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42Y1 - 용기 밀봉지 - Google Patents

용기 밀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42Y1
KR200492742Y1 KR2020200003313U KR20200003313U KR200492742Y1 KR 200492742 Y1 KR200492742 Y1 KR 200492742Y1 KR 2020200003313 U KR2020200003313 U KR 2020200003313U KR 20200003313 U KR20200003313 U KR 20200003313U KR 200492742 Y1 KR200492742 Y1 KR 200492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aling
sealing paper
release pap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희
Original Assignee
조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희 filed Critical 조윤희
Priority to KR2020200003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05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를 밀봉하기 전에 뚜껑에 설치함으로써 뚜껑을 닫을 때 용기의 주입구에 접착으로 고정되는 용기 밀봉지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용기본체의 주입구와 동일한 형태로 된 시트 형태의 밀봉원지;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 가장자리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층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가접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1이형지; 상기 접착층 및 제1이형지 전체를 덮은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밀봉지{Sealing Paper For Bottle}
본 고안은 용기 밀봉지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밀봉하기 전에 뚜껑에 설치함으로써 뚜껑을 닫을 때 용기의 주입구에 접착으로 고정되는 용기 밀봉지에 관한 것이다.
식품, 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고 수분유입을 방지하여 보존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종 용기에 밀봉지가 사용된다. 용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밀봉지는 보통 뚜껑의 내부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채워넣은 용기본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용기본체의 주입구 상단에 접착된다.
사용자가 내용물을 꺼내고자 할 때는 밀봉지를 파열시키거나 접착 부위를 뜯어내야 한다. 밀봉지가 파열 여부에 의해 용기의 개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밀봉지하 칭해지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용기 밀봉지(100)를 설명한다.
밀봉지(100)는 원형 시트 형태로 되어 있다. 밀봉원지(11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접착제(130)가 도포되어 있다. 이형지(120)가 밀봉지 저면에 접착된 상태로 내용물 제조업체에 공급된다. 내용물 제조업체측에서는 이형지(120)를 떼어낸 다음 밀봉원지(110)를 뚜껑(210)의 바닥면(211)에 닿도록 끼워넣는다. 그리고 뚜껑(210)을 채우게 되면 뚜껑(210)이 밀봉원지(110)로 하여금 용기본체(200)의 주입구(220)의 상면(221)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로써 밀봉원지(110)가 용기본체의 주입구(220)에 밀봉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형지(1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밀봉원지(110)를 뚜껑(210)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손이 밀봉원지(110)의 저면(111)에 닿게 된다. 즉 손의 지문이 밀봉원지의 저면(111)에 새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손에 있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밀봉지 저면에 전이될 수가 있게 된다. 밀봉원지 저면(111)에는 용기본체(200)에 담기는 내용물이 언제라도 접촉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05-003012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05-001128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의 보호를 위하여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접착으로 고정되는 밀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밀봉지를 뚜껑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손이 밀봉원지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봉할 수 있게 하는 밀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용기본체의 주입구와 동일한 형태로 된 시트 형태의 밀봉원지;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 가장자리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층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가접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1이형지; 상기 접착층 및 제1이형지 전체를 덮은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형지의 저면에는 상기 제1이형지를 잡아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는 얇은 필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제1이형지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2이형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밀봉원지를 뚜껑 내부에 밀어넣을 때 제1이형지가 있기 때문에 밀봉원지의 저면에 손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이형지는 이형원지를 뚜껑에 완전히 끼워넣은 상태에서 분리하면 된다. 그 결과 지문에 밀봉원지의 저면에 묻지 않으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내용물로 전이될 가능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밀봉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밀봉지를 설치하는 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봉지에서 제2이형지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지를 설치하는 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지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봉지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후에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밀봉지(1)는 밀봉원지(10), 접착층(30), 제1이형지(40) 및 제2이형지(20)를 포함한다.
밀봉원지(10)는 종래의 것과 다름 없는 것으로서, 발포시트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코팅지일 수도 있다. 밀봉원지(10)는 용기본체(200)의 주입구(220)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용기본체의 주입구(220)가 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밀봉원지(10)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접착제가 밀봉원지(10)의 저면 가장자리에 도포되어 접착층(30)을 이루고 있다. 접착층(30)은 띠 형태로 마련되며, 그의 폭은 용기본체의 주입구 상면(221)의 폭과 같게 되어 있다.
제1이형지(40)가 밀봉원지(10)의 저면에 설치된다. 제1이형지(40)는 접착층(30)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가접된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이형지(40)의 저면에는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가접착층이 마련되어 있다.
제1이형지(40)는 밀봉원지(10)를 뚜껑(210)에 끼워넣은 다음 제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이형지(20)가 접착층(30) 및 제1이형지(40) 전체를 덮도록 고정된다. 제2이형지(20)는 밀봉지(1)를 용기본체(200)에 설치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제2이형지(20)를 떼어낸 다음 밀봉원지(10)를 접착층(30)이 용기본체(200)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210)에 끼워넣는다(도 5 참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끼워넣어 뚜껑의 바닥면(211)에 닿게 한 다음, 제1이형지(40)를 분리하고 뚜껑(210)을 용기본체(20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접착층(30)이 용기본체의 주입구 상면(221)에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되고 밀봉이 완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을 개봉하여도 밀봉원지(10)는 용기본체(200)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게 되며, 사용자는 용기가 아직 개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밀봉지(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밀봉원지(10)의 저면에 손을 대지 않을 수 있다. 용기본체(200)에 채워지는 내용물이 밀봉원지(10)의 저면에 닿는다고 하더라도 문제될 것이 없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이형지(40)의 저면에 제1이형지(40)를 손으로 잡고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4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1)는 얇은 필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제1이형지(4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41)가 접힌 상태에서 제2이형지(40)가 그 위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면, 밀봉원지(10)를 뚜껑(210)에 끼워넣은 다음 손잡이(41)를 잡고 당김으로써 제1이형지(4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밀봉지 10 : 밀봉원지
20 : 제2이형지 30 : 접착층
40 : 제1이형지 41 : 손잡이
200 : 용기본체 210 : 뚜껑
220 : 주입구 221 : 상면

Claims (3)

  1. 용기본체의 주입구와 동일한 형태로 된 시트 형태의 밀봉원지;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 가장자리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밀봉원지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층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가접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1이형지;
    상기 접착층 및 제1이형지 전체를 덮은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할 때 제거되는 제2이형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형지의 저면에는 상기 제1이형지를 잡아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얇은 필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제1이형지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지.
KR2020200003313U 2020-09-11 2020-09-11 용기 밀봉지 KR200492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13U KR200492742Y1 (ko) 2020-09-11 2020-09-11 용기 밀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13U KR200492742Y1 (ko) 2020-09-11 2020-09-11 용기 밀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42Y1 true KR200492742Y1 (ko) 2020-12-03

Family

ID=7378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13U KR200492742Y1 (ko) 2020-09-11 2020-09-11 용기 밀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4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3082A (ja) * 2017-05-16 2018-12-06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キャップ用ライナ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3082A (ja) * 2017-05-16 2018-12-06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キャップ用ライナー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329B1 (en) Packaging for planiform objects/products
US9211988B2 (en) Packaging for gummy substratum
JPH04502299A (ja) 口縁部にヒートシールされた多層蓋部材を部分的に剥して開封される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多層蓋部材用の複合バンド
CN102076576B (zh) 收纳装置
JP2012501919A (ja) 物品の保存および分配等に用いる取出し口にふたを備えるパケット
KR20060119080A (ko) 음식물 포장 용기
EP0667828A1 (en) Resealable dispenser container
US20150122673A1 (en) Multi-component dispenser
JPH09117387A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KR200492742Y1 (ko) 용기 밀봉지
KR102032043B1 (ko)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EP3085640B1 (en) Package of tobacco-related articles
JP2003312757A (ja) 携帯用シート材包装具
JPH11314686A (ja) 包装体の開封構造
EP0404734A1 (en) Device for the hygienic protection for containers for drinks
JP3692590B2 (ja) 口栓付き液体紙容器
JPH1017037A (ja) 包装体の開封機構
JP3142176U (ja) 即席食品用容器の蓋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200316761Y1 (ko)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1071127B1 (ko) 밀봉 포장체
KR102184126B1 (ko) 절개라인이 형성된 레이어드 커버 시트 시스템
JPS5849954Y2 (ja) 口部密封用インナ−シ−ル
KR200397975Y1 (ko) 음식물 포장 용기
WO2001015976A3 (en) Hygienic cover fo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