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478Y1 -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478Y1
KR200364478Y1 KR20-2004-0020594U KR20040020594U KR200364478Y1 KR 200364478 Y1 KR200364478 Y1 KR 200364478Y1 KR 20040020594 U KR20040020594 U KR 20040020594U KR 200364478 Y1 KR200364478 Y1 KR 200364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cket
spaced apart
section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화
Original Assignee
홍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화 filed Critical 홍종화
Priority to KR20-2004-0020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는, 단면이 반원형으로서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라인(321)이 이격 형성된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ㄱ형 결속다리(34)로 구성된 고정브라켓(30); 상기 고정브라켓(30)의 본체(32)와 조합하여 원형단면을 구성토록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며 고정브라켓(30)의 ㄱ형 결속다리(34)와 본체(32)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림블록(44)으로 구성된 체결브라켓(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30)의 ㄱ형 결속다리(34)는 본체(32)와 간격이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짐으로써 체결브라켓(40)의 걸림블록(44) 두께보다 근소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에 의하면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고정브라켓에 대해 체결브라켓을 해머 등으로 쳐서 결속다리와 걸림블록을 끼움결합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철근연결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식 철근연결구{steel reinforcing bar connecto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들을 서로 연결하는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자재를 물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소재로서, 압축강도는 크지만 인장강도는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거푸집을 만들어 철근을 내장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하고 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근의 내인장성과 콘크리트의 내압축성이 혼합된 물리적인 특성상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철근은 대개 규격화된 길이로 생산되므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철근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철근의 연결을 위해서는 겹이음방식, 용접이음방식, 연결구이음방식 등이 사용된다.
상기 겹이음방식은 서로 연결될 철근의 단부를 소정 길이로 겹친 다음, 겹쳐진 부분에 철사를 감아서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연결작업이 복잡하지 않다는 특징은 있으나, 철사를 감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의 굽힘강도가 취약하여 큰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용접이음방식은 연결될 철근의 단부를 겹치거나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용접을 이용한 연결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용접부 주변의 철근 허용응력이 감소하고, 특히 고강도 철근은 연결부 주변의 허용응력이 급격히 약화되어 치명적으로 철근의 강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식은 서로 연결될 철근의 양선단을 결곡하는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그 중의 하나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나사고정식 철근연결구가 안출되었다.
상기 나사고정식 철근연결구는 철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소정길이의 연결파이프(20)와, 상기 연결파이프(2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0a)으로 삽입 장착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22)와, 연결파이프(20) 중간에 삽입되는 스토퍼핀(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파이프(20)의 삽입공(20a)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볼트(22)는 그 선단에 다수개의 스파이크(22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나사고정식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될 양 철근(10)(10')의 선단이 연결파이프(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의 삽입공(20a)을 통해 고정볼트(22)를 끼워넣어 조임으로써 그 선단의 스파이크(221)가 철근(10)(10')의 측면에 박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양 철근(10)(1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고정볼트(22)의 스파이크(221)에 의해 양 철근(10)(10')이 파지됨으로써 연결파이프(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나사고정식 연결구는 그 구성을 위해 연결파이프(20)를 비롯하여 다수개 고정볼트(22) 등의 여러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관리가 어렵고, 철근(10)(10')을 연결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고정볼트(22)를 장착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필요로 하며, 특히 고정볼트(22)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스파이크(221)가 철근(10)(10')의 측면에 박히도록 강한 힘으로 조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철근 연결에 필요한 작업과정이 극히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나사고정식 철근연결구를 이용한 철근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의 구조 및 철근과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에 의한 철근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에 의한 철근 연결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에 의한 철근 연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근 101: 환형마디부
30: 고정브라켓 32: 본체
321: 걸림돌기라인 34: ㄱ형 결속다리
341: 연결부 342: 지지부
343: 걸림쐐기부 40: 체결브라켓
42: 본체 44: 걸림블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는, 단면이 반원형으로서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라인이 이격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ㄱ형 결속다리로 구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본체와 조합하여 원형단면을 구성토록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며 고정브라켓의 ㄱ형 결속다리와 본체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림블록으로 구성된 체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ㄱ형 결속다리는 본체와 간격이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짐으로써 체결브라켓의 걸림블록 두께보다 근소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부터 도 6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에 원터치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브라켓(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은 단면이 반원형으로서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라인(321)이 형성된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ㄱ형 결속다리(34)로 구성되는데, 상기 ㄱ형 결속다리(34)는 본체(32)와 연결되는 연결부(341) 및 이와 직각을 이루는 지지부(3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브라켓(30)의 본체(32) 내주면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라인(321)은 이격배치되며, 그 간격은 철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마디부(101)간의 간격보다 넓게 이루어진다.
체결브라켓(40)은, 고정브라켓(30)의 본체(32)와 조합하여 원형단면을 구성토록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며 고정브라켓(30)의 ㄱ형 결속다리(34)와 본체(32)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림블록(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과 체결브라켓(40)이 조합되어 이루는 내주면의 직경은 연결대상 철근(10)의 최대직경을 약간초과하는 정도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
상기 ㄱ형 결속다리(34)의 지지부(342)는 본체(32)와의 수직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서,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32)와 지지부(342) 간격은 상방간격(ℓ1)이 걸림블록(44)의 폭을 약간 초과하고, 하단간격(ℓ2)이 걸림블록(44)의 폭에 약간 못미치는 정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30)의 ㄱ형 결속다리(34)에는 체결브라켓(40)과의접촉면에 톱니형상의 걸림쐐기부(343)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연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연결대상인 두 개의 철근(10)(10')을 고정브라켓(30)에 배치시킴으로써 본체(32) 내주면의 걸림돌기라인(321)이 철근(10)(10')에 형성된 환형마디부(101) 사이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어서, 체결브라켓(40)을 고정브라켓(30)과 대치되도록 배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각 걸림블록(44)이 ㄱ형 결속다리(34)의 상방에 놓여지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브라켓(40)의 일단을 해머(미도시) 등으로 쳐서 걸림블록(44)이 ㄱ형 결속다리(34)의 지지부(342)와 본체(32) 사이에 압입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결속다리가 형태특성상(테이퍼형) 약간 벌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걸림블록(44)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브라켓(30)과 체결브라켓(40)의 본체(32)(42)끼리 견고하게 밀착 결속되고 내주면이 원통형 공동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공동의 직경(L1)이 철근(10)의 최대직경(L2)을 약간 초과하는 정도(도 6 참조)이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철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마디부(101)가 고정브라켓(30) 내주면의 걸림돌기라인(321)에 걸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양 철근(10)(10')은 공동 내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30)과 체결브라켓(40)이 결속된 상태에서는 결속다리(34)에 형성된 걸림쐐기부(343)에 의해 결속다리(34)와 걸림블록(44)의 접촉면마찰이 커지므로, 고정브라켓(30)과 체결브라켓(40)의 결속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에 의하면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고정브라켓에 대해 체결브라켓을 해머 등으로 쳐서 결속다리와 걸림블록을 끼움결합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철근연결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단면이 반원형으로서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라인이 이격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는 다수개의 ㄱ형 결속다리로 구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본체와 조합하여 원형단면을 구성토록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선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이격배치되며 고정브라켓의 ㄱ형 결속다리와 본체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림블록으로 구성된 체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ㄱ형 결속다리는 본체와 간격이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짐으로써 체결브라켓의 걸림블록 두께보다 근소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ㄱ형 결속다리에는 체결브라켓과의 접촉면에 톱니형상의 걸림쐐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20-2004-0020594U 2004-07-20 2004-07-20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200364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94U KR200364478Y1 (ko) 2004-07-20 2004-07-20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94U KR200364478Y1 (ko) 2004-07-20 2004-07-20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478Y1 true KR200364478Y1 (ko) 2004-10-19

Family

ID=4943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594U KR200364478Y1 (ko) 2004-07-20 2004-07-20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4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645B2 (en)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JP5553702B2 (ja) ループ状継手付き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KR200364478Y1 (ko)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JP2004124495A (ja) 既製杭の杭頭構造
KR20060014474A (ko) 철근 연결구
KR200349643Y1 (ko) 철근연결구조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750938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100684235B1 (ko) 스트럽철근커플러
KR200308578Y1 (ko) 철근 연결구
KR100766813B1 (ko)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10044270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KR200374940Y1 (ko) 철근 연결구조
KR102501205B1 (ko) 보강링을 가진 일체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
CN218562595U (zh) 一种装配式混凝土组合体
JP2019183481A (ja) 合成床版の接合構造
KR200332980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03628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491781Y1 (ko) 고정부를 갖는 철근 결합용 슬리브
JP264808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造物用の鉄筋ジョイント
JP2003301561A (ja) 鉄筋継手
KR200153754Y1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