140)의 연결부분에서부터 씌워듯이 올린다. 이때, 연결부분의 반대쪽까지 잡아당겨 펼쳐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을 덮도록 한 후 외피(200)의 내측을 상단폴(110), 보조폴(120), 아치폴(130) 및 다리폴(140)에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상단폴(110)을 기준으로 아직 조립되지 않은 쪽의 아치폴(130)의 단부에 각각 다리폴(140)을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다리폴(140)을 들어올려 다리폴(140)의 단부를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에 끼워 고정시키는데, 이때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바닥부(300)의 바닥천(310)을 상측으로 절곡시킨 후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외피(200)를 잡아당겨 프레임부(100)에 맞게 모양을 잡아줌과 동시에 내측에 있는 제1걸고리(250)를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제2걸고리(322)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바닥부(300)의 바닥천(310)의 둘레를 상측으로 절곡시킨 후 잡아당겨 외피(200)의 하단 내측에 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바닥부(300)는 외피(200)에 부착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300)가 내피(400)의 내측에 부착되고, 내피(400)의 외측이 외피(200)의 내측에 부착되는 방법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외피(200)의 상측 외면을 로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잡아당겨 바닥에 결속시키는 방법 및 천막 주변으로 배수홀을 파는 등의 부가적인 단계가 더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사항은 일반적으로 천막을 설치 및 사용하는데 있어 이미 공지된 기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프레임부(100)의 구조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전체적인 강성이 우수한 천막을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의 고정홀(322)에 다리폴(140)이 결합 고정됨으로써 프레임부(100)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리폴에서 형성되는 측면으로의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외피(200)의 내측이 바닥부(300)의 고정편(320)에 결합되어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지붕 상부 및 측면이 쳐지지 않아 눈이나 빗물의 고임 및 강풍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는 천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피(400)와 외피(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보온 성능이 우수하고 결로로 인한 습기의 침투가 방지되는 천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프레임부 110 : 상단폴
120 : 보조폴 130 : 아치폴
140 : 다리폴 150 : 강화로프
200 : 외피 210 : 개폐부
220 : 연결부 230 : 덕트구
240 : 덕트구덮개 250 : 제1걸고리
300 : 바닥부 310 : 바닥천
320 : 고정편 322 : 고정홀
324 : 제2걸고리 400 : 내피

Claims (9)

  1.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천과, 상기 바닥천의 밑면에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부착되되 둘레를 따라 복수가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편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에 끼워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지며 내측 하단에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제1걸고리를 갖는 외피;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과, 상기 외피의 제1걸고리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제2걸고리를 갖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천은 둘레가 상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내피는 내면이 상기 바닥천의 둘레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면이 상기 외피의 내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천장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폴과, 상기 상단폴의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폴과, 일단이 상기 상단폴에 결합되되 상기 상단폴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복수의 아치폴과, 일단이 상기 아치폴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하나의 아치폴에 각각 2개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소정각도 이격됨으로써 삼각형태를 이루며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폴과, 일단이 어느 하나의 아치폴에 결합되는 다리폴의 상측에 결속되고 타단이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어느 하나의 아치폴과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아치폴에 결합되는 다리폴의 상측에 결속되는 강화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내부에서 외부로 환기덕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덕트구와, 상기 덕트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덕트구덮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 또는 내피의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측단과 상단이 절개되어 '
    Figure 112015025911615-pat00003
    '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천막피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외피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내측면에 상기 연결부의 암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는 수벨크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8. 삭제
  9. 청구항 1의 천막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를 각각 외측으로 잡아당겨 평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폴과 상기 상단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보조폴을 나란히 배치시킨 후 상기 상단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상기 아치폴을 배치시켜 결속하는 단계;
    상기 상단폴의 일측에 결속되는 상기 아치폴의 단부에 각각 상기 다리폴을 결합시킨 후 상기 다리폴의 단부를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의 고정홀에 끼우는 단계;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단폴의 사이에 상기 내피를 배치시킨 후 상기 내피의 외측을 상기 상단폴, 보조폴, 아치폴 및 다리폴에 결속하는 단계;
    상기 상단폴, 보조폴, 아치폴 및 다리폴을 덮도록 상기 외피를 배치시킨 후 상기 외피의 내측을 상기 상단폴, 보조폴, 아치폴 및 다리폴에 결속하는 단계;
    상기 상단폴의 타측에 결속되는 아치폴의 단부에 각각 상기 다리폴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바닥부의 바닥천의 둘레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고정편을 외측으로 노출시킨 후 상기 다리폴을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의 고정홀에 끼우는 단계;
    상기 외피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걸고리를 각각 대응되는 상기 바닥부의 고정편의 제2걸고리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바닥부의 바닥천을 상기 내피의 내측에 부착시키고, 상기 내피의 외측을 상기 외피의 내측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막 설치방법.
KR1020140026231A 2014-03-05 2014-03-05 천막 KR10155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31A KR101551870B1 (ko) 2014-03-05 2014-03-05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31A KR101551870B1 (ko) 2014-03-05 2014-03-05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870B1 true KR101551870B1 (ko) 2015-09-09

Family

ID=5424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231A KR101551870B1 (ko) 2014-03-05 2014-03-05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07B1 (ko) * 2024-01-30 2024-04-30 삼덕상공(주)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102662403B1 (ko) * 2024-01-30 2024-04-30 삼덕상공(주) 대형 천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84Y1 (ko) * 2001-03-20 2001-10-08 안태진 설치가 용이한 그늘막 겸용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84Y1 (ko) * 2001-03-20 2001-10-08 안태진 설치가 용이한 그늘막 겸용 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07B1 (ko) * 2024-01-30 2024-04-30 삼덕상공(주)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102662403B1 (ko) * 2024-01-30 2024-04-30 삼덕상공(주) 대형 천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986B2 (en) Flexible base structure for portable shelters
US4165757A (en) Arch supported tent
US4269210A (en) Arch supported tent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8161992B2 (en) Tent having an outer skirt and tub floor
US20070215192A1 (en) Center hub slide-way portable enclosure system
AU2017100365B4 (en) Trampolines and trampoline covers
US2543684A (en) Explorer's folding tent
US20190203500A1 (en) Removable Insulated Floor for a Portable Shelter
KR200492954Y1 (ko) 텐트
US20160053508A1 (en) Tent structure or sun protection structure
US20080223425A1 (en) Flexible Base Structure for Portable Shelters
KR101551870B1 (ko) 천막
KR101535604B1 (ko)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US11193301B2 (en) One-touch tent flysheet
JP2011042969A (ja) 雨よけシート
KR100813922B1 (ko) 절첩식 텐트
US20100018561A1 (en) Negative angle window for tent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KR20160121891A (ko) 차량용 텐트
RU213252U1 (ru) Тент-накидка с навесом для палаточ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101938561B1 (ko) 연결이 가능한 타프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텐트
JPH0721756Y2 (ja) メッシュ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