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929Y1 -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929Y1
KR200491929Y1 KR2020180004696U KR20180004696U KR200491929Y1 KR 200491929 Y1 KR200491929 Y1 KR 200491929Y1 KR 2020180004696 U KR2020180004696 U KR 2020180004696U KR 20180004696 U KR20180004696 U KR 20180004696U KR 200491929 Y1 KR200491929 Y1 KR 200491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nkle
velcro tape
protector
joint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814U (ko
Inventor
강재영
Original Assignee
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영 filed Critical 강재영
Priority to KR2020180004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2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착용시 몸체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원하는 위치에 잘 고정시킬 수 있는 관절 보호대가 개시된다. 상기 보호대는,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몸체의 한 면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제1벨크로 테이프; 및 상기 몸체의 타단의 다른 면에 형성된 제2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Joint protector}
본 고안은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착용시 몸체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원하는 위치에 잘 고정시킬 수 있는 관절 보호대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축구나 야구 등의 다양한 운동경기 중 발목이나 손목 또는 무릎과 같은 관절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관절 보호대를 착용한다.
가령, 종래의 발목 보호대는 일반적으로 탄력을 갖는 양말 형상의 본체에서 앞굼치와 뒷굼치를 잘라낸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의 발목 보호대는 발목의 보호를 충실히 하기 위해 고탄력의 천을 많이 이용하였는데, 오히려 고탄력의 천은 착용자의 발목 부분 뿐만 아니라 그 주위를 상당히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혈액순환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는 집중적으로 관절을 보호하지 못하였다.
다른 구조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40817호는, 양말의 앞부분을 잘라낸 형태의 양말;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부에는 각각 암,수 벨크로화스너를 구비한 탄력밴드; 및 상기 양말의 발바닥 부분에 크로스되게 양말의 길이 및 탄력밴드의 폭방향으로 고정한 재봉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발목 보호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발목 보호대의 경우, 반드시 양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목 이외의 부분에는 적용할 수 없어 관절 부위별로 별도의 보호대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탄력 밴드만 이용하는 경우, 착용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지 않아 효과가 떨어진다. 다시 말해, 탄력 밴드가 피부 위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한 손으로 탄력 밴드의 한 쪽 끝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탄력 밴드를 발목에 감는데, 한 손만을 이용하여 탄력 밴드를 감기 때문에 적절한 강도를 주면서 정확한 위치로 감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든 관절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손으로 관절 부분에 대해 적절한 강도와 위치를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는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몸체의 한 면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제1벨크로 테이프; 및 상기 몸체의 타단의 다른 면에 형성된 제2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심재를 상기 몸체의 일단이 감아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심재는 연질의 PVC로 구성되고 통이나 기둥 형상이고, 상기 접합은 재봉이나 열 융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탄력을 구비하고 신축 가능하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몸체 일단의 걸림부와 걸림부의 아래 부분을 지나는 몸체 부분에 의해 하나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이 고리에 의해 관절을 임시로 감싸 고정되는 결과에 의해 이후의 감싸는 작업이 쉬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양손을 이용하여 관절 부분을 감쌀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강도와 위치를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절 보호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관절 보호대를 발목에 착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고안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고안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절 보호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관절 보호대(100)는, 몸체(110),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120), 몸체(110)의 한 면 중간 부분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130), 및 몸체(110)의 타단의 다른 면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140)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스트랩(strap) 또는 밴드(band) 형상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다.
가령, 몸체(110)는, 네오플렌 등의 재질로 만들어며, 탄력을 구비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도 1에서, 몸체(110)의 상면 중간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130)가 부착되고, 몸체(110)의 타단(111)의 하면에 벨크로 테이프(140)가 부착되어 몸체(110)로 대상 관절 부분을 감은 후, 이들 벨크로 테이프(130, 140)를 서로 접촉시켜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부(120)는, 몸체(110)의 일단(112)으로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꺼운 심재(122)를 감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몸체(110)가 대상 관절 부분을 감싸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일단(112)이 빠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심재(122)는 관절 부분에 밀착되도록 연질의 PVC 등으로 구성되고 통이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원통(파이프)이나 원기둥, 또는 사각통이나 사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12)의 일단(112)이 심재(122)를 감고 나서 몸체(112)에 접합되는데, 가령 이 예와 같이 재봉(113)으로 접합되거나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걸림부(120)는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몸체(110)와 피부 사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a) 내지 2(c)는 관절 보호대를 발목에 착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a)와 같이, 걸림부(120)를 발목(20)의 안쪽 앵클 부분에 위치시키고, 한 손의 엄지(10)로 걸림부(120)를 누른다.
이어 몸체(110)를 발바닥을 통과하여 반대쪽으로 보내는데, 몸체(110)의 일단(112)에 형성된 걸림부(120)를 엄지(10)로 누른 상태이기 때문에 몸체(110)를 반대쪽으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손(미도시)으로 반대쪽으로 보낸 몸체(110)의 일단이 발목(20)의 앞부분을 통과하여 걸림부(120) 바로 아래를 통과하도록 한다.
몸체(110)가 탄력을 구비하는 경우, 다른 손으로 몸체(110)를 잡아당기면 몸체(110)는 다소 늘어나면서 걸림부(120) 바로 아래 부분을 누르면서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방바닥을 통과한 몸체(110)의 부분과 걸림부(120) 바로 아래 부분을 통과한 몸체(110) 부분(114)이 하나의 고리를 구성함으로써 임시로 발목을 감은 상태가 되며, 특히 걸림부(120)가 몸체 부분(114)에 걸려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감아서 고정된 상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걸림부(120)를 누르던 손을 떼더라도 감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양손을 이용하여 나머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벨크로 테이프(130)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벨크로 테이프(130)의 위치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도 2(c)와 같이, 몸체(110)로 발목을 다시 감아 벨크로 테이프(140)를 노출된 벨크로 테이프(130)에 접촉시켜 결합시키는데, 상기한 것처럼, 몸체(110)의 걸림부(120)와 몸체 부분(114)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의해 발목이 감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몸체(110)이 일단(112)이 이동하여도 감긴 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아 밀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발목 관절을 감싸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관절 부분, 가령 무릎이나 팔꿈치 등에도 같은 원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아래 부분을 지나는 몸체 부분이 하나의 고리를 형성하여 대상 관절 부분을 임시로 감싸 고정되는 효과를 얻도록 하여 이후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절 보호대
110: 몸체
111, 112: 단부
120: 걸림부
122: 심재
130, 140: 벨크로 테이프

Claims (4)

  1.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몸체의 한 면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제1벨크로 테이프; 및
    상기 몸체의 타단의 다른 면에 형성된 제2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 심재를 감고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심재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PVC로 구성되고 통이나 기둥 형상이며,
    상기 접합은 재봉이나 열 융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4. 삭제
KR2020180004696U 2018-10-15 2018-10-15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KR200491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96U KR200491929Y1 (ko) 2018-10-15 2018-10-15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96U KR200491929Y1 (ko) 2018-10-15 2018-10-15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14U KR20200000814U (ko) 2020-04-23
KR200491929Y1 true KR200491929Y1 (ko) 2020-07-02

Family

ID=7045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96U KR200491929Y1 (ko) 2018-10-15 2018-10-15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2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724A1 (en) 2012-05-18 2013-11-21 Terence Kazlow Foot ailment support and cushion apparatus
EP2760411B1 (de) 2011-09-28 2017-12-06 teveno-medi GmbH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thrombos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073U (ja) * 1993-06-30 1995-08-18 哲晴 中山 足首用サポータ
JP3213219U (ja) * 2017-08-03 2017-10-26 山本 晃司 足首サポー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0411B1 (de) 2011-09-28 2017-12-06 teveno-medi GmbH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thrombosen
US20130310724A1 (en) 2012-05-18 2013-11-21 Terence Kazlow Foot ailment support and cushion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21321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14U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019A1 (en) Wrist closure system for an athletic glove
US20150052655A1 (en) Hand wrap and method
US4176839A (en) Wrist support
US3037209A (en) Football glove
US6237252B1 (en) Boot with easy-to-use upper closure
US3777751A (en) Ankle supports
US20230200467A1 (en) Protective device for human joint
KR200491929Y1 (ko) 착용이 용이한 관절 보호대
KR101751494B1 (ko) 벨트
EP3175894B1 (en) Joint movement supporting protector
US20150250633A1 (en) Roll-up knee brace liner
US20200229519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10264839B2 (en) Headwear
US9555312B2 (en) Hybrid batting and sliding glove
WO2020226112A1 (ja) スポーツ用手袋
KR101693456B1 (ko) 사이즈 조절 바지
US3527211A (en) Ankle support
US2288150A (en) Wristband grip for golf clubs
JPH0457902A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またはストッキング
JP4853789B2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3151008U (ja) 円筒状の締め付け具
US20160050989A1 (en) Sports protective gear and auxiliary device therefor
JP6830667B2 (ja) エルボガード
CN214594281U (zh) 一种加压护腕
JP3232906U (ja) 加圧リスト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