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58Y1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Google Patents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58Y1
KR200492458Y1 KR2020190002452U KR20190002452U KR200492458Y1 KR 200492458 Y1 KR200492458 Y1 KR 200492458Y1 KR 2020190002452 U KR2020190002452 U KR 2020190002452U KR 20190002452 U KR20190002452 U KR 20190002452U KR 200492458 Y1 KR200492458 Y1 KR 200492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upper plate
spr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운
최명섭
Original Assignee
박기운
최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운, 최명섭 filed Critical 박기운
Priority to KR2020190002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30/00Shapes of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65F2240/1126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2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수거기로서, 분리된 쓰레기를 수용하는 몸체; 일측이 상판에 유착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내부를 분리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바의 외부 형상과 상기 상판의 형상은 동일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편리하게 버릴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수거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는 크게 플라스틱류, 비닐·포장지류, 캔·고철류, 종이류, 유리류, 스티로폼류, 종이팩류, 헌옷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수거 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쓰레기통에서 각 쓰레기를 분리하여 종류별 분리 쓰레기통에 담고 각 분리 쓰레기통을 직접 들고 이동하여 버려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한 손으로는 쓰레기 봉지를 벌리고, 다른 한손으로는 일반 쓰레기를 버려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장치는 집에서 사용하는 쓰레기통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쓰레기통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쓰레기통만을 사용하여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이동이 용이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마다 쓰레기 봉지를 벌리지 않고도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뚜껑이 쉽게 열고 닫힐 수 있는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통에 담을 때 하나씩 꺼내어 담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고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리수거기는 분리된 쓰레기를 수용하는 몸체; 일측이 상판에 유착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내부를 분리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바의 외부 형상과 상기 상판의 형상은 동일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손잡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 공간은 통해 상기 손잡이의 바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아치(arch) 형상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덮개는, 상기 상판에 유착된 면에 스프링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고정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수용하여 사기 덮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수용부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는 상기 분리판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가이드 쌍 및 제2 가이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쌍과 상기 제2 가이드 쌍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가로길이는 450mm, 세로길이는 300mm, 높이는 627.5mm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퀴의, 지름은 45mm, 지면에 닿는 부분의 폭은 20mm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장치는 집에서 사용하는 쓰레기통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쓰레기통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쓰레기통만을 사용하여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이동이 용이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마다 쓰레기 봉지를 벌리지 않고도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뚜껑이 쉽게 열고 닫힐 수 있는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통에 담을 때 하나씩 꺼내어 담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분리판이 장착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손잡이가 장착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덮개가 포함된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는, 몸체(10), 상판(20), 하판(30), 바퀴부(40), 및 손잡이(50)를 포함한다.
몸체(10)의 상측에는 착탈 가능한 상판(20)이 결합하고, 하측에는 하판(30)이 결합하고, 몸체(10)에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저장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공간의 개수에 대응하여,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다.
몸체(10)는, 그 측면 중 손잡이(50)에 대응하는 부분에, 사용자 손잡이(50)가 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50)의 바(bar, 도 4 참조)를 잡을 수 있도록, 일 측면에 형성된, 바 공간(1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바 공간(11)에 노출된 손잡이의 바를 잡을 수 있다.
바 공간(11)은 아치(arch) 형상 일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삼각형 등 손잡이의 바를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몸체(10)의 가로길이는 450mm, 세로 길이는 300mm, 높이는 바퀴부(40)를 포함하여 627.5mm일 수 있으며, 몸체(10)의 형상은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일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판(20)에는 2개의 덮개(21a, 21b)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2개의 덮개(21a, 21b) 각각은 하나의 면이 상판(20)에 유착되고, 유착된 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덮개(21a, 21b) 중 제1 덮개(21a)만 열려 금속 재활용 쓰레기를 몸체(10)에 넣을 수 있다. 또는 2개의 덮개(21a, 21b) 중 제2 덮개(21b)만 열려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를 몸체(10)에 넣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되는 쓰레기를 금속 재활용 쓰레기와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만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덮개(21a, 21b)가 열리는 구조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퀴부(40)는 몸체(10)에 포함된 4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 예를 들어 손잡이(50)가 구비된 모서리에 대응하는 하판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바퀴부(40)는 제1 바퀴(41a) 및 제2 바퀴(42b)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이용하여 몸체(10)를 이동 방향으로 기울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하판은 떨어지게 되고 바퀴부(40)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지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50)를 이용하여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바퀴(41a) 및 제2 바퀴(42b)의 지름은 45mm, 지면에 닿는 부분의 폭은 20mm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퀴부(40)에 포함된 바퀴를 2개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퀴부(40)는 2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0)는 몸체에 포함되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할 경우에 돌출 가능하다. 사용자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하여 분리된 쓰레기를 버릴 경우에 몸체(10)로부터 손잡이(50)를 뽑아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5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 내부에는 분리판(6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판(60)은, 몸체(10)를 구성하는 4개의 측벽 중 적어도 2개의 측벽에는 한 쌍의 가이드(102)로써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102)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가이드(102a)와 제2 가이드(102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102a)와 제2 가이드(102b) 사이에 분리판(60)을 끼워 넣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02a)와 제2 가이드(102b)는 몸체(10)의 하측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판(60)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분리판(60)은 제1 덮개(21a) 및 제2 덮개(21b)에 대응하도록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hole, 61)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판(60)은 1개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50)는 2개의 단부(101a, 101b)와 2개의 단부보다 좁은 바(bar)를 포함하는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의 일 측면에는 2개의 단부(101a, 101b)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를 포함한다. 2개의 단부(101a, 101b)는 각각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손잡이(50)는 몸체(10)의 일 측명에서 연장되거나 몸체(1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0)의 바를 당겨 몸체(10)로부터 손잡이(50)를 뽑아 내거나 상판(20)의 모서리와 일체가 되도록 집어넣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50)의 바의 상부 형상은, 상판(20)의 테두리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50)를 몸체(10)에 완전히 집어넣으면 상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몸체(1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 공간(11)을 통해 손잡이(50)를 몸체(10)로부터 뽑을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상판(20)과 2개의 덮개(21a, 21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덮개(21a)는 제1 스프링(223a)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제1 스프링 고정부(211a)와 제2 스프링(223b)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제2 스프링 고정부(211b)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223a)과 제2 스프링(223b)은 각각 일단과 타단을 포함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덮개(21a)는,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유착되는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덮개(21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 수단(212)을 포함한다.
상판(20)은 제1 덮개(21a)의 고정 수단(21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수용부(222), 제1 스프링(223a)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3 스프링 고정부(221a), 및 제2 스프링(223b)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4 스프링 고정부(221b)를 포함한다.
고정 수단(212)과 수용부(222)는 사용자가 제1 덮개(21a)를 한 번 누를 때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고정되고 다시 제1 덮개(21a)를 누르면 상판(20)으로부터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유착된 상태로 열릴 수 있는 원터치(one-touch) 잠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터치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제1 덮개(21a)를 한 번 누를 때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고정되고 다시 제1 덮개(21a)를 누르면 상판(20)으로부터 제1 덮개(21a)가 상판(20)의 일측에 유착된 상태로 열릴 수 있는 잠금 장치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부(222)에 대응하는 제1 덮개(21a)의 상부 면에 제2 버튼(211a)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제2 버튼(211a)을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제1 덮개(21a)를 상판(20)에 고정하거나 제1 덮개(21a)가 상판(20)으로부터 열리게 할 수 있다.
도 6의 제2 덮개(21b)가 상판(20)의 일 측과 유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4개의 스프링 고정부, 고정 수단, 수용부, 제1 스프링 고정부, 1쌍의 스프링, 및 제2 스프링 고정부 등은 제1 덮개(21a)의 개폐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의해 제2 덮개(21b) 또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를 형성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덮개(21b) 또한 제2 버튼(211b)을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제2 덮개(21b)의 개폐가 제어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몸체
20: 상판
30: 하판
40: 바퀴부
50: 손잡이

Claims (10)

  1. 분리수거기로서,
    분리된 쓰레기를 수용하는 몸체;
    일측이 상판에 유착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내부를 분리하는 분리판
    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바의 외부 형상과 상기 상판의 형상은 동일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며,
    상기 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 공간은 통해 상기 손잡이의 바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아치(arch) 형상이며,
    상기 덮개는, 상기 상판에 유착된 면에 스프링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분리수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고정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수용하여 사기 덮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수용부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분리수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인, 분리수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분리판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가이드 쌍 및 제2 가이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쌍과 상기 제2 가이드 쌍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분리수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로 길이는 450mm, 세로 길이는 300mm, 높이는 627.5mm인, 분리수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퀴의, 지름은 45mm, 지면에 닿는 부분의 폭은 20mm인, 분리수거기.
KR2020190002452U 2019-06-14 2019-06-14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0492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52U KR200492458Y1 (ko) 2019-06-14 2019-06-14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52U KR200492458Y1 (ko) 2019-06-14 2019-06-14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458Y1 true KR200492458Y1 (ko) 2020-10-20

Family

ID=7300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52U KR200492458Y1 (ko) 2019-06-14 2019-06-14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28Y1 (ko) * 2020-11-06 2022-03-11 박기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220138424A (ko) 2021-02-15 2022-10-1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7Y1 (ko) * 2006-03-06 2006-05-26 김일선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7Y1 (ko) * 2006-03-06 2006-05-26 김일선 쓰레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28Y1 (ko) * 2020-11-06 2022-03-11 박기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220138424A (ko) 2021-02-15 2022-10-1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458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US7290674B1 (en) Bifurcated trash bin
KR200473734Y1 (ko)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함
KR20170054343A (ko) 쓰레기봉투 거치 쓰레기통
KR200495128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KR101954157B1 (ko) 분리수거함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64070Y1 (ko) 쓰레기 수거함의 잠금장치
KR200460648Y1 (ko)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CN218432991U (zh) 一种垃圾桶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CN218578659U (zh) 一种双层垃圾桶
CN215973304U (zh) 一种压缩式垃圾桶
CN212862648U (zh) 一种购物袋收纳装置及垃圾桶
KR101864994B1 (ko) 폐문서 칩 수거봉투의 연속공급구조를 갖는 문서세단기
CN213650735U (zh) 一种购物袋收纳装置及垃圾桶
KR101417823B1 (ko) 압축식 쓰레기통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CN213293573U (zh) 一种组合垃圾桶
KR20160002949U (ko) 봉투 걸이식 휴지통
KR200488547Y1 (ko) 쓰레기통
JP3026063B2 (ja) 分別ゴミ容器
JP3061601U (ja) ゴミ容器
JP3113473U (ja) 分別自在な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