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05Y1 -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05Y1
KR200492505Y1 KR2020190000597U KR20190000597U KR200492505Y1 KR 200492505 Y1 KR200492505 Y1 KR 200492505Y1 KR 2020190000597 U KR2020190000597 U KR 2020190000597U KR 20190000597 U KR20190000597 U KR 20190000597U KR 200492505 Y1 KR200492505 Y1 KR 200492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heet
cooling pad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43U (ko
Inventor
모준휘
Original Assignee
모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준휘 filed Critical 모준휘
Priority to KR2020190000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0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냉각 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 패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 냉풍기로서, 상기 펌프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Cooling fan with cooling unit}
본 고안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냉풍기는 물이 기화할 때 흡수되는 기화열을 이용하여 찬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냉풍기는 물을 분사시킨 후 팬으로 바람을 일으켜 물을 기화시키는 방식으로 실내 온도를 떨어뜨린다. 그러나 이러한 냉풍기의 사용은 실내 습도를 올리게 되며, 습도가 높아지면 물이 증발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고온건조한 지역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여름철이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냉풍기의 사용이 오히려 실내 습도만 높이고, 온도는 많이 낮추지 못하여 불쾌감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이스 팩이나 얼음을 물통에 투입하여, 물을 차갑게 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결시킴으로써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을 다시 기화시켜서 찬바람을 발생시키는 냉풍기가 개발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345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33448호
본 고안은 새로운 구조의 냉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냉각 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 패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 냉풍기로서, 상기 펌프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펌프에 부착되는 냉각핀과 상기 냉각핀을 향해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 패드는 번갈아 적층되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상기 냉각 패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 시트의 골과 마루는 제1 시트의 골과 마루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골과 마루가 상기 냉각 패드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 패드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냉각 패드의 상면을 향하는 복수의 분배구들이 형성된 분배조를 구비한 냉각 패드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배출구를 구비한 저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저수조로 공급하며,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분배조에 떨어진 후 상기 복수의 분배구를 통해서 상기 냉각 패드의 상면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는 펌프를 냉각하므로, 펌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풍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패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풍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풍기는 하우징(10), 냉풍 안내 장치(20), 윈드휠(30) 및 모터(35), 냉각 패드(40) 및 냉각 패드 홀더(45), 필터(49), 물통(50), 펌프(60), 냉각장치(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냉풍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은 대체로 모서리가 곡면인 사각 통 형태이다. 하우징(10)은 전면 커버(11), 후면 커버(13), 양 측면 커버들(15), 상면 커버(17) 및 하면 커버(19)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11)의 하단에는 물통(5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윈도우(111)가 설치된다.
후면 커버(13)에는 냉각 패드(40)를 끼울 수 있는 오목부(131)가 형성된다. 오목부(131)의 내면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형태이다. 그리고 후면 커버(13)의 오목부(131)의 바깥쪽 둘레에는 필터(49)를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들도 형성된다. 또한, 후면 커버(13)의 하부에는 물통(50)을 끼울 수 있는 대체로 사각형의 개구(133)가 형성된다.
하면 커버(19)의 하면에는 사용자가 냉풍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191)가 설치된다.
상면 커버(17)에는 냉풍기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171)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면 커버(17)의 뒤쪽에는 오목한 저수조(172)가 설치된다. 저수조(172)의 측면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배출구(174)가 형성된다. 저수조(172)의 상면에는 덮개(175)가 설치된다.
냉풍 안내 장치(20)는 하우징(10)의 전면 커버(11)의 상부에 설치된다. 냉풍 안내 장치(20)는 복수의 수평 블레이드(21)들과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22)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평 블레이드(21)들과 수직 블레이드(22)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냉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윈드휠(30)과 모터(35)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윈드휠(30)은 하우징(10)의 후면 커버(13) 측에서 전면 커버(11) 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35)는 윈드휠(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 패드(40)는 냉각 패드 홀더(45)에 고정된 상태로 후면 커버(13)의 오목부(131)에 설치된다. 냉각 패드(40)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 패드(40)는 물을 머금는 역할을 한다. 냉각 패드 홀더(45)는 냉각 패드(40)를 지지하고, 냉각 패드(40)에 물을 고르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 패드 홀더(45)의 상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길게 분배조(46)가 형성된다. 분배조(46)의 하면에는 복수의 분배구(47)들이 형성된다. 분배구(47)의 아래에는 냉각 패드(40)의 상면이 배치된다. 저수조(172)의 배출구(174)에서 떨어지는 물은 분배조(46)에 떨어진 후 분배구(47)들을 통해서 냉각 패드(40)로 떨어진다. 물이 떨어지면 냉각 패드(40)를 따라서 흐르면서 냉각 패드(40)를 적시게 된다. 냉각 패드(40)가 머금은 물은 윈드휠(30)의 회전에 따른 바람에 의해서 수증기로 증발되면서 열을 흡수하여 바람의 온도를 낮춘다. 냉각 패드(40)가 오염되면, 냉각 패드 홀더(45)를 후면 커버(13)에서 분리한 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각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패드(40)는 복수의 제1 시트(41)와 복수의 제2 시트(42)를 포함한다. 제1 시트(41)와 제2 시트(42)는 번갈아 가면서 적층된다. 제1 시트(41)는 냉각 패드(40)의 길이방향(냉풍기의 상하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골(411)과 마루(412)가 반복되는 형태이다. 골(411)과 마루(412)는 냉각 패드(4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략 45도 정도 경사진 상태이다. 제2 시트(42) 역시 냉각 패드(4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골(421)과 마루(422)가 반복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제2 시트(42)의 골(421)과 마루(422)는 제1 시트(41)의 골(411)과 마루(41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제2 시트(42)의 골(421)과 마루(422)는 냉각 패드(4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대략 -45도 정도 경사진다. 제1 시트(41)와 제2 시트(42)는 골(411, 421)과 마루(412, 422)가 냉각 패드(40)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필터(49)는 공기 중의 먼지가 냉각 패드(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49)는 필터(49)의 둘레가 후면 커버(13)의 가이드들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후면 커버(13)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필터(49)에 먼지가 많이 부착되면 필터(49)를 분리한 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공기는 필터(49)를 통과한 후에 냉각 패드(40)를 거쳐 냉각된 후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냉풍 안내 장치(20)를 거쳐서 방향이 전환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물통(50)은 후면 커버(13)의 개구(133)를 통해서 하우징(10)에 끼워진다. 물통(50)은 하면 커버(19)에 의해서 지지된다. 물통(50)의 전면은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전면 커버(11)의 윈도우(111)를 통해서 물통(5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물통(50)에는 물과 함께 얼음이나 아이스 팩도 투입할 수 있다.
펌프(60)는 물통(50)의 상부에 설치된다. 펌프(60)는 물통(50)의 물을 상부 커버(17)의 저수조(17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펌프(60)의 유입관(61)의 끝단은 물통(50)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출관(65)은 저수조(172)의 측면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와 연결된다.
냉각장치(70)는 펌프(60)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장치(70)는 팬(72)과 냉각 핀(71)을 포함한다. 냉각 핀(71)은 펌프(6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팬(72)은 냉각 핀(71)의 펌프(60) 반대 면에 설치된다. 펌프(60)가 가열되면, 펌프(60)의 내부에 흐르는 물의 온도가 높아져서 저수조(172)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냉풍기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므로, 펌프(60)를 냉각하여 펌프(60)에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술한 냉풍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풍기를 가동하면, 펌프(60)와 모터(35)가 작동한다. 펌프(60)가 작동하면 물통(50)의 물이 상부 커버(17)의 저수조(172)의 측면의 주입구(미도시)를 통해서 저수조(172)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저수조(172)의 바닥면의 배출구(174)를 통해서 아래로 떨어진다. 배출구(174)를 통해서 떨어진 물은 배출구(174)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 패드 홀더(45)의 상부의 분배조(46)에 유입된다.
그리고 분배조(46)에 유입된 물은 분배조(46)의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분배구(47)들을 통해서 냉각 패드(40)에 공급되어 냉각 패드(40)를 적신다.
모터(35)와 연결된 윈드휠(30)이 회전하면, 하우징(1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필터(49)를 통해서 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냉각 패드(40)를 통과한다. 이때 냉각 패드(40)를 적신 물이 증발하면서 공기의 온도를 낮춘다.
냉각 패드(40)를 통과한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를 통과한 후 냉풍 안내 장치(2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냉풍 안내 장치
30: 윈드휠
40: 냉각 패드
45: 냉각 패드 홀더
50: 물통
60: 펌프
70: 냉각장치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냉각 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 패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 냉풍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내면이 메쉬 형태인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를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냉각 패드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상기 오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 상기 냉각 패드의 상면을 향하는 복수의 분배구들이 형성된 분배조를 구비한 냉각 패드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배출구를 구비한 저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저수조로 공급하며,
    상기 저수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분배조에 떨어진 후 상기 복수의 분배구를 통해서 상기 냉각 패드의 상면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각 패드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펌프에 부착되는 냉각핀과 상기 냉각핀을 향해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패드는 번갈아 적층되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상기 냉각 패드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 시트의 골과 마루는 제1 시트의 골과 마루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골과 마루가 상기 냉각 패드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5. 삭제
KR2020190000597U 2019-02-12 2019-02-12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KR200492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97U KR200492505Y1 (ko) 2019-02-12 2019-02-12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97U KR200492505Y1 (ko) 2019-02-12 2019-02-12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43U KR20200001843U (ko) 2020-08-20
KR200492505Y1 true KR200492505Y1 (ko) 2020-10-29

Family

ID=7223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97U KR200492505Y1 (ko) 2019-02-12 2019-02-12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0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89Y1 (ko) * 2006-04-19 2006-09-20 주식회사 맑은전자 냉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279B1 (ko) * 2000-09-30 2003-04-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고압펌프
KR200433450Y1 (ko) 2006-09-30 2006-12-08 주식회사 성일 열전소자로 물통측면에서 냉수를 냉각하고 냉풍팬으로냉풍을 발생시키는 아이스팩을 이용하는 냉풍기
KR200433448Y1 (ko) 2006-09-30 2006-12-08 주식회사 성일 열전소자로써 순환 배관을 냉각하고 아이스 팩을 이용하는냉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89Y1 (ko) * 2006-04-19 2006-09-20 주식회사 맑은전자 냉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43U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18B2 (en) Cooling tower with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ections
CN101277748B (zh) 除湿机
JP4011273B2 (ja) 気化式加湿機
JP3888983B2 (ja) 冷風機
KR200492505Y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냉풍기
JP5135673B2 (ja) 除湿機
KR100996836B1 (ko) 난방장치
US20160362830A1 (en) Vented clothes dryer with passive heat recovery
CA3138171C (en) Air humidifier
JP4545773B2 (ja) 気化式加湿機
JP2007285565A (ja) 加湿装置
US3348828A (en) Air humidifier devices
KR101534170B1 (ko) 제습기
KR20130063351A (ko) 유도 가열 방식 가습기
JP4495006B2 (ja) 空気調和機
JP2005185930A (ja) 除湿装置
CN114151873A (zh) 蒸发冷却装置及其控制方法、空调器
CN218846310U (zh) 冷凝装置
JP5799201B2 (ja) 除湿装置
JP2002162071A (ja) 温風暖房機
TW201923289A (zh) 除濕裝置
JP2005103365A (ja) 除湿装置
JP2007098263A (ja) 除湿機
CN210624781U (zh) 一种带有多孔陶瓷加热体的风扇
KR20060067215A (ko)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