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81Y1 -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81Y1
KR200491781Y1 KR2020190003802U KR20190003802U KR200491781Y1 KR 200491781 Y1 KR200491781 Y1 KR 200491781Y1 KR 2020190003802 U KR2020190003802 U KR 2020190003802U KR 20190003802 U KR20190003802 U KR 20190003802U KR 200491781 Y1 KR200491781 Y1 KR 200491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inner diameter
pair
reinforcing bar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언수
Original Assignee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리브의 내경으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이음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충진부와 상기 각각의 충진부와 연결되어 주입되는 모르타르를 상기 충진부로 유도하는 관통부와 상기 충진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으로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이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깔대기 형상의 철근 지지용 홀더가 서로 대향되도록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내경과;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일체화로 주조되며,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철근이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내경 일측에 형성된 철근 지지용 턱에 놓인 철근을 체결볼트로 압박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용 너트와 외부에서 주입된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장착시키는 탄성부재 홀더 및 슬리브의 성형 주조에 따른 주철의 사용량을 줄이고 철근이음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 및 모르타르와의 접착강도를 높이는 오목부가 각각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외경과; 상기 슬리브 내경의 철근 지지용 홀더까지 인서트 되는 한 쌍의 철근이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입된 모르타르를 유동시키기 위한 중공부를 갖는 격막부와;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철근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철근 또는 내진 및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철근 모두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일반 모르타르 충진만으로도 충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제품에 비해 보다 높은 내력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Sleeve for joining steel bars with screwfix unit}
본 고안은 철근 결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의 내ㆍ외경에 형성된 철근지지와 철근고정 및 모르타르주입 수단을 통해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이음철근을 단단하게 압박 고정시킴은 물론 이형철근 및 나선형철근 모두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응력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횡 방향으로 돌출된 마디와 종 방향의 리브(Rib)가 형성된 이형철근(Bamboo Type)이 주로 사용되며, 기존의 이형철근과 달리 종방향의 리브가 없고, 마디가 나사와 같이 나선방향으로 만들어진 내진설계에 최적화된 나사형철근(Thread Bar)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철근은 생산 공장에서 한정된 길이로 생산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 따라 철근의 길이를 절단한 후, 두 철근의 단부를 겹쳐 결속선으로 묶는 겹침 이음 방식과 두 철근의 단부를 산소 아세틸렌가스 불꽃으로 가열하여 압접기로 가압해 연결하는 가스압접 방식 및 두 철근의 양단을 업셋팅하거나 단조가공으로 리브와 마디를 원형으로 가공하여 절삭 및 전조 방식으로 수나사를 가공하여 암나사형 커플러로 연결하는 나사이음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겹침 이음 방식은 이음부가 철근의 부착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취약하고, 상기 가스압접 방식은 이음부에 열변형이 일어나 2차 응력이 발생하여 이음부가 철근 모재보다 취약하며, 상기 나사이음 방식은 철근에 외력이 가해져 이음부가 철근 모재와 다른 변형이 일어나 모재 보다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683146호(2016.11.30)에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가 제안된 바 있다(도 1의 (A)항 참조).
그러나 이 특허기술[1]은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이형철근을 연결하기는 용이하지만, 이 특허기술의 청구항 1과 도면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술적 구성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커플러 제작에 따른 여러 공정 및 부품수요로 인한 제작 단가가 크게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505961호(2015.03.26)의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 특허기술[2]은 나선형철근에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형철근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도 1의 (B)항 참조).
또한, [3]일본 등록특허공보(B2) 특허 제03237050호(2001.10.05)의 요약(Abstract)에 개시된 철근 버터(Butt Joining)에 의하면, 철근 인서트 홀(3)을 갖는 금속 파이프로 제작된 슬리브(2)의 외부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2개의 주입구(25)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는 나사(7)와 슬리브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6)에 의해 이형철근(20)을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의 (C)항 참조).
그러나 위 특허기술[3]은 앞서 기술한 선행기술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는 반면에 모르타르 주입구에 나사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산을 별도로 가공해야 하는 슬리브 제작 공정과, 슬리브 양단에 형성된 인서트 홀 내부로 마다를 갖는 이형철근을 인서트 하는데 어려움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출원 제10-2019-0067117호(미공개 상태)의 철근 결합용 슬리브는, 외부에서 주입되는 모르타르나 그라우트가 슬리브에 인서트 된 철근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나,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철근을 고정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중에 인서트 된 철근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에 의해 모르타르의 주입에 따른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모두 해소함과 동시에 이형철근과 나선형철근 모두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개선된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브의 내ㆍ외경에 형성된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철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모르타르주입 수단을 통해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이음철근을 단단하게 압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철근 또는 내진 및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철근 모두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값비싼 모르타르나 그라우트를 별도로 충진하지 않고서도 일반 모르타르 충진만으로도 충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제품에 비해 보다 높은 내력이 보장되도록 한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한 쌍의 철근을 직선상에 결합하기 위한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경으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이음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상기 각각의 충진부와 연결되어 주입되는 모르타르를 상기 충진부로 유도하는 관통부(120a 내지 120h)와 상기 충진부(110e,110f)와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으로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이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깔대기 형상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가 서로 대향되도록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내경(100)과;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일체화로 주조되며, 상기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된 철근이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내경의 상부에는 한 쌍의 체결볼트(420a,420b)로 철근을 압박하도록 하는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와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와 대향되는 상기 슬리브 내경의 하부에는 상기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된 철근의 외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외부에서 주입된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부재(231a,231b)를 장착시키는 한 쌍의 탄성부재 홀더(230a,230b) 및 슬리브의 성형 주조에 따른 주철의 사용량을 줄이고 철근이음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 및 모르타르와의 접착강도를 높이는 오목부(240)가 각각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외경(200)과; 상기 슬리브 내경의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까지 인서트 되는 한 쌍의 철근이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입된 모르타르를 유동시키기 위한 중공부를 갖는 격막부(300)와;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슬리브 내경(100)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철근고정부(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철근고정부(400)는, 상기 슬리브 내경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와 함께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상기 슬리브 외경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함께 상기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볼트(420a.420b)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나사체결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슬리브의 내ㆍ외경에 형성된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철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모르타르주입 수단을 통해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이음철근을 단단하게 압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써,
(1)본 고안은 슬리브 내ㆍ외경에 형성된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철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모르타르주입 수단을 통해 모르타르의 주입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르타르의 고착 후에는 고정수단에 의한 철근의 단단한 고정은 물론, 값비싼 모르타르나 그라우트를 별도로 충진하지 않고서도 일반 모르타르 충진만으로도 충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제품에 비해 보다 높은 내력이 보장된다.
(2)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해 슬리브의 구성 부재가 간단하여 철근이음에 따른 추가 부재의 사용이 없는 시공 및 주물 성형 제작에 따른 생산원가가 저렴하다.
(3)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형철근(Bamboo Type)이나 내진 및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철근(Thread Bar)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철근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대한 슬리브 내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대한 슬리브 외경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대한 한 쌍의 이형철근을 직선상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대한 한 쌍의 나선형철근을 직선상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의 기술적 구성은 크게 슬리브 내경(100)과 슬리브 외경(200), 격막부(300) 및 철근고정부(4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슬리브 내경(100)은, 한 쌍의 철근(10a,10b 또는 20a,20b)을 상기 슬리브 내경(100)에 인서트 하여 직선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슬리브 내경은(100)으로 모르타르(Mortar)를 외부에서 주입하여 이음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상기 각각의 충진부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모르타르를 상기 충진부로 유도하는 관통부(120a 내지 120h)와 상기 충진부(110e,110f)와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 내경으로 인서트 된 한 쌍의 이음철근을 슬리브 내경의 직선상에 나란하게 놓이도록 유도하는 깔대기 형상의 철근지지 홀(130a,130b)이 서로 대향되도록 성형 주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철근(10a,10b 또는 20a,20b)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형철근(Bamboo Type, 10a,10b)이나 내진 및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철근(Thread Bar, 20a,20b)이며, 상기 철근은 철근이음용 슬리브에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성형 주조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관통부(120a 내지 120h)는, 외부 주입기에서 주입되는 모르타르가 압력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충진부(110a 내지 110j)로 충진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관통부(120a 내지 120h) 간에는 체적과 높낮이가 서로 다른 웨이브 타입(Wave Type)으로 성형 주조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 내경(100)에는 체적과 높낮이가 서로 다른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관통부(120a 내지 120h)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충진부(110a 내지 110j)로 주입된 모르타르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와 작은 체적을 갖는 관통부로 압력작용에 의해 빠르게 이동되기 때문에 모르타르 주입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이형철근이나 나선형철근의 마다 및 리브와 모르타르가 서로 고착화됨으로써 보다 단단하게 고정됨은 물론, 충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제품에 비해 보다 높은 내력이 보장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형철근이나 내진 및 특수 목적용의 나선형철근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철근에 적용이 가능한 독특한 특징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슬리브 외경(200)은, 상기 슬리브 내경(100)과 일체화 주조되는 수단으로,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된 철근이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리브 내경에 형성된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에 놓인 철근을 한 쌍의 체결볼트(420a,420b)로 압박하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가 형성되고, 또 외부에서 주입된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부재(231a,231b)를 장착시키는 한 쌍의 탄성부재 홀더(Holder, 230a,230b) 및 슬리브의 성형 주조에 따른 주철의 사용량을 줄이고 철근이음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 및 모르타르와의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한 오목부(240)가 각각 성형 주조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240)는, 슬리브 성형 주조에 따른 주철의 사용량을 줄임은 물론, 철근이음 작업을 실시할 경우 슬리브 외경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모르타르와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을 거칠게 주조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231a,231b)는, 철근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오링 타입(O-Ring Type)으로 성형 제작되며, 사용되는 재료는 연질의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리브 외경(200)의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220)는, 상기 철근고정부(400)의 한 쌍의 육각볼트(420a,420b)를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슬리브 내경(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함께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철근이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단단하게 고정시킴은 물론, 철근의 간섭 없이 모르타르의 고른 주입분포 및 고착화를 유도하여 이음철근에 대한 별도의 압축강도시험이 필요 없으므로 검사공정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 외경(200)의 오목부(240)의 표면을 거칠게 주조함으로서, 콘크리트와 접착강도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격막부(300)는, 상기 슬리브 내경(100)의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까지 인서트 되는 한 쌍의 철근이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격막부(300)는 주입되는 모르타르가 슬리브 내경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인서트 된 철근의 직경보다 작은 중공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격막부(30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까지 인서트 되는 한 쌍의 철근이 어느 한쪽으로 더 밀린 상태에서 모르타르가 주입되어 고착화 될 경우, 어느 한쪽으로 밀린 철근은 모르타르와 접착강도가 부족하여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음은 물론, 모르타르 고착화 이후 충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효과를 갖지 못하여 보다 높은 내력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철근고정부(400)는, 상기 슬리브 내경(100)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슬리브 내경(100)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슬리브 내경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와 함께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함은 물론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상기 슬리브 외경(200)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100)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함께 상기 슬리브 내경(100)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육각볼트(420a.420b)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철근고정부(4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슬리브 내경(100)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이 상기 슬리브 내경(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슬리브 외경(200)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에 체결되는 한 쌍의 육각볼트(420a.420b)에 의해 슬리브 내경(1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철근을 압박 고정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이 시공 중에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으로부터 모르타르의 주입에 따른 간섭을 없애고, 주입된 모르타르가 슬리브 내경에 고르게 분포시켜 주어 고착화 후에는 철근을 보다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본 고안과 같은 철근고정부(400)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철근 슬리브 내경에 주입되는 값비싼 모르타르나 그라우트를 별도로 충진함으로써, 철근 결합용 슬리브 사용에 따른 건설시공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으나, 본 고안은 철근고정부(400)를 통해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이음철근을 1차적으로 단단하게 압박 고정시킴으로써, 값비싼 모르타르나 그라우트 대신에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반 모르타르만으로도 2차적으로 고정이 가능하여 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결합용 슬리브의 재질은, 구상흑연 주철인 FCD(Ferum Casting Ductile)와 ADI(Austempered Ductile Iron)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형철근을 내진 목적으로 이음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FCD가 사용되고, 진동이나 내진 및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1100MPa 이상의 고강도가 요구되는 나선형철근을 이음철근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FCD를 열처리하여 강도와 인성을 높인 상기 ADI가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10b : 이형철근 20a,20b : 나선형철근
100 : 슬리브 내경 110a 내지 110j : 충진부
120a 내지 120h : 관통부
130a,130b :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
200 : 슬리브 외경
210a,210b :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
230a,230b : 한 쌍의 탄성부재 홀더
231a,231b : 한 쌍의 탄성부재
240 : 오목부 300 : 격막부
400 : 철근고정부
410a,410b :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
420a,420b : 한 쌍의 체결볼트

Claims (3)

  1. 한 쌍의 철근을 직선상에 결합하기 위한 철근 결합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경으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이음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충진부(110a 내지 110j)와 상기 각각의 충진부와 연결되어 주입되는 모르타르를 상기 충진부로 유도하는 관통부(120a 내지 120h)와 상기 충진부(110e,110f)와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으로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이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깔대기 형상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가 서로 대향되도록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내경(100)과;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일체화로 주조되며, 상기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된 이음철근이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내경의 상부에는 한 쌍의 체결볼트(420a,420b)로 이음철근을 압박하도록 하는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와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와 대향되는 상기 슬리브 내경의 하부에는 상기 슬리브 내경에 각각 인서트 된 이음철근의 외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외부에서 주입된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부재(231a,231b)를 장착시키는 한 쌍의 탄성부재 홀더(Holder, 230a,230b) 및 슬리브의 성형 주조에 따른 주철의 사용량을 줄이고 철근이음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 및 모르타르와의 접착강도를 높이는 오목부(240)가 각각 성형 주조되는 슬리브 외경(200)과;
    상기 슬리브 내경의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까지 인서트 되는 한 쌍의 철근이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입된 모르타르를 유동시키기 위한 중공부를 갖는 격막부(300)와;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슬리브 내경(100)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철근고정부(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고정부(400)는, 상기 슬리브 내경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홀더(130a,130b)와 함께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직선상에 놓이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상기 슬리브 외경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체결용 너트(210a,210b)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내경에 인서트 된 한 쌍의 철근을 상기 한 쌍의 철근 지지용 턱(410a,410b)과 함께 상기 슬리브 내경의 중심에 위치시켜 압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볼트(420a.420b)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2020190003802U 2019-09-17 2019-09-17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200491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2U KR200491781Y1 (ko) 2019-09-17 2019-09-17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2U KR200491781Y1 (ko) 2019-09-17 2019-09-17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81Y1 true KR200491781Y1 (ko) 2020-06-03

Family

ID=7107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02U KR200491781Y1 (ko) 2019-09-17 2019-09-17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010U (ko) * 1997-04-10 1998-11-16 권대영 철근이음용슬리브
JP2002030763A (ja) * 2000-07-19 2002-01-31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継手構造
KR20180127828A (ko) * 2017-05-22 2018-11-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이음 구조체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190073314A (ko) * 2019-06-07 2019-06-26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철근 결합용 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010U (ko) * 1997-04-10 1998-11-16 권대영 철근이음용슬리브
JP2002030763A (ja) * 2000-07-19 2002-01-31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継手構造
KR20180127828A (ko) * 2017-05-22 2018-11-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이음 구조체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190073314A (ko) * 2019-06-07 2019-06-26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철근 결합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825B1 (ko)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US4469465A (en) Rebar coupler
US20070175167A1 (en) Reinforcing bar splice with threaded collars
US10590645B2 (en)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US20060228170A1 (en) Joint equipment for steel reinforcing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0491781Y1 (ko)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102058544B1 (ko)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102076287B1 (ko) 철근연결용 기능성 커플링
JP2003239458A (ja) ねじ節鉄筋用ねじ継手及びねじ節鉄筋用カプラーの製造方法
KR100725527B1 (ko) 철근연결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110017551A (ko) 철근 연결용 압착식 커플러
KR102102358B1 (ko) 보강근의 기계식 정착구
CN112127358A (zh) 一种预制混凝土桩的加工方法及预制混凝土桩
KR20140028837A (ko) 콘크리트의 균열방지 보강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방법
KR20140046308A (ko) 나사철근 이음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나사철근의 이음구조
KR200387926Y1 (ko)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KR101468037B1 (ko) 충전재주입식 철근연결구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766813B1 (ko)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CA2974338A1 (en)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KR101132681B1 (ko) 철근 연결구
KR200364478Y1 (ko)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101857541B1 (ko)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