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87Y1 -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87Y1
KR200491887Y1 KR2020190001102U KR20190001102U KR200491887Y1 KR 200491887 Y1 KR200491887 Y1 KR 200491887Y1 KR 2020190001102 U KR2020190001102 U KR 2020190001102U KR 20190001102 U KR20190001102 U KR 20190001102U KR 200491887 Y1 KR200491887 Y1 KR 200491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xtension
flange plate
free e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호
Original Assignee
최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호 filed Critical 최명호
Priority to KR2020190001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65H75/285Holding devices to prevent the wound material from unwi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케이블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상기 권취드럼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플랜지판에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권취드럼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광섬유 또는 전력용 전기선과 같은 케이블은 권취드럼에 감겨 보관되고, 작업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은 필요한 길이만큼 권취드럼에서 풀려 작업에 사용되고, 작업에 사용되지 않고 남은 케이블은 계속 권취드럼에 감긴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이때,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은 권취드럼에서 풀리는 등 보관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상기 권취드럼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플랜지판에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랜지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판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탄성을 가지는 스트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링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봉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요철부 중 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귄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에 결합된 고정몸체가 연결몸체를 통해 권치드럼의 플랜지판에 지지됨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권취드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가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가 사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연장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지지부와 연장부 사이 지지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지지부와 연장부 사이 지지구조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가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가 사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케이블(10) 일부 및 권취드럼(50)의 플랜지판(52) 일부가 확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권취드럼(50)의 드럼본체(도 1의 51 참조), 밴드부(111)의 요철부(도 3의 111a 참조) 및 고정부(112)의 걸림돌기(도 3의 112b 참조)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고정몸체(110) 및 연결몸체(130)를 포함하고, 권취드럼(50)에 감긴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권취드럼(5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0)은 통신을 위한 광섬유 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용 전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0)은 도 1과 같이 권취드럼(50)에 감겨 보관되고, 통신설비의 설치 또는 전력설비의 설치 등 소정의 목적하는 작업을 위해 권취드럼(50)에서 풀리며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드럼(50)은 도 1과 같이 드럼본체(51) 및 한 쌍의 플랜지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본체(51)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럼본체(51)에는 케이블(10)이 감길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0)은 고정단부(미도시)가 드럼본체(51)의 외측면에 접착테이프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 지지되고, 자유단부가 드럼본체(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드럼본체(51)의 외측면에 감길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판(52)은 도 1과 같이 각각 드럼본체(51)의 양 측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판(52)은 각각 드럼본체(51)의 양 측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판(52) 각각의 단면적은 드럼본체(51)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플랜지판(52)은 드럼본체(51)에 감긴 케이블(10)이 드럼본체(51)의 양 측단부 중 어느 일 측단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판(52)은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각 플랜지판(52)은 원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플랜지판(52)에는 도 1과 같이 걸림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홈(52a)은 플랜지판(5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2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52a)은 도 1과 같이 플랜지판(52)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52a) 중 어느 하나에는 후술하는 연결몸체(130)가 걸릴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몸체(110)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몸체(110)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케이블(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몸체(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밴드부(111) 및 고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11)는 도 2와 같이 케이블(10)의 자유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밴드부(111)는 도 3과 같이 긴 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밴드부(111)는 플라스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부(111)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케이블(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지며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감쌀 수 있다.
밴드부(111)의 일측면에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요철부(111a)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요철부(111a)는 밴드부(111)가 감싸는 케이블(10)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밴드부(111)는 복수의 요철부(111a)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면이 케이블(10)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케이블(10)을 감쌀 수 있다.
복수의 요철부(111a)는 밴드부(111)의 연장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요철부(111a) 중 일부는 후술하는 고정부(112)의 걸림돌기(112b)에 걸릴 수 있다.
고정부(11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밴드부(111)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부(112)는 밴드부(111)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밴드부(111)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밴드부(11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케이블(10)을 감싸도록 휘어진 밴드부(111)의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12)에는 도 3과 같이 관통홀(112a) 및 걸림돌기(112b)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a)은 도 3과 같이 고정부(1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걸림돌기(112b)는 관통홀(112a)의 내측벽에 형성된다.
이 경우, 케이블(10)의 감싼 밴드부(111)는 도 2와 같이 타단부가 고정부(112)에서 돌출되도록 관통홀(112a)을 관통하여 고정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12b)는 밴드부(111) 요철부(111a) 중 관통홀(112a)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 중 일부에 걸릴 수 있다.
걸림돌기(112b)는 도 3과 같이 관통홀(112a)의 내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돌출되고, 밴드부(111)의 요철부(111a)는 걸림돌기(112b)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철부(111a)에 걸리는 걸림돌기(112b)는 밴드부(111)가 관통홀(112a)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밴드부(111)는 걸림돌기(112b)와 요철부(111a) 사이 걸림을 통해 고정부(11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을 감싼 밴드부(111)는 요철부(111a)와 걸림돌기(112b) 사이 걸림지지를 통해 고정부(1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몸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몸체(130)는 고정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되고, 권취드럼(50)의 플랜지판(52)에 연결된다. 이 경우, 고정몸체(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연결몸체(130)를 통해 한 쌍의 플랜지판(52)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은 연결몸체(130)가 한 쌍의 플랜지판(52) 중 도 1에서 볼 때 드럼본체(51)의 우측에 위치하는 플랜지판(52)에 지지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100)는 권취드럼(50)에 감긴 케이블(10)에 결합된 고정몸체(110)가 연결몸체(130)를 통해 권치드럼(50)에 지지됨으로써, 권취드럼(50)에 감긴 케이블(10)을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권취드럼(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연장부(131) 및 걸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1)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131)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된 고정몸체(110)와 한 쌍의 플랜지판(52) 중 어느 하나 사이 거리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장부(131)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평상시 수축상태에 있고,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고정몸체(110)와 플랜지판(52)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신장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13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스트랩(strap)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31)는 고무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연장부(131')는 도 4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31')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 4는 도 3의 연장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외에도, 연장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일단부가 고정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고정몸체(110)의 일측에는 연장부(131)가 지지되는 지지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7)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부(1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17)는 관통홀(112a)을 관통하는 밴드부(11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7)는 고정부(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17)는 도 3과 같이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31)의 일단부는 지지부(117)에 매듭 방식 등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장부가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타단부가 플랜지판(52)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걸림부(132)는 연장부(13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걸림부(132)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플랜지판(52)에 걸림지지된다. 이때, 고정몸체(110)는 걸림부(132)에 연결된 연장부(131)에 지지됨으로써 플랜지판(52)에 대해 고정되고, 케이블(10)의 자유단부는 고정몸체(110)를 통해 플랜지판(52)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부(13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32)는 플랜지판(52)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52a)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걸림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랜지판에 걸림지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의 자유단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부의 플랜지판에 대한 걸림지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플랜지판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5에서는 케이블(10)의 일부 및 권취드럼(50)의 플랜지판(52)의 일부가 확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200)는 고정몸체(210) 및 연결몸체(230)를 포함하고, 권취드럼(50)에 감긴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권취드럼(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몸체(23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연결몸체(도 1의 130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200)는 고정몸체(210)의 구체적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몸체(210)는 제1몸체부(213), 제2몸체부(214) 및 체결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213)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2몸체부(214)는 제1몸체부(213)와 마주보며 케이블(10)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몸체부(213) 및 제2몸체부(214)는 도 5와 같이 케이블(10)의 자유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부(213)의 일단부는 제2몸체부(214)의 일단부와 힌지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213) 및 제2몸체부(214)는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와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거나 멀어지도록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몸체부(213) 및 제2몸체부(214)는 도 5와 같이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와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동할 때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몸체부(213) 및 제2몸체부(214)는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와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가 서로 멀어지도록 회동할 때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체결부(215)는 케이블(10)에 결합된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와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몸체부(213) 및 제2몸체부(214)는 케이블(10)의 자유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215)는 도 5와 같이 체결볼트(215a) 및 체결너트(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볼트(215a)는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 및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몸체부(213)의 타단부에는 제1체결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고,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에는 제2체결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볼트(215a)는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너트(215b)는 체결볼트(215a)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너트(215b)는 제2몸체부(214)의 타단부에서 돌출된 체결볼트(215a)의 돌출 영역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체결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클램프 구조와 같이 제1몸체부의 타단부와 제2몸체부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연결몸체(230)는 제1몸체부(213)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217)는 도 5와 같이 제1몸체부(213)에 형성되고, 연결몸체(2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연결몸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몸체부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와 연장부 사이 지지구조가 연결몸체(도 3의 130 참조)가 고정몸체(도 3의 110 참조)에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17')는 도 6과 같이 봉 형상으로 제공되고, 연장부(131)는 스트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3의 지지부와 연장부 사이 지지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부(117')는 일단부가 고정부(112)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가 고정부(1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17')의 타단부에는 도 6과 같이 걸림고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1)의 일단부는 지지부(117')의 일단부에 테이핑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도 6과 같이 평상시 지지부(117')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31)의 타단부에 연결된 걸림부(132)는 걸림고리(118')에 걸려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31)는 평상시 고정몸체(110)와 함께 효과적으로 보관 및 관리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케이블(도 1의 10 참조)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지지부(117')에서 풀려 권취드럼(도 1의 50 참조)의 플랜지판(도 1의 52 참조)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32)는 걸림고리(118')에서 분리되고, 권취드럼(50)의 플랜지판(52)에 걸림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부(117")는 도 7과 같이 봉 형상으로 제공되고, 연장부(131')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3의 지지부와 연장부 사이 지지구조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부(117")는 일단부가 고정부(112)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가 고정부(1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17")의 타단부에는 도 7과 같이 걸림고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1')의 일단부는 지지부(117")의 일단부에 테이핑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도 7과 같이 평상시 연장부(131")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지지부(117")가 삽입되도록 수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17")의 단면적은 연장부(131')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연장부(131')의 타단부에 연결된 걸림부(132)는 걸림고리(118")에 걸려 보관될 수 있다.
연장부(131')는 케이블(도 1의 10 참조)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117")에서 분리되도록 신장되어 권취드럼(도 1의 50 참조)의 플랜지판(도 1의 52 참조)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32)는 걸림고리(118")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봉 형태의 지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단부가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는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타단부가 권취드럼의 플랜지판 중 걸림부가 걸림지지되는 영역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걸림부는 케이블의 사용길이에 따라 드럼본체에 대한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플랜지판에 걸림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50: 권취드럼
51: 드럼본체
52: 플랜지판
100, 200: 케이블 고정 장치
110, 210: 고정몸체
111: 밴드부
112: 고정부
213: 제1몸체부
214: 제2몸체부
215: 체결부
130, 230: 연결몸체
131, 131’: 연장부
132: 걸림부

Claims (9)

  1. 권취드럼에 감긴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상기 권취드럼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플랜지판에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플랜지판 사이 거리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랜지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판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킬 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플랜지판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신장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판에 걸림지지되고,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대한 고정을 해제시킬 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판에 대한 걸림지지가 해제되고, 상기 연장부는 수축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탄성을 가지는 스트랩 형태로 제공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링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봉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7. 제1, 3, 4, 5,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요철부 중 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8. 제1, 3, 4, 5,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0190001102U 2019-03-19 2019-03-19 케이블 고정 장치 KR200491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02U KR200491887Y1 (ko) 2019-03-19 2019-03-19 케이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02U KR200491887Y1 (ko) 2019-03-19 2019-03-19 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87Y1 true KR200491887Y1 (ko) 2020-06-25

Family

ID=7112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02U KR200491887Y1 (ko) 2019-03-19 2019-03-19 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8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2046B2 (ja) * 1996-06-03 1998-04-22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電線巻きドラムの電線端部の固定構造
KR0125814Y1 (ko) * 1995-12-18 1998-11-02 김태구 호스고정용 클립
KR101024684B1 (ko) * 2009-09-09 2011-03-25 임이화 휴대용 전선릴
KR20160112083A (ko) * 2015-03-17 2016-09-28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814Y1 (ko) * 1995-12-18 1998-11-02 김태구 호스고정용 클립
JP2742046B2 (ja) * 1996-06-03 1998-04-22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電線巻きドラムの電線端部の固定構造
KR101024684B1 (ko) * 2009-09-09 2011-03-25 임이화 휴대용 전선릴
KR20160112083A (ko) * 2015-03-17 2016-09-28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833B2 (en) Cable spool assembly
US7680386B2 (en) Retractable module for patch cords
US5894540A (en) Optical Fiber take-up assembly
US7162128B2 (en) Use of buffer tube coupling coil to prevent fiber retraction
US20060049294A1 (en) Packaging reel with optical cable winding device
US9500831B2 (en) Cable payout cassette with single layer cable storage area
KR200491887Y1 (ko) 케이블 고정 장치
US6047918A (en) Wire spool
CN105347123A (zh) 光纤维带牵引器
KR20150007505A (ko)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20200270094A1 (en) Spool with multi-position loop keeper
JP685658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7031115A (ja) 光ファイバ用ボビン
WO2001022143A1 (en) Fiber retaining system
JP2004519004A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内にスプライスを収納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511715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819444B2 (ja) ハーネス固定構造
KR102338392B1 (ko)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용 밴드케이블
JP2007257975A (ja) 複合ケーブル
JPS6123437B2 (ko)
WO2023182526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S5930248B2 (ja) 光ケ−ブルの接続部
CN111480102B (zh) 包括光纤和容纳光纤的整理器的电力电缆接头
WO2022254556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製造装置
JP2020075817A (ja) 長尺物の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