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66Y1 -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 Google Patents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66Y1
KR200492166Y1 KR2020180004052U KR20180004052U KR200492166Y1 KR 200492166 Y1 KR200492166 Y1 KR 200492166Y1 KR 2020180004052 U KR2020180004052 U KR 2020180004052U KR 20180004052 U KR20180004052 U KR 20180004052U KR 200492166 Y1 KR200492166 Y1 KR 200492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chord
mark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13U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김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2020180004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6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0개의 수평 베이스라인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되 반 박자 간격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바라인(bar line)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 중 최하단 베이스라인에서 최상단 베이스라인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며 코드(chord)의 근음을 나타내는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으로 이루어진 마크시트에 코드(chord)의 음계 마킹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크시트에 덧대게 배치되는 사각의 가이드시트; 상기 가이드시트 상단에 배치되는 m(단, m은 상기 나열된 계이름 중 하나를 근음으로 하는 코드임) 코드명; 및 상기 코드명에 해당하는 코드의 음계를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화음에 맞는 베이스라인들을 따라 n(단, n은 2, 3, 4, 5, 6, 7, 8, 9, 12 중 하나임) 박자 간격만큼 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의 코드들을 빈 시트에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직접 마킹한 후 별도의 천공장치를 이용해 마킹 부위를 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연주용 시트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CHORD MARKING GUIDE}
본 고안은 유효길이가 서로 다른 소리판들을 갖는 오르골 내에서 이송되어 소리판들로 하여금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트에 악보 코드(chord, 和音) 마킹 시 코드별로 쉽게 마킹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별로 맞춤 제작된 가이드들 중 종이로 된 악보의 코드에 맞게 직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에 관한 기술이다.
오르골(orgel)이란, 자동적으로 쇠막대기의 바늘이 회전하며 음계판(音階板)에 닿아 음악이 연주되는 장치를 말한다. 최초 오르골의 사용은 중세 유럽에서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명종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원리를 이용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는 '카리용'이라는 기계가 14세기에 발명되었다.
이것이 소형화 되어 18세기 말 실린더 오르골이 발명되었으나, 오르골 장치 1개당 1개의 음악만 연주 가능했고,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악곡을 교체 연주 가능한 디스크 교체 오르골이 19세기 말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오르골은 음악을 저장하는 매체가 금속 실린더 혹은 디스크로 대량 생산되므로 한정된 종류의 음악만이 오르골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직접 제작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오르골의 음악 저장 매체를 직접 제작하기 위한 기술로는,
미국 특허 제3,470,784호 (1969.10.0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AUTOMATIC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와, 미국 특허 제3,691,286호 (1972.09.1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MUSICAL BOX MOVEMENT』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 및 2는 계이름과 계이름을 따르는 수평선 및 박자를 나타내는 수직선이 표시 된 종이 또는 기타 유사한 재질의 시트 위에 사용자가 직접 구멍을 펀칭, 오르골 장치에 삽입하여 통과시킬 때, 펀칭된 구멍이 타격돌기를 움직이고, 타격돌기는 각각의 담당하는 음(Note,音)을 타격하여, 원하는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한 종이 악보용 연주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및 2에서 제시한 연주기인 오르골 장치는 음악을 저장하는 매체가 금속이 아닌 종이 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듣고 싶은 음악을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과 수고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음악의 초보자나 어린이가 원하는 음악을 제작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으며, 숙련자 또한 펀칭(천공)할 곳을 마킹하는 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에 아직까지는 크게 대중화 되지는 못한 단점이 있었다.
문헌 1 및 2를 응용한 다른 기술로는,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03187679호 (2013.11.2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오르골 연주용 시트』와,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03188812호 (2014.01.2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오르골 문자 템플릿』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 및 4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에 문자와 숫자를 가이드에 덧대어 펀칭할 곳을 필기구로 마킹 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가이드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문헌 3 및 4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 자체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문자와 숫자를 그리는 데 편의를 제공할 뿐, 오르골 장치를 재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음악의 3요소인 리듬, 가락, 화성에 영향을 주는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 1. 미국 특허 제3,470,784호 (1969.10.07.등록) 문헌 2. 미국 특허 제3,691,286호 (1972.09.12.등록) 문헌 3.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03187679호 (2013.11.20.등록) 문헌 4.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03188812호 (2014.01.22.등록)
본 고안은 오르골에 의해 연주되는 시트에 사용자가 직접 악보 코드들을 마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마련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기존의 피아노나 기타용 악보 등에 기입된 코드를 참고하여 연주용 시트를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제작한 시트를 이용해 오르골 연주가 가능한 코드 마킹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0개의 수평 베이스라인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되 반 박자 간격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바라인(bar line)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 중 최하단 베이스라인에서 최상단 베이스라인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며 코드(chord)의 근음을 나타내는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으로 이루어진 마크시트에 코드(chord)의 음계 마킹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크시트에 덧대게 배치되는 사각의 가이드시트;
상기 가이드시트 상단에 배치되는 m(단, m은 상기 나열된 계이름 중 하나를 근음으로 하는 코드임) 코드명; 및
상기 코드명에 해당하는 코드의 음계를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화음에 맞는 베이스라인들을 따라 n(단, n은 2, 3, 4, 5, 6, 7, 8, 9, 12 중 하나임) 박자 간격만큼 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는,
코드 마킹을 위한 수평 및 수직의 안내선들이 매우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시트에 코드(chord) 마킹 시 정확한 음계의 마킹 위치를 찾아 확인하는 데에 불편하고 어려웠던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마킹 가이드를 이용해 원하는 악보의 코드들을 빈 시트에 마킹한 후 별도의 천공장치를 이용해 마킹 부위를 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음악 악보를 보고 오르골 연주용 시트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르골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마크시트를 나타낸 일부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이드에 대한 다른예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이드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8은 마크시트에 가이드를 덧대고 마킹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 평면 구성도,
도 9는 다양한 코드에 맞게 구성된 가이드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가이드에 의해 제작된 시트를 이용해 연주하게 되는 오르골(1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르골(10)은
시트 투입부(11),
상기 투입부(11)의 출구 측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 측 롤러(12) 및 하부 측 드럼(13),
상기 투입부(11)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음의 고저에 따라 유효길이가 다른 각각의 소리판들(14),
상기 롤러(1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5), 그리고
상기 드럼(13)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되 상기 각 소리판들(14)과 대응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둘 이상의 타격돌기(161)가 형성되고 회전 시 하나의 타격돌기(161)가 해당 소리판을 튕기게 되는 각각의 타격링(1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1)는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판재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공간은 후술할 마크시트(20)의 두께와 상응한 높이를 가지며, 특히 이 공간은 마크시트(20)의 상하 폭과 상응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롤러(12)는 이의 중심에 끼워지는 롤러샤프트(121)와, 상기 각 타격링(16)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드럼(13)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둘 이상의 맞물림부(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3)은 이의 중심에 끼워지는 드럼샤프트(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소리판들(14)은 상기 투입부(11) 하부 측에 배치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장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의 고저에 따라 유효길이가 다른 막대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소리판들(14)의 막대들이 상기 타격링(16)의 타격돌기(161)에 의해 튕기게 될 때에 내는 음은 최하단 측 막대에서 최상단 막대까지 순서대로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코드의 각 근음 및 계이름으로써, 몇 가지 대표 코드의 근음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C 코드는 도미솔의 3화음이며 이때 근음은 '도'이고, F 코드는 파라도의 3화음이며 이때 근음은 '파'이며, B 코드는 시레#파#의 3화음이며 이때 근음은 '시'이다.
따라서 상기한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코드의 각 근음 및 계이름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파(F), 솔(G), 도(C), 레(D), 미(E), 파(F), 솔(G), 라(A), 라#(A#)(=시b(Bb)), 시(B), 도(C), 도#(C#)(=레b(Db)), 레(D), 레#(D#((=미b(Eb)), 미(E), 파(F), 파#(F#)(=솔b(Gb)), 솔(G), 솔#(G#)(=라b(Ab)), 라(A), 라#(A#)(=시b(Bb)), 시(B), 도(C), 도#(C#)(=레b(Db)), 레(D), 레#(D#((=미b(Eb)), 미(E), 파(F), 솔(G), 라(A)
상기와 같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5)는 상기 롤러(12)의 롤러샤프트(121)와 상기 드럼(13)의 드럼샤프트(131) 각각에 축 결합되어 서로 맞물리게 되는 기어들(151)과, 이 기어들 중 하나의 기어 중심에 결합되는 핸들(152)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152)을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롤러(12)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투입부(11)로 투입된 마크시트(20)가 상기 롤러(12)와 상기 드럼(13) 사이에서 강제 이송되며, 이송되는 마크시트(20)의 천공홀(25)이 하나의 타격돌기(161)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타격링(16)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게 되는 타격링(16)의 다른 타격돌기(161)가 해당 소리판을 튕기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가이드(100)에 의해 마킹되어 별도의 천공장치를 통해 타공되는 연주용 시트인 마크시트(20)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0개의 수평 베이스라인(base line)(21),
상기 각 베이스라인(21)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되 반 박자 간격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바라인(bar line)(22), 그리고
상기 오르골(10)의 각 소리판들(14)과 대응되도록 상기 각 베이스라인(21) 중 최하단 베이스라인(21)에서 최상단 베이스라인(21)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며 코드(chord)의 근음을 나타내는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2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크시트(20)는 몇 cm에서 몇 m까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대략 5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서 권취 된 롤러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악보에 기입된 코드들을 마킹한 후 마킹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르골(10)에 의해 연주되는 연주용 시트인 마크시트(20)에 악보 코드의 음계 마킹을 안내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100)에 대해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크시트(20)에 덧대게 배치되는 사각의 가이드시트(101),
상기 가이드시트(101) 상단에 배치되는 m(단, m은 상기 나열된 계이름(23) 중 하나를 근음으로 하는 코드임) 코드명(102), 그리고
상기 코드명(102)에 해당하는 코드의 음계를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화음에 맞는 베이스라인(21)들을 따라 n(단, n은 2, 3, 4, 5, 6, 7, 8, 9, 12 중 하나임) 박자 간격만큼 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홀(10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 전반에 걸쳐 상기 가이드홀(103)이 네(4) 박자 간격만큼의 길이를 갖는 구멍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일예인 것이 자명하고, 이하에서는 일예인 상기 n이 4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가이드홀(103) 좌측에 상기 가이드홀(103)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계이름(23)이 문자로 기입된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가이드홀(103) 우측에 해당 코드명(102)의 코드 음계에 맞게 (1도, 3도, 5도) 또는 (1도, 3도, 5도, 6도) 또는 (1도, 3도, 5도, 7도) 또는 (1도, 4도, 5도) 화음을 나타내는 숫자가 기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시트(101)는 상기 마크시트(20)와 상하 폭이 동일하며,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각 베이스라인(21)과 상기 각 바라인(22)에 상호 대응되게 각각의 대응베이스라인(104)과 각각의 대응바라인(10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마크시트(20)에 상기 가이드시트(101)를 덧대어 놓은 상태에서 코드 마킹 시 상기 마크시트(20)와 상기 가이드시트(101)를 번갈아 가며 육안으로 비교 확인하면서 좀 더 용이하게 마킹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가이드(100)에서,
상기 m 코드명(102)에서 m이 크게 'F'인 경우와 'G'인 경우와 'D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F 코드명(102)은 F 코드에 맞게 파라도의 3화음이므로,
상기 각 베이스라인(21) 상에 배치된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23)에서
'파라도'인 F, A, C의 계이름(23)에 해당하는 베이스라인(21) 중 상기 가이드시트(101)의 가이드홀(10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하게 된다.
이때 음역에 따라 낮은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F, A, C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고, 중간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F, A, C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F, A, C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다. 이때 F, A, C 외에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마킹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현재 마킹한 코드와 다음 마킹할 코드 간의 간격은 악보 상의 박자에 맞게 띄워서 마킹을 하게 되는데, 결국 상기 마크시트(20)의 바라인(22)이 반 박자만큼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박자에 맞게 마킹을 하게 된다.
나아가 F 코드명(102)은 F 코드와 FM7 코드를 겸할 수 있는데,
FM7 코드는 F 코드의 파라도에서 '미'를 포함하는 즉, 파라도미의 4화음이므로,
F, A, C, E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시트(101)에서 E의 베이스라인(21)과 상응한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103)이 더 형성되고, 마킹 시 F, A, C, E 외에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 7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마킹을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G 코드명(102)은 G 코드에 맞게 솔시레의 3화음이므로,
상기 각 베이스라인(21) 상에 배치된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23)에서
'솔시레'인 G, B, D의 계이름(23)에 해당하는 베이스라인(21) 중 상기 가이드시트(101)의 가이드홀(10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하게 된다.
이때 음역에 따라 낮은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G, B, D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고, 중간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G, B, D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G, B, D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다. 이때 G, B, D 외에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마킹을 할 수도 있다.
나아가 G 코드명(102)은 G 코드와 G7 코드를 겸할 수 있는데,
G7 코드는 G 코드의 솔시레에서 '파'를 포함하는 즉, 솔시레파의 4화음이므로,
G, B, D, F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시트(101)에서 F의 베이스라인(21)과 상응한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103)이 더 형성되고, 마킹 시 G, B, D, F 외에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 7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마킹을 할 수도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Dm 코드명(102)은 Dm 코드에 맞게 레파라의 3화음이므로,
상기 각 베이스라인(21) 상에 배치된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23)에서
'레파라'인 D, F, A의 계이름(23)에 해당하는 베이스라인(21) 중 상기 가이드시트(101)의 가이드홀(10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하게 된다.
이때 낮거나 중간, 또는 높은 음역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D, F, A 또는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베이스라인(21)에 각각 마킹을 할 수 있다.
나아가 Dm 코드명(102)은 Dm 코드와 함께 Dm7 코드를 겸할 수 있는데,
Dm7 코드는 Dm 코드의 레파라에서 '도'를 더 포함하는 즉, 레파라도의 4화음이므로,
D, F, A, C의 베이스라인(21)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시트(101)에서 C의 베이스라인(21)과 상응한 위치에 상기 가이드홀(103)이 더 형성되고, 마킹 시 D, F, A, C 외에 이와 같은 라인 상에 위치한 1도, 3도, 5도, 7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보고 마킹을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일예를 참고하여 나머지 코드명(102)에 대한 가이드(100)의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머지 코드명(102)에 해당하는 가이드(100)들은 도 9를 참고하기로 한다.
따라서 악보에 기입된 코드들을 순서대로 박자에 맞게 본 고안의 가이드(100)를 이용해 상기 마크시트(20)에 마킹을 한 후에는 별도의 천공장치를 이용해 마킹 부위(24)를 천공하게 된다.
이렇게 천공된 천공홀(25)은 오르골(10)의 투입부(11)로 마크시트(20) 투입 후 구동부(15)에 의해 마크시트(20) 이송 시 타격링(16)의 타격돌기(161)에 걸리게 되면서 타격링(16)을 강제 회전시키게 되고, 강제 회전되는 타격링(16)의 다른 타격돌기(161)가 해당 소리판들(14)의 막대를 튕기게 됨으로써, 해당 천공홀(25)에 맞는 음의 소리가 남으로써, 본 고안의 가이드를 이용해 직접 제작한 마크시트로 오르골을 이용한 악보의 연주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오르골
11 : 투입부
12 : 롤러
121 : 롤러샤프트
122 : 맞물림부
13 : 드럼
131 : 드럼샤프트
14 : 소리판들
15 : 구동부
151 : 기어들
152 : 핸들
16 : 타격링
161 : 타격돌기
20 : 마크시트
21 : 베이스라인
22 : 바라인
23 : 계이름
24 : 마킹 부위
25 : 천공홀
100 : 가이드
101 : 가이드시트
102 : 코드명
103 : 가이드홀
104 : 대응베이스라인
105 : 대응바라인

Claims (4)

  1.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0개의 수평 베이스라인(21)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21)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되 반 박자 간격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바라인(bar line)(22)과, 상기 각 베이스라인(21) 중 최하단 베이스라인(21)에서 최상단 베이스라인(21)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며 코드(chord)의 근음을 나타내는 F, G, C, D, E, F, G, A, A#Bb, B, C, C#Db, D, D#Eb, E, F, F#Gb, G, G#Ab, A, A#Bb, B, C, C#Db, D, D#Eb, E, F, G, A 계이름(23)로 이루어진 마크시트(20)에 코드(chord)의 음계 마킹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크시트(20)에 덧대게 배치되는 사각의 가이드시트(101);
    상기 가이드시트(101) 상단에 배치되는 m(단, m은 상기 나열된 계이름 중 하나를 근음으로 하는 코드임) 코드명(102); 및
    상기 코드명(102)에 해당하는 코드의 음계를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화음에 맞는 베이스라인(21)들을 따라 n(단, n은 2, 3, 4, 5, 6, 7, 8, 9, 12 중 하나임) 박자 간격만큼 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홀(103);
    을 포함하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가이드홀(103) 좌측에 상기 가이드홀(103)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계이름(23)이 문자로 기입되어 있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가이드홀(103) 우측에 해당 코드명(102)의 코드 음계에 맞게 [1도, 3도, 5도] 또는 [1도, 3도, 5도, 6도] 또는 [1도, 3도, 5도, 7도] 또는 [1도, 4도, 5도] 화음을 나타내는 숫자가 기입되어 있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시트(101)는 상기 마크시트(20)와 상하 폭이 동일하며,
    상기 가이드시트(101)에는 상기 각 베이스라인(21)과 상기 각 바라인(22)에 상호 대응되게 각각의 대응베이스라인(104)과 각각의 대응바라인(105)이 형성되어 있는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KR2020180004052U 2018-08-30 2018-08-30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KR200492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2U KR200492166Y1 (ko) 2018-08-30 2018-08-30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52U KR200492166Y1 (ko) 2018-08-30 2018-08-30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25U Division KR200487374Y1 (ko) 2018-02-23 2018-02-23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13U KR20190002213U (ko) 2019-09-02
KR200492166Y1 true KR200492166Y1 (ko) 2020-08-21

Family

ID=6790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52U KR200492166Y1 (ko) 2018-08-30 2018-08-30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34Y1 (ko) * 2020-08-10 2021-09-17 주식회사 잭슨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679B2 (ja) * 1995-03-15 2001-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ーク反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0784A (en) 1965-12-25 1969-10-07 Fukusaburo Shiina Automatic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
DE2149442C3 (de) 1970-12-25 1980-07-10 K.K. Sankyo Seiki Seisakusho, Nagano (Japan) Spieldosenwerk
EP0643862B1 (en) * 1992-06-03 1997-07-23 HESNAN, John A music learning aid
JP3187679U (ja) 2013-08-27 2013-12-12 周二 杉山 オルゴール演奏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679B2 (ja) * 1995-03-15 2001-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ーク反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13U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9336B2 (ja) 物理的オブジェクトにより音楽の学習、作曲及び演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183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6967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music
US20080072738A1 (en) Isomorphic Solfa Music Notation and Keyboard
WO201511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8039722B2 (en) Methods and formats for visually expressing music
KR200492166Y1 (ko)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US7306226B2 (en) Musical game
US20040020347A1 (en) Data recording and retrieval, sheet music, music keyboard tablature and method of teaching music
Kleppinger On the influence of jazz rhythm in the music of Aaron Copland
US2943527A (en) Adjustable tune producing instrumentality
KR200487374Y1 (ko) 오르골 연주용 시트의 코드 마킹 가이드
CN105453168A (zh) 用物体进行学习、创作和演奏音乐的系统和方法
JP3187679U (ja) オルゴール演奏用シート
US8697974B1 (en) Musical notation system
CN210804855U (zh) 初学者快速成曲钢琴
US2265237A (en) Musical instrument
KR20210026627A (ko)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
CN205302926U (zh) 一种可调节音阶的音乐盒
US2003384A (en) Piano chord player
US209630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chart therefor
JP3229152U (ja) カリンバ演奏用補助具
JP3187680U (ja) 演奏用シート生成定規
JP2005128461A (ja) 鍵盤を基準にグラフ化した楽譜
JP2010091993A (ja) 音楽教習部材、音楽教習具、音楽教習装置、作曲支援具、作曲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63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6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05

Effective date: 2020072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