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95Y1 -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 Google Patents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95Y1
KR200491795Y1 KR2020190000237U KR20190000237U KR200491795Y1 KR 200491795 Y1 KR200491795 Y1 KR 200491795Y1 KR 2020190000237 U KR2020190000237 U KR 2020190000237U KR 20190000237 U KR20190000237 U KR 20190000237U KR 200491795 Y1 KR200491795 Y1 KR 200491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module
braking
braking resistor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코
Priority to KR202019000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24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the housing or enclosure being hermetically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28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the resistive element being embedded in insulation with outer enclosing she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8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H01C1/084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using self-cooling, e.g. fins, heat s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02P3/22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by short-circuit or resis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모터축(111)을 회전하는 모터부(110); 상기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121) 및, 상기 모터부(110)의 모터케이스(112)에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벽(123)이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모듈케이스(122)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측벽(123)을 일측면으로 하는 저항체삽입홈(124)이 형성된 인버터모듈(120); 및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10)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체(140);를 포함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INVERTER MODULE INTEGRATED MOTOR APPARATUS WITH BRAKING RESISTOR}
본 고안은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하는 회생저항이나 제동저항 등의 제동용 저항이 인버터모듈의 케이스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품의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1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대용량 모터(20)의 경우 속도제어를 위해 인버터모듈(30)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인버터모듈(30)은 모터(20)와 독립된 장치형태로 이루어져 모터(20) 부근에 설치되기도 하나 최근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모터케이스(21)의 일측에 인버터회로(31)가 내장된 인버터모듈(30)이 일체로 장착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10)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호이스트나 드릴링 머신과 같이 대용량의 모터를 단시간 내에 감속 및 제동해야 하는 장치의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제동저항이나 회생저항 등의 제동용 저항기(40)를 제어모듈(30)에 설치하여 모터 회전부의 관성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소거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에 의한 인버터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에는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와 제동용저항기가 각각 제조되기 때문에 모터장치에 제동용저항기(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적정용량의 제동용저항기(40)를 구매하여 모터장치의 외부면에 장착하는 형태로 설치되었으며, 모듈케이스(31)의 내부에 장착된 인버터회로(31)와는 케이블(40)을 연장배치하여 인버터회로(31)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제동용저항기(40) 측으로 인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터장치와 제동용저항기(40)를 각각 구매하여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케이블(40)이 외부로 노출되어 모터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외부 가압으로 단선될 수 있고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763호(2012.05.30), 단상변환 일체형 모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290호(2011.06.20), 제동저항기.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소거하는 제동용 저항이 별도의 케이스에 실장되지 않고 인버터모듈의 케이스를 방열바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모듈의 케이스 내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제동용 저항기를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인버터회로와 제동용 저항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결선이 불필요하여 제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모터축(111)을 회전하는 모터부(110); 상기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121) 및, 상기 모터부(110)의 모터케이스(112)에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측벽(123)이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측벽(123)의 내측을 일측면으로 하는 저항체삽입홈(124)이 형성된 모듈케이스(122)를 포함하는 인버터모듈(120) 및;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10)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체(140);를 포함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공간부와 측벽(123)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공간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삽입 배치되는 저항체삽입홈(124)과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회로장착홈(125)으로 구획하는 격벽(1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격벽(126)은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측벽(123) 상에서 저항체삽입홈(124)에 삽입된 제동용저항체(140)와 대응되는 외부면 위치에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다수 개의 모듈방열핀(1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는,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배치되며 모터부(110)의 제동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열선(141)과, 일단은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열선(141)에 연결되어 인버터회로(121)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열선(141)으로 전달하는 케이블(142)과, 상기 발열선(141)과 저항체삽입홈(124) 사이에 채워져 발열선(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모듈케이스(122)로 전달하는 절연물(143)과,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재(144) 및, 상기 밀봉재(144)와 절연물(143) 사이에 배치되며 액화된 절연물(143)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회로장착홈(125)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흡수체(1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케이스(122) 또는 모터케이스(112)의 외부에 장착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적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기(160)의 저항기커넥터(16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듈커넥터(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는 모터부(110)의 감속 또는 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와 제동용저항기(160)로 분배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인버터모듈(120)은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121) 및, 모터부(110)의 모터케이스(112)에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벽(123)이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모듈케이스(122)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측벽(123)을 일측면으로 하는 저항체삽입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되는 제동용저항체(140)는 상기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10)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것과 같이,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에 실장되지 않고 인버터모듈(120)의 모듈케이스(122)를 방열바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모듈(120)의 모듈케이스(122) 내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제동용 저항기를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버터회로(121)와 제동용저항체(14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결선이 불필요하여 제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공간부와 측벽(123)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공간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삽입 배치되는 저항체삽입홈(124)과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회로장착홈(125)으로 구획하는 격벽(1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격벽(126)은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상기 모듈케이스(122)를 제조하면서 제동용저항체(140)의 방열몸체가 되는 격벽(126)을 함께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견고한 내구성과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측벽(123) 상에서 저항체삽입홈(124)에 삽입된 제동용저항체(140)와 대응되는 외부면 위치에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다수 개의 모듈방열핀(128)이 형성되어 제동용저항체(14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는,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배치되며 모터부(110)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열선(141)과, 일단은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열선(141)에 연결되어 인버터회로(121)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열선(141)으로 전달하는 케이블(142)과, 상기 발열선(141) 저항체삽입홈(124) 사이에 채워져 발열선(141)의 열을 모듈케이스(122)로 전달하는 절연물(143) 및,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재(144)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재(144)와 절연물(143) 사이에는 액화된 절연물(143)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체(147)가 배치되어, 수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장착홈(125) 내부에 장착된 인버터회로(121)가 누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케이스(122) 또는 모터케이스(112)의 외부에 장착되는 모듈커넥터(150)는 전기에너지를 열적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기(160)의 저항기커넥터(16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는 모터부(110)의 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와 제동용저항기(160)로 분배되도록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의 용량으로 충당하지 못하는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제동용저항기(16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항기커넥터(161)와 모듈커넥터(150)를 치합시키는 것만으로 제동용저항기(160)와 인버터회로(121)를 회로결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케이블이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에 제동용저항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용저항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용저항체를 인버터모듈에 일체로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용저항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100)는 모터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소거하는 제동용 저항이 별도의 케이스에 실장되지 않고 인버터모듈의 케이스를 방열바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모듈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인버터회로와 제동용 저항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결선이 불필요하여 제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110), 인버터모듈(120) 및 제동용저항체(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모터부(110)는 모장치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인버터모듈(12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모터축(111)을 회전한다.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121) 및, 상기 모터부(110)의 모터케이스(112)에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벽(123)이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모듈케이스(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모터케이스(112)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조된 뒤 치합되도록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측벽(123)을 측면으로 하는 저항체삽입홈(124)이 형성된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케이스(122)는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측벽(123)이 형성되면서 상향 개구된 공간부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131)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31)에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인버터회로(121)에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2)와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3)가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모듈케이스(122)가 상향 개구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측벽(123)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덮개(131)는 개구된 전방에 장착된다.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간부와 측벽(123) 사이에는 격벽(126)이 직립배치되어 공간부를 제동용저항체(140)가 삽입되는 저항체삽입홈(124)과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회로장착홈(125)으로 구획하며,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격벽(126)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의 일측면은 측벽(123)의 내측면이 되고 타측면은 격벽(126)의 측면이 되어 발열되는 열을 모듈케이스(12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측벽(123) 상에서 저항체삽입홈(124)에 삽입된 제동용저항체(140)와 대응되는 외부면 위치에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다수 개의 모듈방열핀(12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는 모터부(110)가 단시간 내에 감속하거나 정지할 때 회전부의 관성으로 발생되는 전기적에너지를 소거시켜 인버터회로(121)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어 모터부(110)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킨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는,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배치되며 모터부(110)의 제동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열선(141)과, 일단은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열선(141)에 연결되어 인버터회로(121)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열선(141)으로 전달하는 케이블(142)과, 상기 발열선(141) 저항체삽입홈(124) 사이에 채워져 발열선(141)의 열을 모듈케이스(122)로 전달하는 절연물(143) 및,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재(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연물(143)은 발열선(141)의 열팽창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발열선(141)의 열을 저항체삽입홈(124)의 내벽 즉, 모듈케이스(122)의 일측면과 격벽(126)의 측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분말형 산화규소(또는 차돌가루)를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밀봉재(144)는 발열선(141)과 인버터회로(121) 간의 결선수단으로 케이블(142)이 이용되는 경우 에폭시와 같은 절연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42)을 대신하여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 애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수지가 이용되는 경우 분말상태의 절연물(143)과 밀봉재(144)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판(146)을 배치하여 밀봉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서 발열선(141) 및 절연물(143)의 하부에 위치에는 수평배치되는 지지판(145)이 배치되어 발열선(14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상기 절연물(143)의 교체시 저항체삽입홈(124)에 채워진 분말 상태의 절연물(143)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절연물(143)이 열전달 기능을 수행하면서 재질의 특성상 액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상기 밀봉재(144)와 절연물(143) 사이에는 액화된 절연물(143)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체(147)가 배치되어, 수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장착홈(125) 내부에 장착된 인버터회로(121)가 누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147)로는 수분을 빨아 들여 함유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의 스펀지, 솜, 탈지면, 제습제 및 종이류 등과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듈케이스(122) 상에서 상기 흡수체(147)의 상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제동용저항체(140)의 발열구동으로 가열된 흡수체(147)에 함유된 수분이 건조되면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공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흡수체(147)에 함유되는 수분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흡수체(147)의 수분함유량을 초과하는 정도의 수분이 발생한 경우 통공을 통해 외부로 수분을 오버플로우 방식으로 강제배출할 수 있어 회로장착홈(125)측으로 수분이 누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를 저항체삽입홈(124)에 삽입 배치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체삽입홈(124)의 바닥면에 지지판(145)을 수평배치한 후 케이블(142)이 연결된 복수 개의 발열선(141)을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수직배치한다. 이때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이 전방 또는 측방으로 개구된 경우 상기 발열선(141)은 홈 내에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7의 (b)와 같이 발열선(141)이 설치된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절연물(143) 즉, 산화규소 분말을 주입하여 설정된 높이까지 채워 넣은 후, 도 7의 (c)와 같이 흡수체(147), 이격판(146)을 절연물(143)의 상부 위치에 각각 배치시킨 후 밀봉재(144)로 저항체삽입홈(124)이 밀폐되도록 밀봉하며, 발열선(141)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42)은 격벽(126)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공(127)을 통해 홈 밖으로 인출하여 회로장착홈(125) 내부에 장착된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도록 결선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케이스(122) 또는 모터케이스(112)의 외부에 장착되는 모듈커넥터(150)는 전기에너지를 열적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기(160)의 저항기커넥터(16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는 모터부(110)의 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와 제동용저항기(160)로 분배되도록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의 용량으로 충당하지 못하는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제동용저항기(16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항기커넥터(161)와 모듈커넥터(150)를 치합시키는 것만으로 제동용저항기(160)와 인버터회로(121)를 회로결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케이블이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용저항기(160)의 일측에는 상기 저항기커넥터(161)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블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에 실장되지 않고 인버터모듈(120)의 모듈케이스(122)를 방열바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모듈(120)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제동용 저항기를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버터회로(121)와 제동용저항체(14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결선이 불필요하여 제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공간부와 측벽(123)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공간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삽입 배치되는 저항체삽입홈(124)과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회로장착홈(125)으로 구획하는 격벽(1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격벽(126)은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상기 모듈케이스(122)를 제조하면서 제동용저항체(140)의 방열몸체가 되는 격벽(126)을 함께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견고한 내구성과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110...모터부
111...모터축 120...인버터모듈
121...인버터회로 122...모듈케이스
123...측벽 124...저항체삽입홈
125...회로장착홈 126...격벽
128...모듈방열핀 140...제동용저항체
141...발열선 142...케이블
143...절연물 144...밀봉재
147...흡수체 150...모듈커넥터
160...제동용저항기 161...저항기커넥터

Claims (4)

  1.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모터축(111)을 회전하는 모터부(110); 상기 모터부(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121) 및, 상기 모터부(110)의 모터케이스(112)에 장착되고 둘레를 따라 측벽(123)이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측벽(123)의 내측을 측면으로 하는 저항체삽입홈(124)이 형성된 모듈케이스(122)를 포함하는 인버터모듈(120);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인버터회로(121)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10)의 감속이나 제동시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체(140); 및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모듈케이스(122) 또는 모터케이스(112)의 외부에 장착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적에너지로 변환하여 소거시키는 제동용저항기(160)의 저항기커넥터(16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듈커넥터(150);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공간부와 측벽(123)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공간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가 삽입 배치되는 저항체삽입홈(124)과 상기 인버터회로(121)가 장착되는 회로장착홈(125)으로 구획하는 격벽(1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용저항체(140)는, 상기 저항체삽입홈(124) 내에 배치되며 모터부(110)의 제동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열선(141)과, 일단은 상기 인버터회로(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열선(141)에 연결되어 인버터회로(121)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열선(141)으로 전달하는 케이블(142)과, 상기 발열선(141)과 저항체삽입홈(124) 사이에 채워져 발열선(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모듈케이스(122)로 전달하는 절연물(143)과, 상기 저항체삽입홈(124)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재(144) 및, 상기 밀봉재(144)와 절연물(143) 사이에 배치되며 액화된 절연물(143)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회로장착홈(125)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흡수체(147)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회로(121)는 모터부(110)의 감속 또는 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제동용저항체(140)와 제동용저항기(160)로 배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스(122)와 격벽(126)은 다이캐스팅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모듈(120)은,
    상기 측벽(123) 상에서 저항체삽입홈(124)에 삽입된 제동용저항체(140)와 대응되는 외부면 위치에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다수 개의 모듈방열핀(1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4. 삭제
KR2020190000237U 2019-01-16 2019-01-16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KR200491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37U KR200491795Y1 (ko) 2019-01-16 2019-01-16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37U KR200491795Y1 (ko) 2019-01-16 2019-01-16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95Y1 true KR200491795Y1 (ko) 2020-06-04

Family

ID=7107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37U KR200491795Y1 (ko) 2019-01-16 2019-01-16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9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559A (ja) * 1992-12-28 1994-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回転電機
KR20010036905A (ko) * 1999-10-12 2001-05-07 구자홍 세탁기의 제동저항 어셈블리
JP2003164112A (ja) * 2001-11-20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付きモータ
KR20100014421A (ko) * 2007-03-19 2010-02-10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권상기
KR200454290Y1 (ko) 2009-10-07 2011-06-27 임규열 제동저항기
KR20120003763U (ko) 2012-01-03 2012-05-30 전상수 단상변환 일체형 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559A (ja) * 1992-12-28 1994-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回転電機
KR20010036905A (ko) * 1999-10-12 2001-05-07 구자홍 세탁기의 제동저항 어셈블리
JP2003164112A (ja) * 2001-11-20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付きモータ
KR20100014421A (ko) * 2007-03-19 2010-02-10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권상기
KR200454290Y1 (ko) 2009-10-07 2011-06-27 임규열 제동저항기
KR20120003763U (ko) 2012-01-03 2012-05-30 전상수 단상변환 일체형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1966B1 (en) Motor equipped with stator cooling means
CA2279412C (en) Electric motor with an upstream frequency converter
CN104934651B (zh) 具有柔性囊的牵引电池热板
US10933725B2 (en) Electrical axle drive for a vehicle
JP5618895B2 (ja) 電池電源装置
CN109804484B (zh) 电池组、电子设备、电动车辆、电动工具及电力存储系统
JP3787283B2 (ja) 電池掃除機及び電池パック
JPS63161842A (ja) 周波数変換器
KR200491795Y1 (ko) 제동용저항이 구비된 인버터모듈 일체형 모터장치
CN104780736B (zh) 电机控制器
CN207994014U (zh) 安全锂动力电池
CN106602437A (zh) 一种独立分区散热式配电装置
CN209344964U (zh) 一种新能源车用水冷电机系统
CN210405834U (zh) 电机控制器及车辆
CN211182299U (zh) 电池包下箱体及电池包
CN211075511U (zh) 集成动力装置和混合动力系统
CN209016160U (zh) 一种绝缘电池箱及电池系统
CN209329892U (zh) 一种新能源车用油冷电机系统
CN218316280U (zh) 电动车充电器及电动车
CN206422119U (zh) 电池盒和电池组件
CN215269272U (zh) 一种快速散热的车载逆变器
CN107444561A (zh) 一种防爆电动自行车
CN217534065U (zh) 用于封口装置的陶瓷座、垃圾袋封口装置和智能垃圾桶
CN211127466U (zh) 一种降温效果好的电机
CN217239278U (zh) 一种易散热的电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